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king coefficient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초

농가레스토랑 이용고객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완주군 비비정을 사례로 - (Analysis on Factor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terms of Securing Customers of Farm Restaurants - Based on the Case of Bibijeong in Wanju-Gun -)

  • 한아름;한진;이인재;장동헌
    • 농촌계획
    • /
    • 제21권2호
    • /
    • pp.163-175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factor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picked by customers of Bibijeong, a farm restaurant operated by the local community of Wanju-gun. Major points include: Recognition paths mostly were word of mouth and mass media, types of visit were in the company of friends, family members or work colleagues, and purposes of visit included consumption of meal and identifying features of the restaurant. Secondl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level of facility, atmosphere/cleanness, diversity of menu, employees, ingredients and network.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was +0.6. Thirdly, average of importance of factors was 3.861 while average performance was 3.429. IPA analysis showed that employee(communication, customer contact) in the first quadrant proved the need for fast improvement through training. Atmosphere/cleanness (interior atmosphere, table clean, kitchen cleanliness, clean dishes, interion design) and employee(proficiency, menu recognition), foodstuff(freshness, origin, safety) in the second quadrant showed that the marketing strategy of improvement as well as maintaining current status is needed, including regular training and hygiene inspection. The third quadrant contains facilities(disability, baby, fire protection) and food menu(food packing, various menu, creative menu, menu description), network(village economic links), which showed the need for gradual improvement. The forth quadrant contains network(sights's near contains. The results so far can be summed into the statement that overcoming the basic functionality of providing meals and linking the restaurant with local attractions and local economy would be need, as well as building up the image of unique farm restaurant with local features, so that Bibijeong can serve as the centerpiece of community and foundation of exchange with other areas.

부재 그룹과 하중 조합을 고려한 고층건물 변위조절 설계법 (Drift Design Method of High-rise Buildings Considering Design Variable Linking Strategy and Load Combinations)

  • 서지현;박효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357-367
    • /
    • 2006
  • 재분배 기법은 민감도 해석 없이 변위에 대한 각 부재의 변위기여도를 간단하게 계산 한 후, 변위기여도에 근거하여 물량을 분배함으로서 변위를 제어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층건물 변위 설계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에너지 이론에 근거한 재분배 기법은 하중 조건에 따라서 서로 다른 변위기여도를 가질 수 있게 되며, 특히 횡력 뿐만 아니라 상당한 량의 연직하중도 함께 받고 있는 고층건물의 재분배 기법 적용시의 변위기여도 계산에는 연직하중의 영향이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고층 건물의 변위설계에 재분배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실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부재 그룹핑이 고려되어지는데 부재 그룹핑 고려에 따른 연직하중의 영향을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하중의 종류와 부재 그룹핑 여부를 변수로 하여 세 가지의 재분배 알고리즘을 개발한 후, 이를 20층 강접 골조 전단벽 예제와 60층 아웃리거 예제의 변위 설계 적용하였다.

후기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지지 및 대처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Coping in Late Adolescents)

  • 이은영;탁영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358-36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of parent-child relationship,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of female in late adolescents and its relationships. The underlying assumption is that Parent-child relationship based on internal working cognition affects o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The sample was consisted of 277 female students of college.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Parental bonding instrument (PBI)(Parker, Tupling & Brown. 1979), Personal resources questionnaire : PRQ-part II (Weinert ' Brant, 1987), and Way of coping (Folkman & Lazarus, 1985). The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ies,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and t-test. As a result. perceived social support correlated positively with Parental care and negatively with parental overprotection. Perceived social support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ping. Perceived social support differed according to parent-child relationship type. The group of 'affectionate constraint' high care and high overprotection. reported high perceived social support, but 'affectionless control'(low care and high overprotection) reported low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group of high perceived social support showed higher parental care and higher coping than low one. The group of high coping showed higher parental care, lower parental overprotection and higher perceived social support than low one. Findings from this study linking retrospective accounts of early parental relationships to current working models concerning the nature of supportive relationships are consistent with attachment theory that individual who, as children, experienced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that were independent-encourage. affectionate, and not overprotective developed working models of others as available to provide social support. This study confirmed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related to coping in dealing with stress.

  • PDF

Factors Related to Long-term Hospital Length of Stay and Opinions on Discharge-related Community-based Medical and Welfare Service on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in Korean Veterans Hospitals

  • Yoon, Young Mi;Park, Jin Hee;Hwang, Moon Sook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57-37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long-term length of stay (LOS)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in Korean veterans hospitals. Methods: The subjects were 196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staying in the hospital for more than 10 days, Data were collected by the survey of patients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medical records review by nurses from July 15 to August 10, 2019.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present and desired LOS were 37.78±32.66 days and 60.87±45.95 days, respectively. Factors affecting hospital LOS were found to be main disease (genitourinary) (p<.001), assistanc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p<.001), area of hospital (p<.001), payment of medical fees (p=.026), hospital satisfaction (p=.036)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26.4%. The most common health problems that need to be solved after discharge were symptom alleviation and health promotion.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using community-based facility services or visiting medical-welfare services (especially home care nursing). Conclusion: In order to reduce hospital LOS, the following measures are required: personalized self-management education, provision of transportation services for dialysis therapy of inactive patients, linking patients with visiting medical-welfare services including home care nursing and mobile healthcare services, operation of the ca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notice of the discharge date at admission, interim check of patient status, and connecting the patient with community resources or transferring the patient to long-term care facilities at discharge.

