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catalog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2초

정보접근의 효율성을 위한 온라인 목록의 구성 (Online Catalog Organization for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Acces)

  • 곽철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5-36
    • /
    • 1996
  • 본 연구는 이용자가 어떤 접근 점을 사용하여 온라인 목록을 탐색하며, 온라인 목록의 초기화면의 구성에 대하여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노티스 시스템과 다이닉스 시스템이 비교되었으며, 데이터는 $"2\times2"$ 의 설계로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초기화면의 형태가 이용자의 접근점 선택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접근점의 배열과 세분화가 이용자의 탐색행태에 변화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는 온라인 목록의 설계에서 초기화면에 이용자에게 접근점 선택 없이 탐색어만 입력하도록 하고, 탐색 결과화면에서 검색된 자료를 제시하여 이용자가 관련된 필드를 선택하게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 이용자가 잘못된 접근점을 선택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실패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WIKI cataloging 정신을 통한 공동목록 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of the Union Cataloging by WIKI Cataloging Philosophy)

  • 남영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5-89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아웃소싱으로 반입된 서지데이터의 질을 담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위키 카타로깅 방식의 종합목록 작성을 제안하였다. 위키 카타로깅은 일련의 편목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갖추고 있는 사서의 협력을 통해 종합목록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의미하였다. 그 방안은 전문 사서들 의 협력에 기반한 1)위키 카타로깅의 정책, 2) 전용 위키시스템의 개발, 3) 위키 목록규칙의 제정 등이다. 특히, MARC의 기본서지요소 245, 260, 300 필드를 전문사서들이 담당하고, 확장부가요소는 일반 사서들이 담당하는 위키카타로깅의 질을 확보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Subject Searching Using Controlled Vocabulary Versus Uncontrolled Vocaburary in Online Catalog System: Focusing on Multilingual Environment

  • 최희윤
    • 정보관리연구
    • /
    • 제26권2호
    • /
    • pp.61-79
    • /
    • 1995
  • 정보검색의 성공여부는 적절한 검색어의 선정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CD-ROM이나 온라인목록시스템에서 주제검색시 분류표, 주제명과 같은 통제어와 자연어 등 비통제어의 비교 우위 문제는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다. 본고는 두 시스템의 검색효율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특히 다언어 환경하에서의 검색어 사용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형태의 검색어휘를 조사 분석하였다.

  • PDF

도서관목록 이용자의 집단별 특성과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User Groups on Library Catalog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21-442
    • /
    • 2013
  • 도서관목록에 있어 '이용자'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다. 그러나 도서관목록에 대한 요구와 기대가 이용자 집단별로 얼마나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는 제대로 검증된 바가 없다. 이 연구는 도서관목록에 대한 이용자 집단별 차이를 이해하고, 나아가 그러한 차이에 근거한 실행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이용자 집단을 초등학생, 중 고등학생, 대학생, 일반인 등 네 집단으로 나누고, 이들의 도서관목록 탐색행태에 대해 조사한 다음, 각 집단에서 발견되는 보편적 속성과 집단별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54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목록과 관련한 행태적 특징을 10개의 지표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이용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확인되었다. 연구의 결론에서는 후속연구를 통해 이용자 집단별로 보다 심층적인 조사와 분석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전자정보원의 공동편목을 위한 상호협력 시스템에 관한 연구 -특히 OCLC의 CORC를 중심으로- (Cooperative Cataloging System for Online Resources -With a Special Regard to CORC -)

  • 여지숙;오동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93-210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전자정보원(electronic resources)을 효율적으로 정리해서 제공하기 위해 웹사이트에서 양질의 인터넷 정보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참고도구로써 실험하고 있는 OCLC의 CORC (Cooperative Outline Resource Catalog)의 역사와 특징, 운영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국내 도서관이 당면한 관련문제를 해결하고 유사한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 PDF

한국의 목록규칙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 1954년 이전까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ataloging Rules in korea - Before 1954 -)

  • 도태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9-167
    • /
    • 2000
  • 한국의 목록규칙 발전과정은 전통적 단일기입목록 시기(고려시대부터 1923년 경까지), 서양식 목록규칙 도입기(1923년경부터 1954년 이전까지), 국제 표준화기(1954년 이후부터), 자동화목록기(1980년 이후부터)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단일기입목록 시기와 서양식 목록규칙 도입기를 중심으로 목록의 구성이나 표목선정과 관계되는 목록의 편성체계, 그리고 문헌의 식별과 관계되는 서지기술체계 등을 고찰하였다.

