• 제목/요약/키워드: linoleic acid oxidation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7초

일부 아미노산이 Linoleic acid의 산화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ino acids on the Oxidation of Linoleic acid)

  • 이준호;이은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36-341
    • /
    • 1983
  • 본(本) 연구는 linoleic acid emulsion에 아미노산용액을 첨가했을 경우 이들 아미노산에 항산화효과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고 만약 항산화효과가 있다면 산화기간 중 어느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Linoleic acid emulsion과 $10^{-2}M$, $10^{-3}M$, $10^{-4}M$의 glutamic acid, phenylalanine, alanine용액을 부피비(比)로 동량(同量) 섞어 시료를 준비하였으며 아미노산 용액 대신 증류수를 넣은 control group과 함께 $60{\pm}1^{\circ}C$에서 incubation 시켰다. Incubation 시킨 sample은 UV visible spectrophotometer에 의해 흡광도를 측정하여 diene conjugation의 정도와 TBA 값을 정하였으며 이 값으로 induction period와 그후의 산화정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Diene conjugation의 측정결과(測定結果) glutamic acid의 첨가는 induction period를 감소시켜 prooxidant로 작용하며 alanine과 phenylalanine은 induction period를 연장시켜 주므로 항산화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2) Induction period 중 아미노산이 항산화적인 작용을 하는데에는 최적농도(濃度)가 필요하며 alanine과 phenylalanine의 최적농도(濃度)는 각각 $10^{-3}M$$10^{-2}M$이었다. 3) Induction period 측정 이후에 TBA값의 측정(測定)결과 glutamic acid, alanine, phenylalanine을 첨가한 group이 control group에 비해 그 값이 낮으므로 induction period 이후의 단계에서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항산화적(抗酸化的)인 작용(作用)을 하는 최적 농도(濃度)가 glutamic acid의 경우 $10^{-2}M$이었으며 alanine과 phenylalanine의 경우에는 각각 $10^{-3}M$이었다.

  • PDF

Effect of Rosemary Extract on Lipid Oxidation, Fatty Acid Composition, Antioxidant Capacity, and Volatile Compounds of Salted Duck Eggs

  • Harlina, Putri Widyanti;Ma, Meihu;Shahzad, Raheel;Khalifa, Ibrahim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89-711
    • /
    • 2022
  •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pact of rosemary extract in duck eggs, as determined by in vitro antioxidant capacity, lipid oxidation, fatty acid profiles, and flavor analyses. Three groups of salted duck eggs were compared: A control group and group enriched with 0.1% and 0.5% (w/v) rosemary extracts for 28 days of salting. In a time-dependent manner,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tion power of eggs with 0.5% (w/v) rosemary extrac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ose of the control at 28 days after salting. The fatty acid profiles of salted egg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rosemary extract and salting time. Palmit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fatty acid in salted egg treated with rosemary extract, followed by linoleic acid and arachidonic acid. Furthermore, the treated eggs contained more docosahexaenoic acid than the control ones. And the treated eggs also have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lipid oxidation process (primary and secondary oxidation). As a result, rosemary extract can be used as a natural antioxidant spice to prevent oxidation and extend the shelf life of eggs during storage. Furthermore, flavor research using solid phase microextraction -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and an electronic nose demonstrated that adding rosemary extract to salted eggs could give them a distinct flavor.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갈변물질의 기능성 연구 2. Linoleic acid, Ox-brain autoxidant및 Fe$^{2+}$ ADP/NADP system에서 항산화 활성 중심으로 (Function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Product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 2. Linoleic acid, Ox-brain autoxidant and Fe$^{2+}$ ADP/NAD system)

  • 이종원;손형옥;도재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35-40
    • /
    • 2000
  • 홍삼에서 분리한 수용성 갈변물질의 항산화 활성을 linoleic acid, Ox-brain autoxidant, Fe$^{2+}$ ADP/NAD 및 cumene hydoperoxide 시스템에서 조사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1. Linoleic acid :투석내액의 갈변물질보다 투석외액의 갈변물질 쪽에서 hydroperoxy radical 저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S-2의 산화저해율은 S-1, L시험구보다 적은 농도에서 저해율이 높았다. S-2의 산화저해율은 49,52, 62.44 및 97.5%로 나타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linoleic acid 산화저해율은 높았다. 2. Ox-brain autoxidant : 자동산화에의한 항산화활성을 조사한 결과, 투석내액의 갈변물질보다 투석외액의 갈변물질 쪽에서 자동산화에 의한 항산화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S-2의 항산화 활성은 22.5, 31.7, 31.9 및 33.5%로 나타났다. 3. Fe$^{2+}$ ADP/NAD 및 cumene hydroperoxide : 횐쥐 간의 microsome 분획을 분리하여 수용성 갈변물질의 ADP/NABP 및 cumene hydroperoxide 항산화 활성을 조사한 결과, 모든 시험구에서 반응 초기에 항산화 활성이 있으나, 반응 시간이 길수록 항산화 활성은 감소하였다. 그 활성의 순서는 S-2>S-1>L순으로 나타났으나 항산화 활성의 강도는 전체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 PDF

