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ntinula edodes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7초

Re-evaluation of Hypocrea pseudogelatinosa and H. pseudostraminea isolated from shiitake mushroom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in Korea and Japan

  • Kim, Chang Sun;Yu, Seung Hun;Nakagiri, Akira;Shirouzu, Takashi;Sotome, Kozue;Kim, Seon Cheol;Maekawa, Nitar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8권4호
    • /
    • pp.341-356
    • /
    • 2012
  • Shiitake (Lentinula edodes) is the most economically important cultivated mushroom, but yields are impacted by its competitor, Trichoderma spp. We previously found two unidentified Trichoderma species growing in bedlogs and sawdust shiitake media in Korea. Here, we identify and re-describe those two species based on molecular sequence data, morphology, and culture characteristics. Well-supported clades based on phylogenetic analyse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and RNA polymerase subunit II sequences grouped one of the unidentified Trichoderma spp. with Hypocrea pseudogelatinosa and the other with Hypocrea pseudostraminea, and their morphologies matched well with the original descriptions of the two Hypocrea species. This study reports the first phylogenetic analyses of H. pseudogelatinosa and Japanese strains of H. pseudostraminea. Based on the phylogenetic results, we redescribed these two species using modern taxonomic concepts in Hypocrea/Trichoderma.

3종의 버섯균사체로 발효한 천년초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Opuntia humifusa with 3 Different Mushroom Mycelia)

  • 김미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20-627
    • /
    • 2015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Opuntia humifusa with 3 different mushroom mycelia: Phellinus linteus, Lentinula edodes, and Pleurotus ostreatus. Fermented Opuntia humifusa by Phellinus linteus (FOP) and Lentinula edodes (FOL) showed mor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an non-fermented Opuntia humifusa (NFO) and fermented Opuntia humifusa by Pleurotus ostreatus (FOPO). At a concentration of 250 ppm,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FOP and FOL were similar to that of BHA, a synthetic antioxidan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had a similar tendency to that of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owever, the flavonoid content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NFO, FOL, FOPO, and FOP. At all concentrations,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FOP and FOPO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kojic acid.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NFO and FO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FOP and FOPO showed a higher fat accumulation inhibitory effect than NFO and FOL. These results provide baseline data for Opuntia humifusa as a novel functional food.

Influence of Storage Temperature on Levels of Bioactive Compounds in Shiitake Mushrooms (Lentinula edodes)

  • Yonghyun Kim;Uk Lee;Hyun Ji Eo
    • Mycobiology
    • /
    • 제51권6호
    • /
    • pp.445-451
    • /
    • 2023
  • Shiitake mushroom (Lentinula edodes) hold high nutritional and medicinal value as they contain an abundance of health-promoting compounds. However, the effect of long-term postharvest storage on the variation in the levels of health-promoting compounds has not been extensively studi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levels of phenolic compounds, antioxidants, eritadenine, and ergothioneine in shiitake mushrooms stored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1, 3, and 5 ℃) for 4 weeks. Compared to mushrooms stored at lower temperatures, those stored at 5 ℃ exhibited a higher level of total phenolics in their pileus after 2 weeks of storage; however, storage at 5 ℃ also increased the deterioration of the fruiting body of these mushrooms. In mushrooms stored at all temperatures, the eritadenine content in the pilei tended to increase up to 2 weeks of storage. In contrast, the ergothioneine content in the pileus decreased during storage, with a significantly lower level detected in mushrooms stored at 5 ℃ for 4 weeks.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accumulation of phenolics and eritadenine may be related to mushroom deterioration during storage.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levels of health-promoting compounds in shiitake mushrooms are influenced by storage temperature, suggesting the potential to control adjustments of specific bioactive compounds by regulating storage conditions.

Protease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 및 생산된 Protease의 특성 (Optimization of Submerged Culture Conditions for Protease Production and Its Enzymatic Properties)

