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ht-cured orthodontic resin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5초

교정용 광중합형 및 화학중합형 레진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F SHEAR BOND STRENGTH AND FAILURE PATTERNS IN LIGHT-AND SELF-CURED ORTHODONTIC RESIN)

  • 이민하;양규호;박영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49-558
    • /
    • 1996
  • Light-cured orthodontic composite resin has been widely advertised recently for use in bonding brackets. However, the curability of light-cured resin when light waves are diffused through metal brackets in questionabl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shear bond strength and failure patterns of visible light-cured resin(Lightbond) and chemically cured-resin(Mono-Lok 2), and to determine the relative value of light-cured resin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chemically cured resin. Each of the two resins was tested on twenty extracted human first premolars. Standard edgewise metal brackets were bonded to the teeth in accordance with the manufacturers' recommendation. After bonding, the teeth were stored for 24 hours at $37^{\circ}C$, 100% humidity. The shear bond strength was tested with a universal testing machine(Instron 4302), at 0.5mm/min crosshead speed. After debonding, brackets and enamel surfaces were examin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a stereoscopic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etal brackets bonded with Lightbond showed statistically higher shear bond strength than metal brackets bonded with Mono-Lok2. 2. The predominant failure site in Lightbond was the enamel-resin interface, and in Mono-Lok 2 it was the resin itself. 3. Enamel cracks were not found in any specimen.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direct bonding of metal brackets to enamel with light-cured resin bonding agent can be used effectively in clinics.

  • PDF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가 광중합형 및 화학중합형 교정용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LUORIDE RELEASING ORTHODONTIC SEALANT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LIGHT-AND CHEMICAL-CURED ORTHODONTIC RESINS)

