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thal factor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6초

사독의 출혈인자에 작용하는 미생물성 유출혈물질 (Isolation and charaterization of a microbial antihemorrhagic substance on snake venom)

  • 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5-153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Aspergillus 속의 한 균주가 Colubridae과 독사의 사독 주성분인 출혈독을 강하게 불찰성화 시키는 물질을 생성하므로 이 물질을 분리한 후 부분적으로 정제하여 결정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본 물질은 Colubridae과의 Agkistrodon bromohoffi brevicaudus, A. saxatilis, Trimersurus flavoviridis, A. acutus 사독의 출혈독을 정량적으로 불활성화 시키며, 최대 저해률은 80-90%에 이르며 실험한 대상 동물에 따라 활성차이가 다소 있음이 인정되었다. 예로서 병아리 피하반응에 있어서는 T. flavoviridis 사독을 동량의 시료로서 처리하였을 때 완전히 출혈활성이 저해되나 mouse 족도 조직내 반응에서는 사독의 8배량의 시료로서 출혈활성이 거의 저해되었다. 또 본 시료는 출혈독이 지니고 있는 치사활성에 있어서도 독량의 약 3배량의 시료에 의해서 거의 치사 활성을 저해하며, T. flavoviridis 사독의 HR-I 및 HR-II부종활성에 대해서는 본 물질의 1/2량 이상의 농도에서는 시료농도에 관계없이 약 50% 정도로 저해하는 반면 A. bromohoffi brevicaudus 전독의 부종은 거의 완전히 저해하였다. 사용 균은 2종의 항출혈성 물질을 생성하고 있음이 가면피내 반응에서 확인되었다.

  • PDF

Multicenter Epidemiologic Study on Hepatocellular Carcinoma in Turkey

  • Can, Alper;Dogan, Erkan;Bayoglu, Ibrahim Vedat;Tatli, Ali Murat;Besiroglu, Mehmet;Kocer, Murat;Dulger, Ahmet Cumhur;Uyeturk, Ummugul;Kivrak, Derya;Orakci, Zuat;Bal, Oznur;Kacan, Turgut;Olmez, Sehmus;Turan, Nedim;Ozbay, Mehmet Fatih;Alacacioglu, Ahme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923-2927
    • /
    • 2014
  • Background: Hepatocellular cancer (HCC) is one of the important health problems in Turkey, being very common and highly letha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linical, demographic features and risk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Nine hundred and sixth-three patients with HCC from 13 cities in Turke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sults: Only 205 (21%) of the 963 patients were women, with a male:female predominance of 4.8:1 and a median age of 61 years. The etiologic risk factors for HCC were hepatitis B in 555 patients (57.6%), 453 (81%) in men, and 102 (19%) in women, again with male predominance, hepatitis C in 159 (16.5%), (14.9% and 22.4%, with a higher incidence in women), and chronic alcohol abuse (more than ten years) in 137 (14.2%) (16.8% and 4.9%, higher in males). The Child-Pugh score paralleled with advanced disease stage amd also a high level of AFP. Conclusions: According to our findings the viral etiology (hepatitis B and hepatitis C infections) in the Turkish popul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HCC development, with alcohol abuse as the third risk factor. The Child-Pugh classification and AFP levels were determined to be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in HCC patients.

내독소내성 마우스에서 Nitric Oxide 생성에 미치는 림프구 부전 (Impaired Functions of Lymphocytes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Endotoxin- Tolerant Mice)

  • 길영기;강미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471-147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내독소내성 상태에 있는 마우스 세포의 싸이토카인 생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대식세포-림프구 공동배양계를 이용한 nitric oxide (NO) 생성을 조사하였다.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에 lipopolysaccharide (LPS)와 interferon-g (IFN-g)를 처리시 NO 생성이 증가되었으며, tumor necrosis factor-a (TNF-a) 또한 LPS처럼 NO 합성을 자극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한편, 대식세포를 비장세포와 공동배양시, LPS 단독처리만으로도 NO 합성이 증가되었다. 반면, 2.5 mg/kg LPS로 전처리하고 치사량의 LPS를 2차 투여한 마우스의 경우, 마우스의 치사 및 혈중 TNF-a와 IFN-g가 증가되지 않았다. 또한 LPS-내성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대식세포를 정상 비장세포와 공동배양시 LPS에 의한 NO생성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외래 TNF-a에 의한 NO 생성도 일어나지 않았다. 이와 아울러 정상 대식세포와 LPS 내성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비장세포를 공동배양하였을 때, LPS 자극으로 인한 NO 생성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이러한 억제현상은 외래 IFN-g 또는 IFN-g 생성을 촉진시키는 concanavalin A (ConA)에 의해서 다시 역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식세포 뿐만 아니라 림프구도 LPS 내성에 관여하는 것을 보여준다고 사료된다. INF-g는 TNF-a 발현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림프구의 INF-g 합성 감소는 LPS에 내성을 보이는 대식세포의 TNF-a 합성 저하와 상호작용으로 내독소내성 상태를 유도하며 과도한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LPS 내독소내성은 중환자의 심각한 패혈증에 대한 예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방사선 조사와 Adriamycin 병용 투여가 마우스 소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Combined Effect of Adriamycin and Irradiation on the Small Intestinal Villi of Mice)