  • PDF

조선시대에 간인(刊印)된 "춘추(春秋)" 판본(板本)에 관한 서지적(書誌的) 연구 (A Study on the Printed Books of Ch'un-ch'iu(春秋) Commentary in Chosun Dynasty Period)

  • 염종일;송일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31-346
    • /
    • 2007
  • 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간행된 $\ulcorner$춘추(春秋)$\lrcorner$ 주해서의 여러 판본(板本)에 대하여 문헌상의 기록과 판본에 대한 실제 조사를 통해 현존하는 판본들의 유형별, 형태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그 특징에 대하여 서지학적 고찰을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조선시대에 간행된 <책판목록(冊板目錄)> 가운데 비교적 그 작성시기가 명확한 것을 선정하여 살펴봄으로써 문헌상에 나타나는 $\ulcorner$춘추(春秋)$\lrcorner$ 판본의 개판(開板) 상황을 조사하였으며, 고서를 소장하고 있는 주요 기관들의 고서종합목록과 주요대학도서관의 고서목록DB를 검색하여 $\ulcorner$춘추(春秋)$\lrcorner$ 개판(開板)의 종합적인 서목을 작성하고, 이를 근거로 각 소장기관을 방문하여 실물의 확인과 촬영, 복사 등을 통해 현존본 $\ulcorner$춘추$\lrcorner$ 판본의 서지사항을 담은 <종합서목(綜合書目)>을 작성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종합서목>을 기준으로 활자본 14종과 목판본 13종이 현존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들의 유형별 특징에 대해서 서지학적으로 고찰하였다.

도서관상호협력기구의 도서관상호 협력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library Cooperations of Library Cooperatives)

  • 김창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3-101
    • /
    • 1994
  • In this study all kinds of Library Associations in Korea counted as Library Coperatives are surveyed under the categories of their collaborative activities as well historical develop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 1) The library cooperatives which have more working personnel are carrying out interlibrary cooperations more effectively, than those which have fewer working personnel. 2) The library cooperatives operating with established and realizable regulations or rules are more progressive in interlibrary cooperations than those operating with traditional practices or customary rules. 3) The library cooperatives with executing committee appear to be more progressive in interlibrary cooperations than those without it. 4) Both updating frequency of union catalog or union list and publishing intervals of supplementary editions are proved to b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library cooperations. 5) Three of library cooperatives are employing the systems for payment of information provisions in interlibrary cooperations but the other library cooperatives are employing no payment systems, or not following such systems. By the results, six kinds of suggestions to improve the activities of korean library cooperatives have been expressed.

  • PDF

색인사 연구

  • 박준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권
    • /
    • pp.23-59
    • /
    • 1975
  • Indexes has not devcloped as an independent branch in library science from the beginning, but it has gradually evolved in a clo~eas sociation with catalog and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the development of publishing pro cesses and of the rapid social changes. Historically, index in the West can be traced back to eariler concordance. On the other hand, index in the Bast does not show a continuous development. It started with book catnlog, but other types of indexing were later 'adopted from the West. Indexing in the West and in the Eas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West, Taylor considers Gesner's Pandectae was the first index but the Concordance of the Bible in 1247 was the first true index. Indexing method was first established later in 1545 in Gesner's Partitiones which appeared in three volumes. Classified index appeared after Partitions, but alphabetically ordered index was not developed until th eseventeenth century. The pxiodical index of La France S~auante in 1683 proved -its value, and Poole's An Alphabetical Index in the nineteenth century became the turning point in the development of indexing. After Poole's Index appeared periodical index and book catalog gradually began to be treated separately, and subject index and cross reference were incorporated into indexing. Also dictionary arrangement of the indexed items was adopted in the second half of the nincteenth, century after Charles A. Cutter developed his theory of rules for dictionary catalog and systematic studies of indexing were carried out by many scholars. In the twentieth century, index was mainly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especially by Wilson publishing Company. The general trend is to move away from the gcncral index to subject index. Also the ncwspapcr indcx such as The Times I~zdcx is 21 landmark in the history cf indcxing. 2) In China, thcs arc somc cvidcnccs that $Bizgluh(&), $ was the first indcx, but unforlunatcly the book itsclf has not been found as yet.

  • PDF

'디지털 키즈'를 위한 기존 OPAC의 한계와 과제 (Limit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OPACs for Digital Kid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37-364
    • /
    • 2014
  • 이 연구는 국내 도서관계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OPAC이 어린이의 보편적 특성은 물론이고 디지털 키즈(digital kids)의 정보행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유지하면서 이 연구에서는 철저히 어린이의 관점에서 현행 OPAC의 한계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디지털 키즈가 도서관에서 자료를 탐색하는 과정과 OPAC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드러내 보이는 행태적 특징을 세밀하게 관찰하면서, 현행 OPAC의 한계점을 찾아내고 새로운 OPAC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초등학교 4-6학년 54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설문조사 참여자들 중에서 선정한 8명과의 심층면담, 그리고 6개 도서관에서 진행했던 어린이들의 탐색과정에 대한 참여관찰 등을 통해 수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