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Policy and System for Digital Library

디지털도서관의 정책과 제도의 분석

  • Sim, Hyo-Jung (Dep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The Graduate School SungKyunKwan Univ., Librarian, Reporter, Korean Library Association)
  • 심효정 (성균관대학원 문헌정보학과, 한국도서관협회)
  • Published : 2003.03.31

Abstract

The purpose of digital library is realized knowledge-based society through library. This paper review analysis of policy and system for digital library promotion and plan. So it consider an idea and goal of digital library carefully and propose a direction of the future.

도서관정보화 정책의 주요 부분으로 각 분야에서 다각적으로 추진중인 디지털도서관 사업의 목표는 세계적인 정보화 추세를 반영하여 도서관 정보환경을 개선하고 국민들이 다양한 디지털 지식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지식기반사회를 구현하는 데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지금까지 추진되어왔거나, 계획중인 디지털도서관 정책과 제도를 분석해봄으로써 디지털도서관의 이념과 목표를 재확인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부. 2000. 9. 2001년도 과학기술정보화촉진시행계획. 서울:과학기술부.
  2. 과학기술부. 2001. 2002년도 과학기술정보화촉진시행계획. 서울:과학기술부.
  3. 과학기술부. 2002. 2003년도 과학기술정보화촉진시행계획. 서울:과학기술부.
  4. 공공투자관리센터, 한국개발연구원. 2001. 2001년도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국립디지털도서관 건립사업. 서울:공공투자관리센터, 한국개발연구원.
  5. 교육부. 2000. 9. 2001년도 교육정보화촉진시행계획(안). 서울:교육부.
  6. 교육인적자원부. 2002a. 2003년도 교육정보화촉진시행계획(안). 서울:교육인적자원부.
  7. 교육인적자원부. 2002b. 학교도서관 정보화를 위한 디지털자료실 시범 운영 세미나 자료집. 서울:교육인적자원부.
  8. 교육인적자원부 인정정책국. 2002. 8. 학교도서관활성화종합방안. 서울:교육인적자원부.
  9. 교육인적자원부. 행정자치부, 과학기술부. 2002.11. 대학도서관 활성화 방안(안). 서울:교육인적 자원부, 행정자치부, 과학기술부.
  10. 국가전자도서관. 2002. 사업소개, 추진현황, 참여기관, DB소개. [cited 2002. 8. 11]. .
  11. 국립중앙도서관. 2001. 2001 도서관 정보화사업 설명회 자료집. 서울:국립중앙도서관.
  12.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첨단학술정보센터. 1997. 국가전자도서관 구축 기본계획(시안). 서울: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첨단학술정보센터.
  13. 김익철. 1996. 디지틀라이브러리 희망인가 환상인가?. 디지틀도서관, 2:72-79.
  14. 문화관광부. 2000. 9. 2001년도 문화정보화촉진시행계획. 서울:문화관광부.
  15. 문화관광부. 2001. 9a. 2002년도 문화정보화촉진시행계획. 서울:문화관광부.
  16. 문화관광부. 2001. 9b. 정보화촉진기본계획(2002-2006) 수립 계획. 서울:문화관광부.
  17. 문화관광부. 2002. 8. 도서관발전 종합계획(안). 서울:문화관광부.
  18. 문화관광부. 2002. 9. 2003년도 문화정보화촉진시행계획. 서울:문화관광부.
  19. 문화관광부 도서관박물관과. 2002. 7. 28.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구축사업. 서울:정보통신부.
  20. 심효정. 2002a. 한국의 도서관정보화 정책평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1. 심효정. 2002b. 디지털도서관의 허와 실. 도서관, 57(3):3-23.
  22. 이소영. 2002. 초.중등학교‘디지털자료실’시범 설치.운영. [cited 2002. 6.1]. .
  23. 이용훈. 2000. 우리나라 도서관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도서관, 55(4):3-33.
  24. 이종문. 2001. 디지털도서관의 현재와 미래. 디지틀도서관, 22:135-142.
  25. 정보통신부. 2000a. 2000년 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서울:정보통신부.
  26. 정보통신부. 2000b. 2001년도 분야별 정보화촉진시행계획. 서울:정보통신부.
  27. 정보통신부. 2001. 2001년 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서울:정보통신부.
  28. 정보통신부. 2002. 2002년 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서울:정보통신부.
  29. 정보통신부. 2002. 1. 2002-2006 정보통신부 정보화종합계획. 서울:정보통신부.
  30. 정보통신부. 2003. 2003년도 분야별 정보화촉진시행계획. 서울:정보통신부.
  31. 최석두. 1995. 디지털도서관의 영향. 국립중앙도서관 개관 50주년 기념 논문집. 서울:동관.
  32. KESLI. 2002. 전자저널 국가컨소시엄(KESLI)의 효과. [cited 2002. 8.16]. .
  3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2a.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운영실태 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한국교육학술정보원.
  34.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2b. 학술연구정보공유체제구축. [cited 2003. 2. 1]. .
  35. 한국도서관협회. 1998. 한국 도서관 법령집-최근 입법부터 현행법까지-. 서울:한국도서관협회.
  36. 한국도서관협회. 2001. 한국도서관통계 2001. 서울:한국도서관협회.
  37.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2. 도서관 중장기발전방안 모색. 서울:한국문화정책개발원.
  38. 한국정보감리컨설팅(주). 2001. 문화관광부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구축 1차감리보고서. 서울:한국정보감리컨설팅(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