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ased theory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5초

다중지능 유형별 독후활동 연구 (A Study on After-Reading Activity by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s)

  • 임성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5-82
    • /
    • 2015
  • 본 연구는 독서교육의 문제점을 다중지능 이론과 독후활동에 근거를 두고 논하고자 한다. 다중지능 이론은 하워드 가드너 박사가 인간에게는 누구나 무한한 능력이 있다는 전제 하에 8가지의 유형을 주장했는데, 각 다중지능 유형별로 독후활동을 분석 및 적용하여 아동들의 다양한 지능을 고루 증진시키고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독서교육을 하기 위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새로운 프로그램은 아동들이 독서교육 시간에 결과물을 완성해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다양한 경험과 과정을 통해 서로가 가진 자기만의 강점 지능을 발전시키고 모자란 능력을 보완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아동 독서교육전문가들로 구성된 표본 집단을 통해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했으며, 분석 결과 표본 집단의 전반적인 생각이 연구자의 기대 효과와 부합하는 결과를 얻었다. 현재, 그리고 미래의 모든 아동들이 독후활동을 할 때 꼭 작품을 완성해야 한다는 중압감에서 벗어나 활동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고 자신의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독서교육적으로 한 차원 발전된 의미를 가진다고 본다.

Initial Design Domain Reset Method for Genetic Algorithm with Parallel Processing

  • Lim, O-Kaung;Hong, Keum-Shik;Lee, Hyuk-Soo;Park, Eun-Ho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8권7호
    • /
    • pp.1121-1130
    • /
    • 2004
  • The Genetic Algorithm (GA), an optimization technique based on the theory of natural selection, has proven to be a relatively robust means of searching for global optimum. It converges to the global optimum point without auxiliary information such as differentiation of function. In the case of a complex problem, the GA involves a large population number and requires a lot of computing time. To improve the process, this research used parallel processing with several personal computers. Parallel process technique is classified into two methods according to subpopulation's size and number. One is the fine-grained method (FGM), and the other is the coarse-grained method (CGM). This study selected the CGM as a parallel process technique because the load is equally divided among several computers. The given design domain should be reduc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feasibility, because mechanical system problems have constraints. The reduced domain is used as an initial design domain. It is consistent with the feasible domain and the infeasible domain around feasible domain boundary. This parallel process used the Message Passing Interface library.

사이버스칼러쉽 환경에서의 융복합 연구 촉진을 위한 인문학 분야 학술 커뮤니케이션 특성 파악에 관한 연구 - 역사학 분야를 중심으로 - (Exploratory Study of Characterizing Scholarly Communication Patterns in Humanities for Facilitating Consilience in Cyberscholarship Environment: Based on Historians' Research Activities)

  • 유소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31-351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사이버스칼러쉽 환경이 실제 국내 인문학 연구활동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다면적이고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제 인문학 연구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연구 결과물인 학술 문헌 내 내용각주를 사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심층 면접 분석 결과 국내 인문학 연구 과정은 "기본 지식습득, 연구 및 논문쓰기('연구 아이디어 생성-관련 연구 파악-연구 데이터 획득-논리 구조화'의 순환 구조와 논문쓰기), 논문투고 및 출판"의 단계로 파악되었으며 연구 및 논문쓰기 단계를 구성하는 세부 단계의 순환구조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각 단계별로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도구/정보원/방법이 공식 및 비공식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하여 다양하며, 특히 연구 데이터와 관련 연구 파악 단계에서 사이버스칼러쉽 관련 요소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와 관련 전문가 의견 수렴을 기반으로 할 때, 인문학자들이 인지하는 공동연구의 형태를 인정하고 이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 데이터의 디지털화와 데이터 이용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 아키비스트의 적극 활용, 인문학 연구자들의 다양한 학술 커뮤니케이션 기반을 마련하고 제공하는 것이 인문학 기반 융복합연구 촉진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광주크박스 저장장치에 기반한 비디오 서버 (Video Server with Optical Mass Storage)

  • 이종민;차호정;오재학;박병준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9권6호
    • /
    • pp.318-330
    • /
    • 2002
  • 본 논문은 광주 크박스와 테잎 라이브러리 같은 Tertiary 저장 장치를 미디어 저장 장치로 사용하는 비디오 서버의 설계와 구현에 대하여 기술한다. Tertiary 저장 장치를 스트리밍 서버의 미디어 저장 장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Tertiary 저장 장치의 하드웨어적인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스트리밍 서비스 모델이 필요하다. 논문에서는 연속 미디어의 특성을 고려한 스트림 스케쥴링, 디스크 캐슁, 사용자 수용 제어 정책 등을 제안하고 이를 핵심으로 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모델을 제시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광주크박스 저장장치를 장착한 Windows 2000 플랫폼에서 구현되었고, 다양한 실험 및 성능 분석을 통해 제안된 정책들이 올바로 동작함을 검증하였다.

미국 대학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 프로그램 연구 (A Study on Digital Humanities Education Programs at American Universities)

  • 이지수;이혜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07-128
    • /
    • 2019
  • 본 연구는 미국의 대학, 대학도서관 및 디지털 인문학 센터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를 조사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 대학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은 타 학과와 연계하여 인문학 및 디지털 기술의 관련된 강좌를 전반적으로 수강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디지털 인문학 교육 프로그램은 완전한 학위 과정으로 운영하기 보다는 대학원 수료증 과정으로 운영되며, 이수를 위해서는 사전에 문헌정보학 및 인문학의 대학원 학위를 필수로 요구하는 기관이 대부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디지털 인문학 센터는 인문학 전공자의 연구지원을 위해 대학 및 대학도서관과 연계하여 대학 내의 교수진 및 박사 후 연구원 등을 중심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의 유형은 워크숍 또는 수료증 과정이었다. 한편, 대학도서관의 교육프로그램은 대학의 모든 전공의 학생 및 연구자를 대상으로 연구지원의 형식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이론 중심보다는 디지털 프로젝트를 위한 실습에 중점을 두고 있어 대학도서관은 가장 다양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용적인 디지털 인문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디지털 리터러시의 역량을 키우고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대학도서관의 새로운 역할이 되었고 이를 위하여 도서관이 디지털 인문학 교육에 있어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문헌정보학과에서 디지털 인문학 교육도 함께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