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Policy

검색결과 720건 처리시간 0.028초

「도서관법」의 규범적 타당성 및 사실적 실효성 분석에 관한 연구 - [법률 제18547호, 2021. 12. 7. 전부개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ormative Validity and Factual Effectiveness of the 'Library Law' with a Focus on [Law No. 18547, December 7, 2021, Comprehensive Amendment])

  • 윤명희;이지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233-262
    • /
    • 2023
  • 도서관 분야 정책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실효성 있는 법규범은 중요하다. 이 연구는 2021년 12월 7일 전면 개정되어 2022년 12월 8일부터 시행 중인 도서관법(법률 제18547호)의 구성체계와 주요 개정 내용을 분석하여 규범적 타당성과 실효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정책입법의 관점에서 도서관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도서관법이 기본법으로서 규범적 타당성을 갖추고, 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높이고 질적 향상을 이끄는 주요한 토대로서 정책과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지를 실효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목적과 기본이념의 내용 보완,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책무 구체화, 도서관 정책체계 개선, 국가도서관위원회 실질적 영향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내용을 제안하였다.

대학도서관 전자자원관리정책 모형 연구 (A Research on a Model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Policy in Academic Libraries)

  • 장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25-142
    • /
    • 2013
  • 이 연구는 정보환경의 변화와 대학도서관에 있어서 전자정보원의 비중 증가, 그리고 이용자 요구의 변화 등에 따라 대학도서관에서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전자자원관리정책의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우선 전자자원의 정의와 유형 전자자원관리정책의 개념과 기능, 그리고 필요성을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전자자원관리정책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는데 이를 위해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의 전자자원개발정책 가이드라인과 미국의 대학도서관들이 실제로 수립, 공개하고 있는 전자자원관리정책 사례, 그리고 관련연구들을 바탕으로 구성요소를 선정, 취합하였다. 이 결과를 종합하여 전자자원관리정책의 구성요소별 우선순위를 정하고 가상의 대학을 대상으로 전자자원관리정책 모형을 제안하였다.

디지털도서관의 정책과 제도의 분석 (Analysis of Policy and System for Digital Library)

  • 심효정
    • 정보관리연구
    • /
    • 제34권1호
    • /
    • pp.19-36
    • /
    • 2003
  • 도서관정보화 정책의 주요 부분으로 각 분야에서 다각적으로 추진중인 디지털도서관 사업의 목표는 세계적인 정보화 추세를 반영하여 도서관 정보환경을 개선하고 국민들이 다양한 디지털 지식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지식기반사회를 구현하는 데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지금까지 추진되어왔거나, 계획중인 디지털도서관 정책과 제도를 분석해봄으로써 디지털도서관의 이념과 목표를 재확인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구부립도서관과 일제의 식민지정책 (Taegu Burip Library and Japanese Colonial Policy)

  • 김남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23
    • /
    • 2001
  • 일제의 도서관정책은 한국인의 독립운동으로 전개된 민족 계몽을 위한 도서관활동을 저지 하고, 관 주도의 도서관을 통한 조선인에 대한 일본문화의 식 민화였다. 대구부립도서관은 일제 가 관 주도로 설립한 한국 최초의 부립도서관이라는 점에서 설립 배경과 활동을 식민지 정책 과 연계시켜 조사, 분석하여 일제의 도서관정책의 허구성과 조선에 대한 식민지 지배구조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도서관사연구, 일제의 식민지정책연구 그리고 대구의 도서관사연 구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 정책 분석 연구 - 제1, 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Unified Policy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the Public Library: Focusing on the First and the Secon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 차성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41-266
    • /
    • 2014
  • 본 연구는 제1, 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상의 '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 과제의 추진성과 분석과 정책 평가를 통해 해당 정책과제의 중요도, 타당성 등을 고찰하고, 일원화 추진방안의 쟁점사항에 대한 검토를 통해 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에 대한 추진전략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의 성과 분석에서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실적이 전무한 거의 선언적인 정책과제로 밝혀졌고, 도서관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수행한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상의 정책 평가에서는 실현가능성이나 구체성이 떨어지는 정책과제로 평가되었다. 선행연구 조사, 전문가 정책 평가, 현장 실무자에 대한 심층 면접조사 결과 지자체로 일원화하는 일원화 주체에 대한 정책방향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원화 방식, 조직구성, 인력 이관 및 직급 조정, 재산 이관 등에서 상당한 쟁점이 있음이 분석되어, 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를 위해서는 거시환경 차원의 구호성 정책이 아니라 과업환경 차원의 실현가능한 실질적이고도 구체적인 실천 전략이 필요함이 판단되어졌다.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도서관의 문화복지 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Welfare Library Policy for the Information Alienated Groups)