  • 조희연;조남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5호
    • /
    • pp.12-19
    • /
    • 2004
  • 본 연구는 표고버섯균의 액체배양을 통한 protease효소의 최적생산 조건을 찾고, 생산된 protease 의 효소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Protease 대량생산을 위한 공사균으로서 표고버섯균(Lentinula edodes)을 사용하였으며, 최적생산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생산기질의 조성, 배양조건, 배양기간 등을 검토하였다. 배지의 조성별 protease 생산성에 있어서는 밀기울+옥수수가루+물+옥수수기름(WB+CF+W+CO)조합이 84.8 U/g으로서 가장 높은 protease 생산성을 보여주었고, 콩가루와 소맥분조합의 protease 생산성이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Protease 생산을 위한 배양매체로서 acetate buffer에서는 전혀 protease의 생산이 되지 않았으며, pH 6.2의 이온교환수가 80.5 U/g 의 가장 높은 protease 생산성을 나타냈다 이온교환수를 pH 4.0으로 조절하였을 때 생산성은 62.3 U/g 으로 낮아졌다. 배양기간에 따른 protease 생산성은 배양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72시간 배양으로 90.6 U/g 의 최대값에 달하였고, 그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Sephadex G-75 chromatography 로 측정한 생산된 protease 의 분자량은 약 45,000 이었다. Lentinula edodes를 이용하여 생산된 protease의 효소특성을 상이한 pH 및 온도의 조건에서 조사한 결과, 최적 pH는 4에서 나타났으며, 37℃(1 시간)에서 측정한 활성은 pH 4~6 범위에 있었다. Protease의 온도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최적온도는 55℃에서 나타났으며, 30~60℃의 넓은 온도범위에서 안정함을 알 수 있어서 이 효소는 소화용 제제, 식품공업, 맥주제조업 및 가죽무두질 등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 수집 표고 5품종의 일반성분, 유리당, 아미노산 및 무기성분 함량 (Content of proximate compositions, free sugars, amino acids, and minerals in five Lentinula edodes cultivars collected in Korea)

  • 김경제;임승빈;윤경원;제해신;반승언;진성우;정상욱;고영우;조인경;서경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16-222
    • /
    • 2017
  • 이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된 표고의 성분차이에 의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5 품종을 수집하여 일반성분 및 유리당, 아미노산 및 무기성분 함량을 비교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조지방과 조섬유 함량은 품종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가용성 무질소물, 회분, 조단백질 함량은 시료구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3종의 유리당이 검출되었으며, glucose 함량은 시료별로 5.94~12.08%까지 큰 차이를 보였다. 구성아미노산은 총 16종이 검출되었으며, '산림 5호'가 13,768.33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리아미노산은 총 16종이 검출되었으며, '산림 4호'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6,790.57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기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 potassium, calcium, magnesium 및 sodium 4개의 미네랄이 검출되었으며, sodium의 함량은 567.16~2,356.09 mg%를 차지하여 가장 큰 함량을 보였고, magnesium의 함량은 9.79~20.88 mg%였으며, calcium은 3.85~7.42 mg%로 나타났고, sodium은 19.60~22.62 mg%로 품종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컨테이너형 수출용 버섯식물공장시스템설계 및 표고버섯 생산 연구 (Study on ICT convergence in Lentinula edodes (Shiitake) cultivation system using Automated container)

  • 조우식;이성학;박우람;신승호;박창민;오지현;박후원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64-268
    • /
    • 2017
  • 하이테크 산업은 이른바 스마트 농업의 융합에 장벽을 극복하기 위해 농업의 경관을 바꾸고있다. 정밀 농업의 핵심인 온도, 습도, 위치 정보 및 실시간 요약 정보 등의 중요한 ICT제어기술을 적용하여 버섯재배온도, 습도, 조명, 이산화탄소 등의 제어가 가능한 컨테이너형 버섯재배 시스템을 설계제작하였으며, 버섯 재배에 활용가능성을 표고버섯을 대상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표고버섯의 초발이소요일수는 청색 LED광에서 5~6일, 적색 LED광, 청색-적색-흰색 혼합 LED광, 형광등에서 6~7일로 유사하였고 생체중은 청색 LED광에서 39.82 g으로 타처리구에 비해 우수하였다.

닥나무 톱밥 첨가량에 따른 표고 생육특성 비교 (Comparison of Lentinula edodes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mount of Paper Mulberry Sawdust Added)

  • 정연석;장영선;유림;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25-331
    • /
    • 2018
  • 우리는 수피를 사용 후 폐기되는 닥나무 목질부를 표고재배의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실제 사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닥나무 톱밥과 참나무 톱밥의 혼합 비율에 따라 1.2 kg의 기둥형 배지를 5가지 조건으로 제작하였다. 두 가지 균주(NIFoS 2462, 2778)를 접종하여 암배양 90일, 명배양 40일을 실시하였다. 배양이 끝난 뒤, $18^{\circ}C$, 습도 85% 이상의 조건에서 발생작업을 실시하였다. 각 발생 기간 사이에는 2주간의 휴양기간을 두었다. 1차 발생과정에서 버섯발생의 밀도가 높아, 개체의 크기가 작은 버섯들이 수확되었다. 닥나무 톱밥과 참나무 톱밥(상수리나무 1:신갈나무 1) 혼합비가 3:1일 때 가장 높은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NIFoS 2462는 닥나무 톱밥의 혼합비율이 높을수록 생산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NIFoS 2778은 닥나무가 혼합된 배지에서 버섯의 크기가 유사하였다. 반면에 NIFoS 2462는 닥나무 톱밥과 참나무 톱밥이 혼합된 배지에서 중량이 감소하였으나, 다른 특성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닥나무 톱밥은 표고 버섯 재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참나무 톱밥을 일부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폐기 된 부산물의 이용 가치를 높이는 결과라고 생각되며 연구를 계속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표고 톱밥재배용 산조 701호의 품종육성 및 재배현황 (Cultivation status and breed development of Lentinula edodes cultivar Sanjo 701ho in the sawdust cultivation)