  • 김봉현;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81-789
    • /
    • 1997
  • 본 연구는 교정치료를 위해 최근에 발거된 소구치 65개를 대상으로 발거직후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생리식염수에 담구어 보관한 후 법랑질을 퍼미스 및 $38\%$ 인산으로 표면 처리하고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로는 광중합형 FluoroBond, 광중합 접착제로는 Transbond, 화학중합 접착제로는 Mono-Lok 2를 선정하여 1차 부착 및 재부착시의 전단결합강도를 만능강도시험기로 측정함으로서, 치아우식 예방 및 진행 억제효과를 지닌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가 광중합형 및 화학중합형 교정용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재부착에 의한 전단결합강도의 변화를 규명하고, 광중합형 접착제와 화학중합형 접착제 사이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1차부착에 의한 전단결합강도의 크기는 Mono-Lok2군(11.84MPa), Trans bond군(10.75MPa), Light cured FluoroBond+Mono-Lok 2군(9.69MPa), Light cured FluoroBond+Transbond군(9.39MPa)순이었다. 2. 재부착에 의한 전단결합강도의 크기는 Transbond군(7.40MPa), Light cured FluoroBond+Transbond군(6.48MPa), Mono-Lok 2군(5.89MPa), Light cured FluoroBond+Mono-Lok 2군(5.15MPa)순이었다. 3.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를 적용한군과 적용하지 않은 군 모두에서 화학중합형 접착제가 광중합형 접착제보다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4.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를 적용한군과 적용하지 않은 군 모두에서 재부착된 광중합형 접착제가 재부착된 화학중합형 접착제보다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없었다(p>0.05). 5. 1차 부착된 군에 비해 재부착된 모든 군에서 전단결합강도가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p<0.001).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볼 때 임상적으로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에 경향을 미치지 않는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를 치아 협면에 적용하여 불소의 유리에 의한 치아우식 예방 및 억제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광중합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GHT CURED GLASS IONOMER CEMENT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 김철;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27-334
    • /
    • 1997
  • 광중합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Fuji Ortho $LS^{(R)}$)와 화학중합형 레진 시멘트(Mono $Lok2^{(R)}$)을 선택하여 사람의 소구치를 대상으로 법랑질을 퍼미스 및 10% 폴리아크릴산, 38%인산으로 표면처리한 후 금속 및 프라스틱 브라켓을 부착하고 섭씨 $37^{\circ}C$의 생리 식염수에 24시간, 48시간 경과 시키고 만능강도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비교함으로써 교정용 접착제로서 광중합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가 임상적 적용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규명하고자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퍼미스로 법랑질을 표면처리한 광중합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군의 전단결합강도는 화학중합형 레진군의 결합 강도보다 유의성 있게 낮았다(P<0.01). 2. 10% 폴리아크릴산으로 법랑질을 표면처리한 광중합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군의 전단 결합강도는 화학중합형 레진군보다 유의성이 낮았다(PC0.01). 3. 10% 폴리아크릴산으로 법랑질을 표면처리한 광중합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군의 전단결합강도는 피미스로 법랑질을 표면처리한 광중합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군보다 약간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4. 메탈과 플라스틱군의 법랑질 표면처리에 관계없이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비록 광중합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가 화학중합형 레진 시멘트보다 결합강도는 낮지만 이의 임상적 적용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브라켓 접착후 시간 경과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HEAR BOND STRENGTHS INFLUENCED BY TIME ELAPSED AFTER BRACKET BONDING WITH A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 이기수;임호남;박영국;신강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05-611
    • /
    • 1995
  • 이 연구는 시간 경과에 따라 폴리아크릴산 용액으로 표면 조건화된 법랑질에 대한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브라켓 전단결합강도를 인산용액으로 부식된 법랑질에 대한 치과 교정용 레진 접착제의 그것과 비교하여 브라켓을 접착할 때 상용되어 온 치과교정용 레진 접착제를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며 시멘트로 대체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발거된 사람 소구치의 법랑질 표면을 각각 10% 폴리 아크릴산용액과 38% 인산용액으로 처리한 후, 각각 시판되고 있는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일종(Fuji II LC)과 화학중합형 치과교정용레진접착제의 일종(Mono-Lok 2)으로 법랑질 표면에 금속브라켓을 접착하고, 시편을 실온에서 5분, 15분 방치한 후, $37^{\circ}C$의 증류수 속에 1일, 35일 동안 침지시킨 후, 브라켓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접착파절 패턴을 관찰하였다. 브라켓 접착5분과 15분 후의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브라켓 전단결합강도는 치과교정용 레진 접착제의 그것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와 치과 교정용 레진 접착제의 브라켓 전단결합강도는 브라켓 접착 1일 까지 증가하였으나 1일군과 35일군의 그것 사이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가 브라켓 접착제로서 임상적인 유의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Comparison of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using various zirconia primers

  • Lee, Ji-Yeon;Kim, Jin-Seok;Hwang, Chung-Ju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64-170
    • /
    • 2015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 (SBS) of orthodontic brackets bonded to zirconia surfaces using three different zirconia primers and one silane primer, and subjected to thermocycling. Methods: We designed 10 experimental groups following the surface treatment and thermocycling. The surface was treated with one of the following method: no-primer (NP), Porcelain Conditioner (PC), Z-PRIME Plus (ZP), Monobond Plus (MP) and Zirconia Liner Premium (ZL) (n=20). Then each group was subdivided to non-thermocycled and thermocycled groups (NPT, PC, ZPT, MPT, ZLT) (n=10). Orthodontic brackets were bonded to the specimens using $Transbond^{TM}$ XT Paste and light cured for 15 s at $1,100mW/cm^2$. The SBS was measured at a 1 mm/min crosshead speed. The failure mode was assessed by examination with a stereomicroscope and the amount of bonding resin remaining on the zirconia surface was scored using the modified adhesive remnant index (ARI). Results: The SBS of all experimental groups decreased after thermocycling. Before thermocycling, the SBS was ZL, $ZP{\geq}MP{\geq}PC>NP$ but after thermocycling, the SBS was $ZLT{\geq}MPT{\geq}ZPT>PCT=NPT$ (p > 0.05). For the ARI score, both of the groups lacking primer (NP and NPT) displayed adhesive failure modes, but the groups with zirconia primers (ZP, ZPT, MP, MPT, ZL, and ZLT) were associated with mixed failure modes. Conclusions: Surface treatment with a zirconia primer increases the SBS relative to no-primer or silane primer application between orthodontic brackets and zirconia prostheses.