  • 이정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7-39
    • /
    • 2011
  • 본 연구는 지난 5년간의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도서관의 문화복지 정책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조직의 업무와 도서관현장을 위한 정책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첫째, 소외계층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는 단기적인 사업성 위주의 프로젝트로 진행되고 있다. 둘째, 작은도서관, 장애인정보누리터, 다문화도서관 등의 시설 건립 중심과 비전문적인 순회사서로 유지되는 운영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셋째, 정보소외계층 정책의 분산화와 민간 장애인도서관의 공공의 지원정책 미비로 인하여 협력체계 구축이 어려운 실정이다. 넷째, 대체자료 양적 확산 위주의 장애인서비스 정책이 이루어져 있음을 밝혀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도서관서비스는 보다 전문적인 정책이 개입되어 각 영역별 통합조정과 전문성 개발정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고 이를 위해서는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 별도의 문화복지 도서관정책부서 신설과 그 활동을 제언하였다.

국가 정책정보 수집력 확대를 위한 기증수요 분석 - 국가정책정보협의회 회원기관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Donation Demand for Expansion of National Policy Information Collection: Focused on National Association for Policy Information)

  • 윤희윤;오선경;김신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5-26
    • /
    • 2018
  • 국립세종도서관은 국내 행정 정책의 요람인 정부부처 및 국책연구기관에 정책수집 집행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각종 지식정보를 수집 제공하는 정책정보 중심의 특화도서관이다. 따라서 국립세종도서관의 정체성을 확고하게 하려면 납본, 구입, 수증, 디지털 아카이빙 등 다양한 수집방식을 적용하여 국내외 고품질 정책정보를 수집하고 부존 자원화 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여러 수집방안 중에서 수증에 초점을 맞추어 정책정보의 주요 생산자이자 수요자인 국가정책정보협의회 회원기관을 대상으로 협의회 운영 및 정책정보서비스에 대한 인식도와 정책자료 대량기증 수요를 조사 분석하고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 수집력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국가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정책 연구 (A Study on the National Library Service Policy for the Disabled Persons in Developed Countries: Focusing on the U.S.A., the U.K., and Japan)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15-240
    • /
    • 2007
  • 어느 국가를 막론하고 장애인은 정보접근과 도서관 이용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국가차원에서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강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미와 일본의 국가도서관을 중심으로 장애인서비스를 위한 법제, 조직체계, 지원시스템 등의 정책을 정밀 분석한 다음에 새로 발족한 국립중앙도서관 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의 위상정립 및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국립세종도서관에 대한 이해집단의 인식조사 분석 (Analysis of Stakeholders' perception abou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 윤희윤;오선경;성정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9-42
    • /
    • 2016
  • 2013년 12월에 개관한 국립세종도서관의 기본적 정체성은 정책정보 중심의 특화도서관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정체성이 자리매김하지 못하는 현실에 주목하여 이해집단(정부부처 공무원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원, 세종시민, 국립세종도서관 직원)을 대상으로 기본적 정체성과 역할 각종 서비스의 이용률 및 만족도 정책정보 및 정책정보서비스의 필요성과 이용, 전략적 및 중점적 추진과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해집단의 국립세종도서관 서비스 만족도 및 정책정보서비스 의존도 제고를 위한 인력확충과 조직확대, 국내외 정책정보 수집전략 국가정책정보서비스 강화방안을 제안하였다.

법원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의 제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osal of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of the Supreme Court Library)

  • 노영희;노지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55-7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법학 관련 도서관들의 장서개발정책을 분석하여 법원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의 기본 원칙과 지침을 설정하고 이를 근거로 법원도서관 장서개발정책 개발(안)과 세부 내용을 제안하였다. 법원도서관의 비전은 크게 각국 법률자료의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수집과 법률정보 제공의 역할을 수행하는 국가 대표 법률도서관과 법조 실무계와 학계종사자 뿐 아니라 일반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춰 대국민서비스를 제공하는 열린 법률·재판정보센터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비전을 구현하기 위한 장서개발정책 수립의 5가지 기본방향은 1) 국가 대표 법률도서관으로서의 사명과 책무 중심의 장서개발, 2) 대국민서비스를 위한 열린 법률·재판정보센터로서의 장서개발, 3) 변화하는 시대 및 정보환경에 부합하는 장서개발, 4) 법원도서관의 특성을 고려한 주제별·언어별 장서개발, 5) 일관성과 체계성 기반 자료 수집·보존·폐기 장서 개발로 제시하였다. 정책문서에 기반한 법원도서관의 장서개발을 통해 체계적 또는 전략적 장서개발을 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