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me-treated fertilizer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 of Soil Amendments on Arsenic Reduction of Brown Rice in Paddy Fields

  • Kang, Dae-Won;Kim, Da-Young;Yoo, Ji-Hyock;Park, Sang-Won;Oh, Kyeong-Seok;Kwon, Oh-Kyung;Baek, Seung-Hwa;Kim, Won-Il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01-110
    • /
    • 2018
  • There is an increasing concern over arsenic (As) contamination in rice since Codex Committee on Contaminants in Food (CCCF) discuss on maximum levels for As in rice in 2010.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As concentration in rice by soil amendment treatments in paddy field soils contaminated by As. The selected four amendments were poultry manure, agri-lime, steel slag, and gypsum with the addition of 3% or 5% (w/w) on a dry basis. The As reduction effect could not be verified, as a result of the pot test by adding poultry manure to the paddy soil around the mine located in Yesan. Among the agri-lime treated rice cultivated pots, the As concentration increased up to 32.1%.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of As in the sample pots treated with steel slag and gypsum decreased by 65.4% and 63.4%,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se pot experiments, the field test was carried out in the As polluted rice field around the mine located in Yesan, and when the four amendments were treated, the As content in the brown rice reduced in all the amendment treatments compared with the control plot. The As reduction in brown rice of the amendment was confirmed to be higher efficiency by the order of gypsum > steel slag > poultry manure > agri-lime. As a result of pot experiments using paddy soil around the mine located in Seosan, As stabilization efficiency in rice and As reduction effect could not be determined by comparison to the control. From the rice cultivated from agri-lime treated pot, As concentration increased by 15.8% in rice. On the other hand, the As content of the pots treated with steel slag and gypsum decreased by 39.1% and 60.2%, respectively. In conclusion, distinguished As reducing effectiveness could be expected by soil amendment treatments for rice cultivation.

음식물류폐기물 혼합 석회처리비료 사용량에 따른 배추(Brassica rapa L.) 수량 및 토양 화학성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 of Different Application Ratios of Lime-treated Fertilizer Mixed with Food Waste on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Yield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 정영재;이상금;김성헌;전상호;이윤혜;권순익;심재홍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2호
    • /
    • pp.81-89
    • /
    • 2023
  • 본 연구는 석회처리비료 사용량에 따른 배추의 생산량 및 양분 흡수 지수, 토 화학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토양의 pH는 약 4.7로 작물 생육에 적절하지 못한 산성토양이었다. 본 연구 결과, LTF1 처리구 토양 pH가 6.5~6.9로 배추 생육에 적정한 범위까지 상승하였으며, 토양 양분 공급 등의 효과를 가져왔다. 이와같은 토양 개량 효과로 인하여 NPK 처리구에 비하여 LTF1 처리구의 양분 흡수 지수는 약 10%, 배추 생산 지수는 10~20% 이상 높았다. 반면, 석회처리비료를 정량 이상 사용하였을 때 토양의 pH, EC가 적정 범위 이상 상승하였으며, 무기태 질소, 유효인산 등의 토양 양분 함량이 감소하였다. 또한, 배추 생육 조사 결과 LTF8 처리구가 NPK 처리구에 비하여 양분 흡수 지수는 약 10% 감소하였으며, 배추 생산 지수는 5~20% 감소하였다. 이는 석회처리비료과량 사용에 따른 양분 공급 저해 등이 원인이 되어 생산지수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 작물 수량 증가와 산성토양 개량 효과에는 석회처리비료를 석회소요량 기준 정량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석회처리비료의 무기질비료감축 효과, 장기간 연용에 따른 작물 생육, 토양 화학성 등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개흙의 제염에 미치는 볏짚, 석회의 병용효과 (Desalinization of marine soil by the application of straw and lime)

