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ked library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4초

DCAT을 활용한 디지털도서관 데이터셋 관리와 서비스 설계 (Designing Dataset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for Digital Libraries Using DCAT)

  • 박진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47-266
    • /
    • 2019
  • 본 연구는 새로운 지식정보자원으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데이터셋을 관리 서비스하기 위해 W3C 표준인 DCAT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DCAT을 구성하는 8개의 클래스 중 핵심 클래스 4가지를 중심으로 클래스와 속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디지털도서관에서 DCAT을 기반으로 다양한 데이터셋을 관리 서비스할 수 있는 시스템을 모델링하여 제시하였다. 이 시스템은 원천데이터, 데이터셋 관리, 링크드 데이터 연결, 이용자 서비스로 구분하여 구성하였으며 특히 데이터셋관리에서는 DCAT 매핑 기능을 제시하여 다양한 데이터셋 서비스와 상호운용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정보, 지식, 그리고 진실의 문제들: 탈진실 시대에 정보문해력에 관한 인식론적인 사고 실험과 함의 (The Problems of Information, Knowledge, and Truth: An Epistemological Thought Experiment with Implications for Information Literacy in the Era of Post-Truth)

  • 홀리스터 조나단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79-311
    • /
    • 2020
  • 인간은 정보와 지식이라는 용어를 집단적으로 이해하며, 서로 배치되는 개념적이고 이론적인 정의에 대해 주의하지도 토론하지도 않은 채, 다양한 맥락에서 두 가지 용어를 자주 사용한다. 정보와 지식이라는 개념은 내재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진실이 전제조건이 되어야 할 때, 정보와 지식을 정확하게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이론 논문에서는 지식에 관한 신빙주의 분석(reliabilist analysis)과 진실추적분석(truth-tracking analysis)을 각각 정보의 물리적인 패러다임과 인지적인 패러다임과 연결시키는 사고 실험을 전개한다. 이 사고 실험의 결과는 특히 탈진실의 시대적 맥락에서 정보문해력을 위한 적용과 함의를 중심으로 논의된다.

Multilingual Knowledge Graph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 Partha Sarathi Mandal;Sukumar Mandal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101-111
    • /
    • 2024
  • Multilingual Knowledge Graphs (MKGs) have emerged as a crucial component in variou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asks, enabling efficient representation and utilization of structured knowledge across multiple languages. One can get data, information, and knowledge from various sectors, like libraries, archives, institutional repositories, etc. Variable quality of metadata, multilingualism, and semantic diversity make it a challenge to create a digital library and multilingual search facility. To accept these challenges, there is a need to design a framework to integrate various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sources for integration, unification, and sharing databases. These are controlled using linked data and semantic web approaches. In future, multilingual knowledge graph overcomes all the linguistic nuances, technical barriers like semantic interoperability, data harmonization etc and enhance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throughout the world.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of-the-art techniques and ongoing research efforts, this paper aims to offer insights into the future directions and potential advancements in the field of Multilingual Knowledge Graphs. This paper deals with a multilingual knowledge graph and how to build up a multilingual knowledge graph. It also focuses on the variou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designing multilingual knowledge graphs.

차세대 도서관 목록의 이용자 서평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User-contributed Reviews for the Next Generation Library Catalogs)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15-132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차세대 도서관 목록에서 이용자 서평 기능의 이용 현황 및 서지레코드에서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정보원의 이용자 서평의 영향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2월 16일부터 4월 4일 사이에 2010년에 출간된 열권의 책을 대상으로 WorldCat에서 소장도서관, 이용자 서평, 태그 및 독서 리스트의 현황 및 변동 추이, 그리고 서지레코드에 연결된 Amazon.com과 GoodReads.com의 이용자 서평 현황을 살펴보았다. WorldCat에서 아직 이용자 참여 기능의 활용도는 매우 낮았으며, 이용자 서평보다는 태그나 독서 리스트를 통한 참여가 더 많았다. 같은 책들에 대한 아마존과 굿리즈의 이용자 서평 참여도는 매우 높았고, 아마존에서 한 권의 책과 관련된 이용자 서평 사례 분석은 이용자 참여 기능이 왜곡될 수 있는 가능성을 암시하였다. 아직은 초기 단계인 도서관 목록에 대한 이용자 참여 기능의 확산 및 안정화 추이의 지속적 관찰, 그리고 이 기능이 이용자의 자료 선택에 미치는 영향의 심층적, 체계적 분석이 필요하다.

Job Satisfaction among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ionals in India: A Case Study

  • Pandita, Ramesh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5권1호
    • /
    • pp.47-64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mong the practicing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professionals in India. Some of the key variables studied include salary, work environment, professional position, working hours, location, employee participation in administrative matters, recognition, and advancement. Scope: The study is limited to LIS professionals in India; howeve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some degree of commonality among LIS professionals across the world. Methodology/Approach: The study has been purely undertaken by analyzing the primary data collected from practicing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across India by circulating an online questionnaire, using Google services and by posting the link on various social groups and other social networking sites such as Groups, Facebook, LinkedIn, discussion forums, and e-mails. Findings: Responses were generated across 20 states and union territories of the country, representing 88.15% territory of India. Of the total responses generated, 72.88% are males and 27.12% females. From the data analysis it emerged that every third library professional in India enters in to LIS profession by chance and not by choice, as 35.59% respondents expressed that they landed in the LIS profession by chance and 60.45% by choice. More than 77% respondents have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change their present employer, if given better opportunity. More than 80% professionals either fully or partly agree that most of the LIS professionals across India are dissatisfied with their employers. All these and many more areas have been explored, which reflect the aspects of job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among LIS professionals in India.