각종 Flavonoids의 라디칼 봉쇄능과 ACE 활성 억제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s and the Inhibitory Effects on ACE Activity of Several Flavonoids)

  • 강진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18-1322
    • /
    • 2003
  • 천연에서 생산되는 식물성 천연항산화성 물질인 flavonoid의 지질 산화 억제능과 라디칼 봉쇄능 및 금속착체 형성능을 비롯하여 ACE 저해능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였다. 즉, flavonoid와 linoleic acid를 반응시킨 결과 linoleic acid의 산화를 크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산화의 초기에 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DPPH에 대한 수소 공여능을 조사한 실험에서 공시한 대부분의 flavonoid가 양질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naringin과 kaempferol은 봉쇄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daidzein과 morin, quercetin 등은 아주 우수한 radical 봉쇄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rutin의 금속 착체 형성능을 조사한 실험에서는 C $u^{2+}$$Mg^{2+}$에 대한 결합능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ACE 저해능을 조사한 실험에서는 모든 시료에서 ACE 활성을 저해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isoflavone인 daidzein과 genistein에서 저해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의 산화(酸化)에 대한 양조간장의 항산화(抗酸化) 특성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oybean Sauce on the Oxidation of Fatty Acid Mixture)

  • 최홍식;이정수;문갑순;박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32-336
    • /
    • 1990
  • 레놀레산이 함유된 액상 모델시스템에 있어서 지방산의 산화반응에 미치는 양조간장(분말)의 항산화 특성에 대한 일련의 연구를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양조간장은 산화반응 과정 중 과산화물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반응에 첨가된 양조간장의 함량이 높을수록 항산화 작용이 더 큰 결과를 보였다. 이를 기존 항산화제와 비교하였을 때 알파-토코페롤0.05% 첨가수준의 항산화성은 양조간장 분말 $0.2{\sim}0.5%$ 범위에 있었다. 그리고 10ppm의 염화제일철이 함유된 산화반응에 있어서 양조간장은 미량금속의 산화촉진작용을 저하시켰으며 구연산과 공존할 때 항산화작용의 상승효과도 있었다. 또한, 양조간장은 oxidative free radical과 반응하였을때 수소공여성이 인정되었으며 리놀레산 혼합물의 리폭시제나이제 촉매적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효과도 보였다.

  • PDF

저장중 율무가루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id in Raw and Processed Adlay Powder during Storage)

  • 한지숙;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97-705
    • /
    • 1989
  • 생 율무가루와 가공(침지, 증자, 건조)된 율무가루를 $5^{\circ}C$$35^{\circ}C$에서 6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지방질에 있는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각 획분별 지방질의 주요지방산은 oleic, linoleic, palmitic acid였으며, stearic 및 linolenic acid도 소량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35^{\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에 linoleic acid의 조성비는 감소하였으며 상대적으로 oleic 및 palmitic acid의 조성비는 증가하였으나, $5^{\circ}C$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생 율무가루가 가공된 율무가루보다도 더욱 현저하게 변화하였다. TG에 함유된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중성지방질과 거의 유사하였으며, 유리지방산은 $35^{\circ}C$에서 저장한 것이 $5^{\circ}C$에서 저장한 것보다 oleic acid를 많이 함유한 반면, linoleic acid를 적게 함유하였으며 이러한 현장은 생 시료에서 더 현저하였다.