  • 오왕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5-40
    • /
    • 1991
  • 유기물(볏짚)의 병용과 부숙이 탄산석회에 의한 갯흙의 제염에주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컬럼시험을 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볏짚과 탄산석회를 미리 시용하여 부숙시켰을 경우는 투수속도가 빨라졌으나 석고처리에는 미치지 못했으며, 제염(Na) 효과는 $CaCO_3$단용 또는 $CaCO_3$+볏짚분(미부숙)을 따르지 못하였다. 부식된 볏짚에 흡착되어 제염이 늦어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2. Na와 Mg를 치환 침출하기에 충분하지 못한(1/3) $CaCO_4$를 시용했을 경우와 $CaCO_3$만을 시용했을 경우는 표층에 Mg를 집적시키고 그 직하층에서 Mg 를 용탈하여 아랫층에 집적시켰으니, 볏짚분이 병용된 처리에서는 이런 용탈현상없이 물리세탈만이 일어났다. 3. $Na^+$의 제염은 세탈용액의 염농도와 비례하는 것으로 보여서, 상충토가 세탈되여 하충토양용액의 염농도가 높아졌을 경우는 염농도가 높아진 층에서 $Na^+$의 치환제거가 많다. 이 말은 염류의 공급원이 세탈되면 표층토의 Na제염이 부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99Tc의 토양-쌀알 전이 감소를 위한 소석회와 유기질 비료의 토양첨가 (Soil Applications of Slaked Lime and Organic Fertilizer for Reducing 99Tc Transfer from Soil to Rice Seeds)

  • 최용호;임광묵;전인;김병호;금동권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3-68
    • /
    • 2013
  • 논의 $^{99}Tc$ 오염 시 소석회와 유기질 비료의 토양 첨가가 쌀알 내 $^{99}Tc$ 농도 저감 대책으로서 유용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온실 내에서 두 가지 논토양에 대해 포트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내기 15 일 전에 약 20 cm 깊이에 해당하는 상부 토양을 상기 농용 물질과 $^{99}Tc$로 처리하였다. 처리 효과는 토양 중 농도에 대한 작물체 내 농도의 비로 정의되는 전이계수(TF)로 비교하였다. 대조 작물체의 경우 두 토양에서 현미 TF 값은 $4.1{\times}10^{-4}$$4.3{\times}10^{-4}$였다. 각종 유형의 첨가 중에서 한 토양에 대해 60%정도의 TF 값 감소를 나타낸 소석회 저수준 첨가(약 0.6 kg $m^{-2}$)만이 대책으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른 한 토양에서는 동 첨가의 효과가 거의 없었으므로 다수의 토양에 대한 평균적인 효과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두 가지 다른 수준의 유기질 비료의 첨가는 모두 TF 값을 증가시켰다. 위보다 더 낮은 수준의 소석회 첨가에 대해 실험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석탄(石灰) 및 전분첨가(澱粉添加)에 따른 침수(湛水) 토양(土壤)의 규산흡수량(珪酸吸收量) 및 흡착특성(吸着特性) 변화(變化) (The Effect of Additions of Lime and Starch on the Silica Sorption Characteristics in Submerged Paddy Soil)

  • 윤정희;황기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5-38
    • /
    • 1984
  • 실험실내(實驗室內)에서 유효규산함량(有效珪酸含量)이 다른 2개(個) 식양질(埴壤質) 토양(土壤)에 석회(石灰)와 전분(澱粉)을 첨가(添加)하고 $25^{\circ}C$로 1개월간(個月間) 담수항온(湛水恒溫) 처리(處理)한 뒤 토양(土壤)의 유효규산(有效珪酸)과 수용성(水溶性) 규산(珪酸)의 행동(行動)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담수토양(湛水土壤) 중(中) 유효규산함량(有效珪酸含量)은 pH상승(上昇)과 Eh저하(低下)에 의하여 증가(增加)되었고 동일(同一) pH조건(條件)에서는 Eh가 낮은 토양(土壤)에서 높았다. 2. 수용액(水溶液) 중(中) 규산(珪酸)이 토양(土壤)에 흡수(吸收)되는 량(量)은 전분처리(澱粉處理)로 현저(顯著)히 증가(增加)되었다. 3. 석회처리(石灰處理)에 의한 토양(土壤)의 규산흡수량(珪酸吸收量) 증감(增減)은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았으나 첨가용액(添加溶液)의 규산농도(珪酸濃度)가 낮은 경우(境遇)는 석회시용(石灰施用)으로 흡수량(吸收量)이 다소(多少) 증가(增加)되었다. 4. 답토양(畓土壤)의 규산흡수양상(珪酸吸收樣相)은 Langmuidr 등온흡착식(等溫吸着式)과는 전혀 달랐고 Freundlich 등온흡착식(等溫吸着式)과 유사(類似)하였다.