  • 노종현;김경진;이병석;김선철;김인엽;최선규;권혁우;이원호;정의용;정남훈;고한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9-188
    • /
    • 2020
  • 표고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전역에서 오랫동안 식용으로 애용되고 있는 대중적 버섯으로 맛과 향이 독특하다. 또한 약리적인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졌다. 표고는 원목재배와 톱밥재배에 의해 생산되며 원목재배 기간은 4~5년인데 반해 톱밥재배는 6개월로 재배기간이 짧아 원목재배에서 톱밥재배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특히 산조 701호는 중고온성 품종으로 우리나라의 표고 톱밥재배 대표적인 여름철 품종으로 재배임가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임가 소득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고 톱밥재배 품종 중에서 산조 701호의 육성내력과 다양한 실증시험, 국산품종 보급확대 등 우리나라 표고산업 발전에 기여한 성과를 기술하였다.

표고 톱밥배지의 성숙도와 자실체형성 포텐셜 (Culture Maturity of Lentinula edodes on Sawdust-Based Substrate in Relation to Fruiting Potential)

  • 오가 쇼지;민두식;구창덕;최태호;안드레 레오노비치;조남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55-64
    • /
    • 2000
  • 본 연구는 표고의 톱밥재배시 재배배지의 숙도, 자실체 발생단계 및 버섯생산 수량을 정량화하고 예측하고자 실시하였다. 배지의 성숙도는 자실체 발생시기를 결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지표로서, 균주, 영양생장기간, 여러 가지 효소의 활성이 관여하며, 배지내의 성분변화, pH 변화 및 수분포텐셜 등이 영향한다. 자실체발생 초기에 배지내의 glucosamine 의 함량이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자실체 발생후 신속히 감소하였다. lipid phosphate 및 ergosterol 함량도 버섯원기 형성 시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자실체 발생직전 최고값에 달하였다. 따라서 lipid phosphate 및 ergosterol 함량이 배지의 숙도 및 자실체형성을 예측하는 주요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질내의 pH는 종균접종전 6.3으로부터 자실체형성단계에서 4.0으로 변화하였으며, pH측정으로 자실체수량을 예측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pH를 bromphenol blue(BPB)의 스프레이로 간단히 측정할 수 있었다. 아울러 기질의 수분포텐셜과 관련하여, -0.5MPa 정도의 수분포텐셜감소가 생장 및 자실체형성에 크게 영향하였으며, 우수한 숙도외 버섯재배 기질이 가지는 수분포텐셜은 버섯발생 전후 각각 -0.7MPa, -4.0MPa 였다. 높은 수분포텐셜은 고밀도의 균체콜로니를 만들 수 있었으며 균주 및 배양기간중의 상호작용이 기질의 수분포텐셜에 현저히 영향하였다.

  • PDF

표고 톱밥재배용 균주의 육종과 재배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reeding and Cultivation Characteristics of Lentinula edodes Strains for Sawdust Cultivation)

  • 유성열;박원철;구창덕;이봉훈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5-72
    • /
    • 2009
  • 톱밥배지에 적합한 품종 구비 조건으로서 요구되는 신규성, 구별성, 균일성, 안정성에 대해 교잡균주제조에 따른 균사생장, 배양일수, 생산성, 온도형 등을 비교하여 톱밥배지에 적합한 균주육종을 시도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Di-mon교배법을 이용하여 이핵 균주 21개와 일핵 균주 2개 사이의 상호교배에서 19개의 새로운 균주를 만들었다. 이 가운데 균사생장과 목재 부후력이 활발한 10개 균주를 선발하였다. 이 선발된 균주들은 100일, 125일, 150일 등으로 배양일수를 달리하여 생산성 검정을 하였다. 그 결과 100일 처리에서 KFRI 960, 961, 962, 963, 964, 971, 973균주가 생산성이 우수하였으며, 125일 처리에서 KFRI 968, 970균주가 생산성이 우수하였다. 배양일수에 따른 생산성은 100일과 150일 처리사이에서 차이가 났다. 교배 온도형의 비교는 고온성 사이의 교배와 저온성과 고온성 사이의 교배, 아직 결정되지 않은 온도형과 고온성 간의 교배의 생산성차이는 없었으며, 중온성과 고온성과의 교배로 만들어진 균주들과는 생산성 차이가 났다. 교잡균주들의 온도형 분석은 고온성 균주가 다른 온도형에 비해 우성형질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