보건의료 특성화 방향에 대한 창의실용 융복합 교육과정을 위한 연구 - 일개 대학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Convergence Curriculum of Creative Practical Use of the Direction of Characterization of Healthcare - Centred on a University -)

  • 최은미;권이승;박영술;정용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283-295
    • /
    • 2018
  • 본 연구는 보건산업체 현장 수요와 창의실용 인재양성을 위한 대학교육과정의 상호연계로 실제 교육의 특성화방향을 설정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2017년 1월 9일부터 5월 1일까지 약 4개월 동안 의료경영 특성화 일 지정대학의 현장실습기관 현장 실무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총 98부를 SPSS Statistics 21 for Window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신뢰성은 Cronbach 알파계수로 조사하였고, 연구내용은 주로 빈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타당성은 카이검정, 분산분석과 T 검정을 적용하였다. Cronbach 알파계수는 0.891로 신뢰성이 있었다. 분산분석, T 검정 및 카이검정에서 일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는 의료기관에서 바람직한 인재상은 실천적 전문인 35%, 융합적 지식인 22% 등 순이고, 실무자 요구 교육방향은 창의실용성, 의료정책(58%) 및 의료정보기반(15%) 등이다. 2018년 5월 현재 전국 약 140여개 대학의료경영계열학과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며, 향후 전국 단위의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합재의 함량에 따른 순환굵은골재 사용 무세골재 폴리머 콘크리트의 성능 발현 특성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No-Fines Polymer Concrete using Recycled Coarse Aggregate with Binder Contents)

  • 김도헌;정혁상;김동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433-442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폴리머 결합재(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플라이 애시, 그리고 순환굵은골재(60%)와 부순굵은골재(40%)를 사용하여 폴리머 결합재 함량의 변화에 따른 무세골재 폴리머 콘크리트의 성질(9개항)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폴리머 결합재 함량(4.0-6.0wt.%)을 실험 변수로 한 이유는 비용측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각종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연구결과 밀도, 압축강도, 휨강도, 동결융해 후 휨강도는 폴리머 결합재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흡수율, 공극률, 연속공극률, 투수계수, 내산성(산에 의한 밀도 감소율)은 폴리머 결합재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특히 폴리머 결합재 함량 6wt.%에서는 공극률이 18.4%, 투수계수가 7.3mm/sec 임에도 압축강도는 38.0MPa, 휨강도는 10.0MPa로서 기존의 연구결과들에 비해 월등히 높고, 흡수율, 내산성 등 다른 성질들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교제의 첨가에 의해 높아진 결합재의 부착력과 폴리머 결합재가 가진 표면 소수성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거제시 신현읍 완충녹지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rogram for Buffer Greens at Sinhyeon-Eup, Geoje-Si)

  • 사공영보;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43-256
    • /
    • 2007
  • 본 연구는 거제시 신현읍의 산림을 연결하는 녹지축의 식재현황을 파악하고 생태적 구조개선방안을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소음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완충녹지로 육교산(50m)과 중매산(131m)을 잇는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비오톱 유형은 시가화지역, 도로 등 도시화지역 2개, 산림비오톱, 하천비오톱, 조경수목식재지 비오톱 등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지역 15개로 총 17개로 분류되었다. 비오톱 유형분석자료를 바탕으로 자연생태계가 양호하여 생물서식이 가능한 육교산과 중매산을 거점녹지로, 기조성된 완충녹지를 연결녹지로 활용하는 것이 생물을 도심내로 유입하는 유일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거점녹지, 준거점녹지, 연결녹지의 녹피율은 각각 160.29%, 128.37%, 44.37%. 녹지용적계수는 $4.04m^3/m^2,\;3.95m^3/m^2,\;0.65m^3/m^2$로 거점녹지는 층위구조가 형성되어 생물서식처 및 종공급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준거점녹지는 하층식생이 훼손되었고, 연결녹지는 관목층의 식재량 부족 및 훼손으로 불량하였다. 결국, 도심내로의 야생조류유입 및 생물서식을 위한 통로 역할과 시민들의 이용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거점녹지의 연결을 통한 생물종다양성 증진 및 시민의 이용을 위한 자연관찰로를 조성하고자 도심내 야생조류 유입을 위한 생태적 조성 가로녹지 조성을 통한 녹지 연결, 도시민의 이용 및 휴양을 위한 경관개선에 대한 세부실천계획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SWAT모델과 물수지분석을 이용한 물재이용에 의한 도시물순환 변화 분석 (Analysis for water cycle change using SWAT model and water balance analysis depending on water reuse in urban area)