  • PDF

메밀의 rutin 생합성과 수량에 대한 토양개량제의 효과 (The Effect of Soil Conditioners on the Rutin Biosynthesis and the Yield of Buckwheat(Fagopyrum esculentum moench))

  • 김희권;이인;김병호;윤봉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11
    • /
    • 1999
  • 메밀의 rutin생합성과 수량에 대한 토양개량제의 효과를 구명 하기 위하여 전남농업기술원 시험포장에서 3요소, 3요소+석회, 3요소+붕사, 3요소+계분퇴비, 3요소+유박을 시용 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 메밀 식물체중의 인산 함량은 개화전 보다 개화기에 증가 하였고, 질소, 가리, 석회, 고토는 감소 하였다. 메밀중의 rutin은 줄기보다 잎에 다량함유되어 있으며 개화전보다 개화기에 많이 함유 하고 있었다. 잎중의 rutin과 아미노산 함량과는 정의 상관 이었으며, 줄기중의 아미노산 함량과는 부의 상관 이었다. 수량은 3요소+붕사 시용구에서 $1,092kg\;ha^{-1}$로 3요소 시용구 보다 21% 증수 하였다.

  • PDF

다중 호기 소화공정을 이용한 양돈분뇨 슬러리의 자원화 연구 (Recycling Studies for Swine Manure Slurry Using Multi Process of Aerobic Digestion (MPAD))

  • 김수량;윤성호;이준희;이명규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5-160
    • /
    • 2009
  • 본 연구는 양돈분뇨를 이용하여 생물, 화학, 물리적 공정을 연계하여 각 공정별로 자원화 할 수 있도록 다중 분획 자원화 공정(MPAD)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 적용하였으며 공정별로 생산된 생산물의 비료이용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특히 석회고형화 장치에서 생산된 석회처리고형물의 생산공정을 통해 자원순환형 토양개량재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토양은 강원도의 영월, 정선, 충청북도의 단양, 경상북도의 문경 지역 등 일부 석회암지대를 제외하면 거의 모든 토양이 산성토양이다. 또한, 광산활동을 하고 있는 지역에서는 그 특성상 광미나 산성광산 폐수 등으로 인해 토양산성화 등의 오염이 여타지역과 비교해 매우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산성폐수나 침출수를 처리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중화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석회질의 alkalinity가 높은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산림복원이나 토양개량의 경우에도 복토재나 비료에 석회처리를 하여 오염토양을 복원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석회처리고형물은 기존의 일반 퇴비에 비해 유기물과 다량의 석회질이 포함되어 있고, 다양한 크기의 펠렛으로 생산 할 수 있다. 따라서 훨씬 고품질의 퇴비를 경지에 환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성오염 토양 및 광해지역에서의 토양개량재로서도 그 가능성이 기대된다.

  • PDF

수도(水稻)에 대(對)한 가리분시(加里分施)에 관(關)한 연구(硏究) -석회(石灰)의 시용(施用)과 가리(加里)의 기추비량(基追肥量)- (Studies on the split application of potassium on paddy -The amount of potash to be applied for basal and top dressing in case of liming)

  • 오왕근;이성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77-181
    • /
    • 1975
  • 석회(石灰)의 시용(施用)과 가리(加里)의 기초비량(基追肥量)과의 관계(關係)를 밝히기 위(爲)하여 pH를 7.0으로 높이는데 필요(必要)한 소석회(消石灰)를 이앙(移秧) 2주전(週前)에 시용(施用)한 토양(土壤)과 무석회(無石灰) 토양(土壤)을 충전(充塡)한 0.2827a 무저(無底)콩크리트 폿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이 시험(試驗)에서는 수도진흥(水稻振興)을 심었으며10a 당(當)12kg에 상당(相當)하는 가리(加里)를 이앙후(移秧期), 이앙(移秧)19일후(日後), 유수형성기중익(幼穗形成期中二期) 또는 삼기(三期)에 분시(分施)하였는데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석회(石灰)의 시용(施用)에 관계(關係)없이 10a당(當) $K_2O$ 4kg 또는 그이하(以下)를 기비(基肥)로 하고 나머지를 등분(等分)하여 이회(二回)에 분시(分施)하거나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일회(一回)에 추비(追肥)하는 것(추비중점(追肥重點))이 수수(穗數)를 늘리고 도엽중(稻葉中)의 K/Ca+Mg 당양비(當量比)를 높였으며 수당입수(穗當粒數)를 늘리고 염실율(鹽實率)을 높여서 정조(正租)의 증수(增收)를 가져왔다. 2. 기비(基肥)로 시용(施用)하는 가리(加里)가 많으며 분벽(分蘗)이 억제(抑制)되고 수수(穗數)가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이경향(傾向)은 높은 염농도(鹽濃度)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Lead Stabilization in Soil Amended with Lime Waste: An Extended 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 (EXAFS) Investigation