Effects of a new desensitizing paste containing 8% arginine and calcium carbonate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 Yagci, Ahmet;Uysal, Tancan;Akinci, Hatice;Uysal, Banu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1-126
    • /
    • 201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hear bond strength (SBS) and failure site location of brackets bonded to enamel with or without desensitizer application. Methods: Sixty-six freshly extracted human premolar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of 22. Group 1 served as the control. Desensitizer was applied to the remaining teeth at two time intervals (Group 2, bonded immediately after Pro-$Relief^{TM}$ (Colgate-Palmolive Co., New York, NY, USA) application and Group 3, bonded 30 days after Pro-$Relief^{TM}$ application with the teeth stored in artificial saliva during the 30 days). Orthodontic brackets were bonded with a light cure composite resin and cured with a halogen light. After bonding, the SBS of the brackets was tested using a universal testing device. Adhesive remnant index (ARI) scores were determined after the brackets failed. Data were analyzed with analysis of variance, Tukey's HSD, and G tests. Results: The SBS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2 than in Groups 1 (p = 0.024) and 3 (p = 0.017). Groups 1 and Group 3 did not differ (p = 0.991). ARI scor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groups. Conclusions: The Pro-$Relief^{TM}$ desensitizer agent applied immediately before bonding significantly reduces bond strength, but the SBS values still exceed the minimum 5.9 - 7.8 MPa required for adequate clinical performance. Immersing the teeth in artificial saliva for 30 days after applying the Pro-$Relief^{TM}$ desensitizer agent and before bonding increased the SBS to control levels.

수종 상아질 표면처리제에 의한 레진 침투 및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N IMPREGNATION AND SHEAR BOND STRENGTH BY VARIOUS DENTIN CONDITIONERS)

  • 이광원;이명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5권1호
    • /
    • pp.201-216
    • /
    • 1990
  • A variety of surface pre-treatments have been advocated to prepare the dentin prior to placement of a bonding ag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dentin conditioners upon the degree of resin impregnation to the dentinal tubules and the shear bond strength of a new dentinal bonding agent (Scotchbond 2) used in conjunction with a visible light cured composite (Silux). The healthy eighty human molars extracted due to periodontal or orthodontic reasons were used and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All the grinded dentin surfaces were conditioned with 3% $H_2O_2$, Cavity Cleanser (Columbus/Bayer), Dentin Conditioner (GC Inter. Corp.), Scotchprep (3M Co.)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directions. The specimens were then demineralized in 10% HCl for 20 sec. and 24 hrs. in order to observe the resin tags in Hitachi X-450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t 25KV. Also, shear strengths were obtained using an Instron Testing Machine with a cross head speed of 1 mm/mi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In group treating with Dentin Conditioner and Scotchprep, the resin strings were formed on most of the surfaces and penetrated more than $50{\mu}m$ into the tubules. 2. The inner surface of resin treated with Cavity Cleanser, indicating the resin strings formed partly and penetrated about in depth of $30{\mu}m$. 3. I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3% $H_2O_2$, the resin tags were not formed, if any, penetrated shortly. 4. Shear bond strengths in groups treating with Dentin Conditioner and Scotchpre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than with 3% $H_2O_2$. (P<0.01). 5. The Scotchprep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hear strength than groups treated with no conditioning and Cavity Cleanser.(P<0.01) 6. Shear bond strengths evaluated were gradually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tag length of resin impregnation.