  • 김영란;황성환;이성옥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47-457
    • /
    • 2015
  • Water cycle within the human civilization has become important with urbanization. To date, water cycle in the eco-system has been the focus in identifying the degree of water cycle in cities, but in practicality, water cycle within the human civilization system is taking on an increasing importance. While in recent years plans to reuse water have been implemented to restore water cycle in cities, the effect that such reuse has on the entire water cycle system has not been analyzed. The analysis on the effect that water reuse has on urban areas needs to be go beyond measuring the cost-savings and look at the changes brought about in the entire city's water cycle system. This study uses a SWAT model and water balance analysis to review the effects that water reuse has on changes occurring in the urban water cycle system by linking the water cycle within the eco-system with that within the human civilization system. The SWAT model to calculate the components of water cycle in the human civilization system showed that similar to measured data, the daily changes and accumulative data can be simulated. When the amount of water reuse increases in urban areas, the surface outflow, amount of sewer discharge and the discharged amount from sewage treatment plants decrease, leading to a change in water cycle within our human civilization system. The determinant coefficients for reduced surface outflow amount and reduced sewer discharge were 0.9164 and 0.9892, respectively, while the determinant coefficient for reduced discharge of sewage treatment plants was 0.9988. This indicates that with an increase in water reuse, surface flow, sewage and discharge from sewage treatment plants all saw a linear reduction.

과학 관련성 태도 변화 검사도구(CARS-Changes in Attitude about the Relevance of Science) 번역본의 타당도와 관련 변인 탐색 및 동형 검사 도구 구성 (Validating the Translated Version of CARS(Changes in Attitude About the Relevance of Science), Exploring Variables Related to CARS Scores, and Constructing Two Equivalent Test Sets of CARS)

  • 박은주;이상의;아리프 라흐마툴라흐;하민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2호
    • /
    • pp.179-194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CARS(Changes in Attitude of Relevance to Science)문항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에게의 적용여부를 판단하고, 성별 및 학교급별 차이를 비교한 후 라쉬 모델을 활용하여 두 개의 동형의 과학적 관련성 인식 검사도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59문항의 CARS 과학적 관련성 인식 검사문항을 번역하여 787명의 중 고등 (중학생 300명, 고등학생 431명의 답변이 분석됨) 학생들에게 투입하였다. CARS 문항의 우리나라 학생들에게의 적합도를 판단하고 많은 문항수의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라쉬 모델의 문항연결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25문항으로 구성된 CARS-A와 CARS-B형의 두 과학적 관련성 인식 검사도구를 구성하였다. 두 동형검사도구의 라쉬 점수 상관관계는 0.78이며, 라쉬 모델 분석수치는 거의 일치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생성된 두 형의 과학 관련성 인식 검사도구는 학생들의 과학의 일상관련 태도를 확인하거나, 특정 수업과정 후 또는 학년별 변화를 확인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과학교육에서 학생들이 과학의 연관성 인식이 가지는 의미를 확인하고 도구개발 및 활용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고해상도 범색 영상을 위한 다중 단계 영상 복원 (Multi-stage Image Restoration for High Resolution Panchromatic Imagery)

  • 이상훈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51-566
    • /
    • 2016
  • 위성 원격 탐사에서는 센서 운영 환경으로 인하여 영상을 수집하는 동안 영상의 질 저하가 일어나며 이러한 영상의 질 저하는 관측된 자료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추출하는 데 악 영향을 미치는 번짐 현상(blurring)과 잡음 (noise)을 야기시킨다. 특히 이러한 질 저하는 도시 지역과 같은 조밀한 구조를 가지는 scene으로부터 관측된 영상 자료의 분석에 더욱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는 고해상도 범색 영상 자료의 질 저하 현상을 개선시켜 영상이 포함하고 있는 복잡한 구조에 대한 자세한 분석의 정확성을 제고하기 위한 다중 단계 영상 복원 과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질 저하 현상을 모형화 하기 위해 Gaussian 가산 잡음과 Markov random field로 정의되는 공간적 연결성, 중심 화소와 이웃 화소 간의 거리에 비례하는 번짐을 가정하였다. 본 연구는 잡음 완화와 번짐 제거를 위해 Point-Jacobian Iteration Maximum A Posteriori (PJI-MAP) 추정 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화소 연결 후 지역 확장을 통한 영상 분할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 확장을 위하여 동질성과 대조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비유사 계수를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의 자료 실험을 통하여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2 개의 고해상도 범색 영상 자료에 대해 적용하여 복원의 효과에 대해 실험하였다. 사용된 원격 탐사 자료는 1 m급의 미국 LA지역에서 수집된 Dubaisat -2 자료와 0.7 m급의 한반도 대전 지역에서 수집된 KOMPSAT3 자료이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다중 단계 복원 과정이 고해상 자료의 복잡한 구조의 자세한 분석에서 정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