  • 홍성언;안치열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4권1호
    • /
    • pp.1-13
    • /
    • 1986
  • 방사선 조사와 adriamycin 병용투여가 마우스 소장 소낭선세포의 방사선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adriamycin의 방사선 증강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C_3H$계 마우스 120마리를 cobalt-60원 격치료기로 전복부에 조사하였다. 방사선 단독조사군은 1,000rad에서 1,600rad까지, adriamycin병용투여군은 900rad에서 1,400rad까지 각각 100rad씩 증강시켜 조사하였고 adriamycin 10mg/kg을 조사 2시간전과 4시간후에 각각 복강내에 주사하였다. 실험군은 84시간 후에 공장을 절제하고 소낭선 측정법을 이용하여 세포생존곡선을 작성하므로써 adriamycin 병용투여시의 조사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소장융모의 형태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었다. 1) 조사군의 환상면당 소낭선수는 평균 $130{\pm}16$개이었다. 2) 방사선 단독조사 군에서 소낭선세포의 평균 치사선량은 160rad이었으며, 방사선조사 2시간과 4시간후 adriamycin 병용투여군은 모두 170rad이었다. 3) 방사선조사 2시간전과 4시간 후에 adriamycin 투여군의 dose effect factor(DEF)는 1.19와 1.26이었다. 4) 주사전자현미경소견에서 조사선량 증가에 따라 소장융모의 손상이 각각 다른 형태로 뚜렷이 변하였으며, conical collapse형태로 면한 것은 단독조사군의 1,200rad와 adriamycin병용투여군의 1,000rad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마우스 소장에서 방사선과 adriamycin 병용투여시 $19{\sim}26%$의 유의한 조사효과 상승이 관찰되었으므로 향후 복부나 골반부에 방사선조사와 항암제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방사선 감수성이 높은 장기인 소장에 대한 손상을 고려하여 임상에서 암의 방사선치료에 깊은 배려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pH 저하가 소백옆새우(Gammarus sobaegensis Ueno)에 미치는 급, 만성 생태독성학적 특성 -1. 정체성 조건- (Ecotoxi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ammarus sobaegensis Ueno by Acute and Chronic pH Depression on Artificial Static Waters)

  • 박정호;조동현;정근
    • 환경생물
    • /
    • 제18권4호
    • /
    • pp.377-385
    • /
    • 2000
  • 인위적인 산성스트레스가 담수산 소백옆새우(Gammarus sobaegensis Ueno)에 미치는 영향을 정체성 수조건 하에서 급, 만성 생태독성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급성독성 실험 시 pH 3 대역에서의 반수치사시간($LT_{50}$)은 평균 0.271($\pm$0.146)day로 개체의 크기 또는 먹이의 유무 그리고 주변 환경에 대한 적응능력에 관계없이 일정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었다. pH4.0대역에서의 $LT_{50}$은 0.812($\pm$0.377) day로 연장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만성 독성실험의 경우 본 종의 반수치사시간은 pH 3.0일 때 약 6-7 day로 평균 6.313 ($\pm$0.828) day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pH 5.0일 때는 평균 9.475($\pm$4.881)day의 오랜 적응 기간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먹이의 공급유무에 따라 변동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주변 환경에 적응이 잘 된 개체일수록 오랜 기간동안 생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급, 만성 pH스트레스가 가해진 소백옆새우(G. sobaegensis)의 제 2아가미 표면조직에서 심한 주름현상을 확인할 수 있어, 결국 산성스트레스는 소백옆새우(G. sobaegensis)에 있어서 급성뿐만 아니라 만성적인 영향에서도 최종적으로는 매우 치명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PDF

과립구집락자극인자 투여로 치료한 범혈구감소증과 피부 박리를 보인 붉은사슴뿔버섯 중독 1례 (A Case of Podostroma Cornu-Damae Intoxication Induced Pancytopenia and Skin Desquamation: Successful Treatment with Granulocyte Colony Stimulation Factor (G-CFS))