  • PDF

냉장 닭고기의 저장성 연장에 관한 연구 II. Potassium Sorbate와 Ascorbic Acid 처리가 닭고기의 미생물 및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Extending the Shelf-life of Refrigerated Chickin II. Effects of Potassium Sorbate and/or Ascorbic Acid Dip on Microbial and Sensory Quality of Refrigerated Chicken)

  • 유익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3-202
    • /
    • 1990
  • 닭고기를 $4^{\circ}C$에서 냉장 보관할 경우 7.5% potassium sorbate와 1% ascorbic acid에의 침지 처리가 닭고기의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 ascorbic acid처리육의 경우 무처리육에 비해 약간의 지방산패 억제효과가 있었으나 기타 이화학적 품질의 변화에는 큰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7.5% potassium sobateo의 처리는저장중 drip양의 증가 억제 및 보수력의 감소억제효과가 인정되었으며 지방의 산패와 단백질의 변패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인정되었다. 7.5% potassium sorbate와 1% ascorbic acid의 이중 처리는 2.5% potassium sorbate 단독처리에 비해 이화학적 품질의 변화 양상은 서로 흡사하였으나 ascorbic acid의 처리의 추가로 인해 지방산패의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linoleic acid의 상대적 함량의 감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닭고기를 $4^{\circ}C$에서 저장할 경우 ascorbic acid 단독처리에 의해서는 이화학적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7.5% potassium sorbate와 1% ascorbic acid 이중처리에 의해서는 지방의 산패를 비롯하여 drip양의 발생 단백질의 산패, 보수력의 감소 등 이화학적 품질의 악산을 억제하는 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

Lipid Specificity for Membrane Oxidation Catalyzed by Cytochrome c : An EPR Study

  • 민동필;한상화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7권3호
    • /
    • pp.279-284
    • /
    • 1996
  • Decay of the spin label attached to cytochrome c or to stearic acid has been measured by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EPR) spectroscopy to monitor membrane oxidation induced by cytochrome c-membrane interaction. Binding of cytochrome c sequestered the acidic phospholipids and membrane oxidation was efficient in the order linoleic oleic>stearic acid for a fatty acid chain in the acidic phospholipids. The spin label on cyt c was destroyed at pH 7 whereas that on stearic acid embedded in the membrane was destroyed at pH 4, presumably due to different modes of cyt c-membrane interaction depending on pH. Interestingly, cyt c also interacts with phosphatidylethanolamine, an electrically neutral phospholipid, to cause rapid membrane oxidation. Both EPR and fluorescence measurements indicated that electrostatic interaction is at least partially responsible for the process.

Occurrence of Glutathione Sulphydryl (GSH)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Probiotic Lactobacillus spp.

  • Yoon, Yung H.;Byun, Jung 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1호
    • /
    • pp.1582-1585
    • /
    • 2004
  • The antioxidative ability on the basis of reduced glutathione sulphydryl level, the inhibition activities of linoleic acid peroxidation of cell free extract of Lactobacillus spp. and the effects of types of media and growth phase of the cells on the cellular GSH level have been determined. Correlation between reduced glutathione sulphydryl level and antioxidative ability of Lactobacillus spp. was analyzed: Lactobacillus casei HY 2782 contained 25.15 $\mu$mole/g of GSH, the cellular GSH level of L. casei HY 2782 reached maximum after 24 h of cultivation and tended to decrease on further cultivation up to 72 h.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ellular GSH when grown in de Man Rogosa and Sharpe (MRS) broth than in tryptone phytone yeast extract (TPY) broth or bromcresol pruple dextrose (BCP) broth (p<0.05).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ell free extract of Lactobacillus spp. have been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trains in the inhibition of linoleic acid peroxidation by thiobarbituric acid (TBA) test (p<0.01). L. casei HY 2782 and L. acidophilus ATCC 4356 revealed a high degree of antioxidative effect in linoleic acid oxidation system.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inhibitory activity on linoleic acid peroxidation and cellular GSH levels of Lactobacillus spp. was 0.65, which mean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식품 및 생체 carotenoid의 co-oxidation

  • 김혜경;최홍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1-96
    • /
    • 1992
  • 효소에 의한 carotenoid의 co-oxidationgus상은 lipoxygenasechrao하에서 지방산인 linoleic acid가 산화되어 이때 만들어진 free radical에 의해 carotenoid가 쉽게 산화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화같이 carotenoid의 co-oxidation에서 lipoxygenase는 free radical을 만들면서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는 촉매제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담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Lipoxygenase에 의한 carotenoid의 co-oxidation 현상을 처음 발견한 것은 대두가루를 밀가루와 혼합하여 사용할 때였다. 대두가루 속에 다량 함유된 lipoxygenase에 의해 밀가루의 carotenoid 색소가 표백되는 것을 보고 이 현상은 lipoxygenase에 의해 기질은 지방산이 산화되는 동안 caroenoid가 쉽게 co-oxidation되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carotenoid는 지질이 존재하는 반응시스템에서 항산화제로서 혹은 secondary substrate로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