  • Lim, Jung Eun;Lee, Sang Soo;Yang, Jae E.;Ok, Yong Si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43-450
    • /
    • 2014
  • To determine Pb species in soils following the immobilization process, sequential extraction has been used despite the possibility of overestimating Pb species from unintended reactions during chemical extraction. Meanwhile, the application of extended 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 (EXAFS) has been shown to provide a more precise result than chemical extraction. In this study, the immobilization of Pb in contaminated soils treated with liming materials such as oyster shell (OS) or eggshell (ES) was evaluated with thermodynamic modelling and EXAFS analysis. Thermodynamic modelling by visual MINTEQ predicted the precipitation of $Pb(OH)_2$ in OS and ES treated soils. In particular, the values of saturation index (SI) for $Pb(OH)_2$ in OS (SI=0.286) and ES (SI=0.453) treated soils were greater than in the control soil (SI=0.281). Linear combination fitting (LCF) analysis confirmed the presence of $C_{12}H_{10}O_{14}Pb_3$ (lead citrate, 44.7%) by citric acid from plant root, Pb-gibbsite (Pb adsorbed gibbsite, 26.4%), and Pb-kaolinite (Pb adsorbed kaolinite, 20.3%) in the control soil. On the other hand, $Pb(OH)_2$ (16.8%), Pb-gibbsite (39.3%), and Pb-kaolinite (25.6%) were observed in the OS treated soil and $Pb(OH)_2$ (55.2%) and Pb-gibbsite (33.8%) were also confirmed in the ES treated soil.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treatment with OS and ES immobilizes Pb by adsorption of Pb onto the soil minerals as a result of the increase in soil negative charge and the formation of stable $Pb(OH)_2$ under high pH condition of soils.

특이산성토양(特異酸性土壤)에서 담수시(湛水時) 석회처리(石灰處理) 및 온도조절(溫度調節)이 토양(土壤)의 유효성분(有效成分)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Lime and Temperature on the Changes of Available Soil Nutrients in Acid Sulfate Soil under Submergence)

  • 강위금;하호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82-288
    • /
    • 1985
  • 산성황산염토양(酸性黃酸鹽土壤)에서 담수시(湛水時) 석회(石灰) 처리량(處理量)과 온도(溫度) 조건(條件)에 따른 유효인산(有效燐酸)과 규산(珪酸)의 변화양상(變化樣相)과 함께 토양산도(土壤酸度)와 여러가지 화학성분(化學成分)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구명(究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담수조건(湛水條件)은 토양(土壤)의 pH, 유효인산(有效燐酸) 유효규산(有效珪酸),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 제일철(第一鐵)의 증가(增加)와 알루미늄, 유효(有效)망간,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의 감소(減少)를 보였다. 2. 석회처리(石灰處理)는 토양(土壤)의 pH, 유효인산(有效燐酸), 유효규산(有效珪酸),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의 증가(增加)와 알루미늄, 제일철(第一鐵), 유효(有效)망간의 감소(減少)를 보였다. 3. 석회(石灰) 12me/100gr 처리(處理)에서 pH 6.5 내외(內外)를 유지(維持)하였을 뿐만아니라 유효인산(有效燐酸),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의 증가(增加)와 알루미늄, 제일철(第一鐵)의 감소(減少)에도 효과(效果)가 컸다. 4. 온도간(溫度間)에는 $25^{\circ}C$보다 $35^{\circ}C$항온구(恒溫區)에서 유효인산(有效燐酸),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 그리고 환원태(還元態)인 제일철(第一鐵)의 생성(生成)이 많았다. 5. 담수기간(湛水期間) pH는 유효규산(有效珪酸)과 고도(高度)의 정상관(正相關)이 있었으며, 알루미늄, 제일철(第一鐵), 유효(有效)망간과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