  • 김중석;김규원;정재일;심명기;윤기철;최용훈;이하람;최인주;심찬섭;한정호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0-54
    • /
    • 2015
  • Podostroma cornu-damae is a rare species of fungus belonging to the Hyocreaceae family. Its fruit body is highly toxic, as it contains trichothecene mycotoxins. The morphology is similar to that of immature Ganoderma lucidum, making identification difficult for non-experts. We experienced such a case of a 56- year-old male who picked and consumed podostroma cornu-damae, and consumed. Later that day, he developed digestive system symptoms, including nausea, vomiting, and abdominal pain. He presented to the emergency room (ER), there were no abnormal physical findings, symptoms improved after gastric lavage, and the patient voluntarily discharged himself on the same day. The following day, as the symptoms gradually deteriorated, he was admitted via the ER. He was presented with severe pancytopenia, alopecia, desquamation of skin, and acute renal failure. He recovered without any complications after conservative care, antibiotics therapy, and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administration. The most commonly reported complications of podostroma cornu-damae intoxication were reported pancytopenia, infection,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acute renal failure, etc. since Prevention is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its toxicity can be lethal and there is no particular treatment to date, prevention is especially important. Promotion and education for the public are needed.

  • PDF

LPS 자극 RAW 264.7 대식세포에 있어서 아로니아 열매 열수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Aronia Fruits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 양혜;오광훈;유영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1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 열매 추출물(AF-H)의 항염증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LPS 자극에 의해 유도된 RAW 264.7 macrophage의 염증반응에서 AF-H의 염증매개인자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활성과 이에 관련된 세포 내 작용기전 해석을 수행하였다. LPS($1{\mu}g/mL$)로 RAW 264.7 세포를 24시간 자극하는 염증모델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안전한 농도의 AF-H($0{\sim}500{\mu}g/mL$)를 LPS 처리 12시간 전에 처리하여 NO 및 PGE2의 분비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AF-H 처리에 의해 NO와 PGE2의 생성이 처리 농도에 의존하여 유의하게 억제되었으며, 이들 염증매개인자의 생합성 효소인 iNOS 및 COX-2의 세포 내 발현도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AF-H의 처리에 의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lpha}$와 IL-6의 분비도 유의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AF-H에 의한 항염증 활성의 세포 내 기전을 해석하기 위하여 LPS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MAPK와 $NF-{\kappa}B$ 전사인자의 활성화에 대한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AF-H는 MAPK의 인산화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고 $NF-{\kappa}B$의 활성화($I{\kappa}B$ 인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LPS에 의한 in vivo 패혈증 모델에서 AF-H에 의한 패혈증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비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AF-H 투여에 의해 생존율과 50% 사망률의 연장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보면 아로니아 열매 열수추출물은 $NF-{\kappa}B$의 활성화 억제를 통해 NO, PGE2, $TNF-{\alpha}$ 및 IL-6 등의 염증매개인자와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항염증 활성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황금, 어성초를 배합한 익수영진고가미 한약재배합물의 베타글루칸, 진세노사이드 함량, 2,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 소거 활성, 항염 활성 및 안전성 연구 (A Study on 𝛽-glucan, Ginsenoside Content, 2,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Safety of Herbal Medicine Mix - Iksooyoungjingogami with Scutellariae Radix and Houttuynia cordata Thunb)

  • 김명훈;문양선;강상미;김형석;김선종;나창수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7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eta-glucan & ginsenoside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anti-inflammatory effect and safety of herbal medicine mix. Methods The marker compounds contents, antioxidant activity and safety of herbal medicine mix were tested. The contents of beta-glucan and ginsenoside Rg3 were measured,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ti-inflammatory and a safety test was conducted via single dose toxicity assessment. Results Analyzing the contents of marker compounds showed 362.3 mg/g of beta-glucan, and 0.4184 mg/g of ginsenoside Rg3. In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IC50 of herbal medicine mix, was 0.146%. The scavenging activity of herbal medicine mix was 88.28% activity at 0.5% concentration, and 90.61% activity at 5% concentration. In the lipopolysaccharides (LPS) anti-inflammatory test, the herbal remix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𝛼) and interleukin-6 (IL-6) compared to the LPS-induced group. In the single dose toxicity test of herbal medicine mix, a dose of 2,000 mg/kg body weight (BW) was set at its highest capacity and observed after oral administration to female and male rats. No toxicological findings were recognized. It was observed that the resulting lethal dose can be set to 2,000 mg/kg BW or higher for both females and mal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on herbal medicine mix showed that the marker compounds contents were beta-glucan and ginsenoside Rg3, that antioxidant activity was observed through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ti-inflammatory effect was observed through TNF-𝛼 and IL-6 measurement, and safety was confirmed through the single dose toxicity assessment.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의 방사선보호작용에 대한 실험적 연구 (In vivo Radioprotective Effects o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in C3H Mice)