  • PDF

광중합형 레진으로 아말감 면에 브라켓 접착 시 전단결합강도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adhesive to amalgam surface using light-cured resin)

  • 조지영;이동렬;임용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43-450
    • /
    • 2005
  • 본 연구는 아말감 면에 광중합형 레진으로 교정용 브라켓을 접착시킬 경우, 광원의 차이(할로겐 광중합기와 light-emitting diode (LED) 광중합기)와 샌드블라스팅 표면처리 여부에 따른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발거된 소구치 30개를 대조군으로 이용하였으며 법랑질 표면을 산부식한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브라켓을 접착하였다. 60개의 다른 소구치에 아말감 충전을 하여 실험군으로 이용하였다. 두 군에서 할로겐 광중합기와 LED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브라켓을 접착시키고 브라켓이 탈락될 때까지 힘을 가해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군의 전단결합강도는 약 3-5.5 MPa로 대조군(19MPa)보다 낮았다. 실험군에서 샌드블라스팅 표면처리를 한 경우, 할로겐 광중합기를 사용한 군이 LED 광중합기를 사용한 군보다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P<0.05), 샌드블라스팅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광원에 따라 전단결합강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할로겐 광중합 군과 LED 광중합 군 모두에서 샌드블라스팅 여부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아말감 면에 광중합형 레진을 이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할 경우 할로겐 광중합기와 LED 광중합기로 얻을 수 있는 접착제의 결합강도는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낮게 나타나, 이의 증진 방법을 도모하기 위해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lasma arc curing system을 이용한 브라켓의 접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 BY PLASMA ARC CURING SYSTEM FOR BRACKET BONDING)

  • 김정윤;김종수;권순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38-642
    • /
    • 2001
  • 최근에 소개된 Plasma arc lamp를 이용한 고광도 광조사기는 조사되는 광도를 크게 증가시켜 필요한 조사시간을 단축시키고자하는 연구의 결과중 하나이다. 교정 임상에서 브라켓의 접착시 고광도 광조사기를 사용하여 시술시간을 줄인다면 환자뿐만 아니라, 술자에게도 시간적이나 경제적으로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Plasma arc light를 사용하여 접착시킨 브라켓의 치면에 대한 전단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기존의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광중합 방법과 비교해보기 위함이다. I군은 할로겐 램프를 사용하는 $XL3000^{(R)}$을 이용하여 총 50초간 광중합하였고 II군은 plasma arc lamp를 사용하는 $Flipo^{(R)}$를 이용하여 2초간 광중합하였으며 III군도 $Flipo^{(R)}$를 이용하여 총 5초간 광중합하여 전단강도 측정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세 군의 전단강도의 평균은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2. 세 군간의 통계학적 유의 차가 없었다(p>0.05).

  • PDF

다양한 교정용 접착제의 표면거칠기와 표면에너지 요소 분석 (Surface roughness and surface free energy components of various orthodontic adhesives)

  • 안효범;안석준;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60-368
    • /
    • 2006
  • 치과용 재료의 표면특성은 세균 부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섯 종류의 광중합 교정용 접착제(불소를 방출하지 않는 세 종류의 콤포지트 레진, 불소를 방출하는 콤포지트 레진 한 종류, 레진 변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한 종류)의 표면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표면거칠기는 공초점 레이저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접촉각과 표면에너지 요소는 sessile drop metho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교정용 접착제간 표면거칠기는 각 재료간 표면거칠기 차이가 $0.05\;{\mu}m$ 이하로 상대적으로 적지만 각 재료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Transbond XT와 Enlight는 Monolok2와 Lightbond 보다 유의하게 덜 거칠었다. 접촉각과 표면에너지 구성성분은 접착제 사이에 유의성 있는 큰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레진 변형 글래스아이오노머와 콤포지트 레진 접착제간에 접촉각과 표면에너지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레진 변형 글래스아이오노머의 경우 콤포지트 레진 접착제에 비해 유의하게 작은 접촉각과 높은 표면에너지를 보였으며 콤포지트 레진 접착제보다 강한 극성, 특히 강한 염기성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레진 변형 글래스아이오노머가 콤포지트 레진 접착제에 비해 세균 부착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