도서관의 폐교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 in Library)

  • 노영희;노지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7-106
    • /
    • 2018
  • 본 연구는 도서관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폐교 활용방안에 앞서, 폐교 현황과 활용 사례를 기반으로 최근 도서관의 폐교 활용 트렌드를 파악하고 도서관의 폐교 활용 가능성 및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례조사를 통하여 폐교를 활용한 도서관 건립은 복합문화공간 제공, 친환경적 공간 제공, 지역 커뮤니티 장소 제공 등 기존의 공공도서관과는 또 다른 특색을 가진 도서관으로 재탄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도서관의 폐교 활용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지역경제 기여와 지역의 재활성화 기회 제공, 지역주민을 위한 생활 밀착형 친화형 공간, 노인복지 요양서비스 귀농 생활 등과 연계한 공간의 재활용, 폐교를 활용한 부가 가치 창출과 지역 비즈니스 창출, 환경친화적 공간으로 구성, 복합문화공간의 형태로 구성된 통합적인 공간으로 활용, 지역의 커뮤니티 센터 역할 수행, 지역의 요구를 충족 보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활용.

디지털도서관의 퍼블릭도메인 저작물 서비스 현황에 관한 연구: 국립중앙도서관의 보호기간 만료 저작물 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ervice Status of Public Domain Works in Digital Library: Focusing on the Case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s Expired Works Service)

  • 이호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19-142
    • /
    • 2023
  • 저작권은 디지털도서관 서비스의 범위와 방법을 결정하는 법률적인 기준이다. 보호기간 만료저작물은 저작권 보호가 종료되어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런 까닭에 디지털도서관 구축과 서비스에서 우선 고려 대상이 된다. 이 연구는 실제로 도서관이 보호기간 만료저작물을 서비스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가를 점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디지털도서관의 구축과 서비스에 적용되는 저작권법의 관련 조항들을 망라해서 정리하고, 아울러 저작권 보호기간이 가지는 의미를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나서 국립중앙도서관의 보호기간 만료저작물 온라인 서비스 현황을 김유정, 이효석, 채만식 세 명의 일제강점기 작가들의 저작물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보호기간 만료저작물의 구체적인 서비스 실태를 점검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은 법률의 허용하는 범위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정이 도서 내에 포함된 다른 저작자의 권리와 연결되어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 단위를 저작물을 중심으로 변경할 필요성과 전거레코드를 활용해서 저작자의 생몰년 관리를 체계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정보시대의 전거통제 : 국내 목록 데이터베이스의 단체명 표목 연구 (Authority Control in the Digital Age : A Study of Corporate Names in the OPACs in Korea)

  • 윤정옥
    • 정보관리연구
    • /
    • 제32권1호
    • /
    • pp.23-49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목록 데이터베이스들에서 단체명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가, 그리고 전거통제가 수행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기관 혹은 단체는 종종 서로 다른 이름들과 이름의 다른 형태들을 갖고 있어, 목록에서 적절히 연결되어야만 한다. 목록에서 적당한 참조나 내부적 링크의 도움 없이는 이용자들은 알맞은 결과를 얻지 못하기가 쉽다. 이 연구에서는 국회도서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세대학교,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다섯 개 기관의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주요한 발견은 (1) 편목규칙 적용의 일관성 결여, (2) 단체명들 처리를 위한 적절한 전거통제의 결여 및 (3) 이름들과 다양한 이름형태들 사이의 창조나 링크의 결여를 포함하였다. 이 연구가 소규모로 제한되었으므로, 보다 포괄적이고 철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연구의 결과에 의거할 때, 편목 실무의 전면적인 개선 및 전거통제의 적용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난다.

  • PDF

Incorporation of Media in the Activities of Scientific Library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 Horban, Yurii;Berezhna, Oksana;Bohush, Iryna;Doroshenko, Yevhenii;Kovbel, Viktori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4호
    • /
    • pp.59-66
    • /
    • 2022
  • Students can successfully connect with one another thanks to the introduction of Web 2.0 and the tools and technology linked with it. The fact that rising digital tools are systematically influencing the education system is not a secre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rticle efficiently evaluates the influence of incorporation of media in the activities of the scientific library of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e research Methodology is the Concepts, techniques, and procedures to effectively inculcate primary and secondary data to conduct the research effortlessly. It's worth noting that in this case, quantitative primary research was provided in the form of a survey. The researchers have proposed a survey in order to successfully instil a comprehensive view on the "incorporation of media in the operations of the scientific library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s a result, fifty-on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principals were asked to attend this session. This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they are both well-educated and cognizant of the impact of technology innovation on schooling. As a result, the researchers were able to gain a comprehensive view of this situation thanks to this survey. The results effectively showed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believe that social media plays a vital role in shaping up higher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y believe that the libraries of famous educational institutions must adapt as per the new educational trend so that teachers and students both can tap into its benefit.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result is manoeuvred by the efficient survey analysis and at the same time, peer-reviewed journals have been employed to put forward authentic information. Therefore, efficient insight regarding this topic has been gathered by the researchers.

대학생의 독서태도 및 독서량, 성격유형 간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Attitude, Reading Amount, and Personality Type of College Students)

  • 정대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11-230
    • /
    • 2022
  •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독서태도와 독서율, 성격유형 간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대학생의 독서율 향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태도는 재미를 위한 독서량, 종이책 독서량, 개인 독서량, 전자책 독서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격유형에서 개방성은 독서량 및 독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외향성은 독서량 및 독서태도에 전자책 독서량을 제외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독서태도와 독서율 간의 높은 상관성을 기반으로 대학생이 재미있고 편안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도서관 환경 제공 및 자료의 비치가 필요하다. 둘째, 외향성은 독서량 및 독서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독서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활동 중심으로 동적인 독서 활동을 진행하고 지역사회 활동과 연계한 교내 독서클럽 활동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