  • 김연실;윤세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253-263
    • /
    • 2002
  • 목적 : bF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분비하는 대표적인 성장인자로 섬유아세포뿐 아니라 간질조직과 골수 및 다른 상피 근원세포의 성장에도 관여하며 방사선보호제 역할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이 연구는 방사선보호제로서의 bFGF의 기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간엽조직 기원(mesenchymal origin)인 마우스육종 180 종양세포를 생쥐 대퇴부 피하에 이식하고 bFGF를 투여한 후 전신방사선조사(6, 8, 10 Gy)하여 생쥐의 생존률을 조사하고 bFGF (3, $6\;{\mu}g$/쥐)의 방사선보호효과를 관찰하였다. 동시에 이식한 마우스 180 고형종양을 국소방사선조사한 후 bFGF가 종양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bFGF에 의한 방사선보호효과의 기전을 이해 하고자 소장점막, 골수, 폐조직 및 이식종양조직에 대한 병리 조직학적 검사와 DNA terminal transferase nick-end labeling assay 방법으로 아포프토시스(apoptosis) 빈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1) 방사선조사단독군에 비해 방사선조사와 $6\;{\mu}g$ bFGF 투여병행군에서 생쥐의 골수치사를 감소시켜 생존률이 증가되었다(p<0.05). 2) 방사선조사단독군에 비해 방사선조사와 $6\;{\mu}g$ bFGF 투여병행군에서 공장 소낭선 깊이 및 미세융모 길이가 의의 있게 증가되었다(p<0.05). 소낭선세포의 아포프토시스 빈도는 방사선조사단독군에 비해 방사선조사와 bFGF 투여병행군에서 방사선조사후 8시간, 24시간에 감소하였으며 bFGF를 고용량 투여한 군에서 뚜렷하였다. 3) 골수조직에서는 방사선조사 후 7일, 14일째 세포 밀도가 방사선조사단독군에 비해 방사선조사와 $6\;{\mu}g$ bFGF 투여병행군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거핵구(megakaryocyte) 계열의 증가가 뚜렷하였다. 4) 폐조직의 H-E 염색 조직소견에서 방사선단독군과 방사선조사와 bFGF 투여병행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5) 골수 및 폐 조직에서 bFGF 투여에 따른 초기 아포프토시스 빈도의 차이는 려었다(p>0.05). 6) 양성대조군과 bFGF단독투여군 비교시 bFGF투여에 의한 종양성장은 관찰되지 않았으며(p>0.05) 방사선조사단독군과 방사선조사와 $6\;{\mu}g$ bFGF 투여병행군에서도 종양성장곡선의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 이상의 결과로 bFGF는 소장점막 및 골수세포에 방사선보호효과가 있었으며 그 기전은 조혈모세포 및 소장낭선세포의 성장 및 재생을 촉진하고 조기에 방사선으로 유도된 아포프토시스를 감소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코의 Angiocentric Immunoproliferative Lesions(AILs) (Angiocentric Immunoproliferative Lesions(AILs) in Nose)

  • 한지연;김재유;이연수;정수미;김민식;윤세철;김훈교;조승호;김병기;이경식;김동집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21
    • /
    • 1996
  • Lymphomatoid granulomatosis, polymorphic reticulosis, midline malignant reticulosis, or lethal midline granuloma have similar histologic features of an angiocentric and angiodestructive lymphoreticular proliferation representing the same nosologic entity. The term 'angiocentric immunoproliferative lesion' (AIL) was proposed by Jaffe, Costa, and Martin. The malignant potential of AILs is originally uncertain, but the facts that AILs have a relatively short survival, and most of them usually progress to an overt malignant lymphoma and survival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large, atypical lymphoreticular cells suggest that AILs are malignane. We experienced 17 AILs in nose during 16-year period and retrogradely analized them to recognize the problems in the diagnosis and to establish the further therapeutic strateg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welve of total 17 patients who had diagnosed as histologic grade 1 and 2 had received radiation therapy as an initial treatment and the complete response rate was 91.7%(11/12), but 6 out of 11 had local recurrence and 5 had progress to overt maligant lymphoma within 2years. Three patients with the histologic grade 3 and 2 with unclear histologic grade had received CHOP chemotherapy and there was 1 case with complete response. Two patients with unclear histologic grade had been proved to be malignant histiocytosis by bone marrow biopsy during the clinical course. The overall duration of survival was 2 - 119 months and the 5-year survival rate was 71.9%. And the achievement of initial complete response was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 of overall survival(P=0.006).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treatment strategy according to the histologic grading scheme is efficient and more aggressive combination chemotherapy may be necessary to achieve complete response in patients with histologic grade III and II, because most of them progress to overt malignant lymphoma during its proc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