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gal regulations

검색결과 668건 처리시간 0.046초

종합건설기업 직접시공 확대를 위한 법률 규제 강화의 실효성 검증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Strengthening Legal Regulations to Expand Direct Construction of General Construction Companies)

  • 박홍조;안성훈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41-342
    • /
    • 2023
  • This study empirically validates whether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legal regulation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under the 'Construction Business Act' is true in order to expand the direct construction of the comprehensive construction corporation. Checking the effectiveness of the legal regulation that can force direct construction of the required scope of construction will not only be a logical background in the strengthening of law regulations but also suggest arguments that contradict some construction companies called legal regulation.

  • PDF

주요국의 법정납본 법규 비교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Laws and Regulations for Legal Deposit in Major Countries)

  • 조용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69-393
    • /
    • 2021
  • 법정납본은 한 국가 내에서 생산된 출판물들을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제도이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역사와 전통을 가진 나라들의 법정납본에 관련된 법률과 명령, 규칙 등을 항목별로 비교하여 국내의 납본 관련 법규의 미비점을 개선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법정납본 제도에 관한 각종 문헌에 대한 검토와 함께 한국을 비롯해,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프랑스, 일본, 싱가포르 등 총 8개국의 납본 법규와 납본 안내자료, 납본 수행기관 홈페이지, 온라인 납본시스템 등에 대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주요 국가별 법정납본에 관한 법적 근거와 납본 기관에 대해 검토하고, 국가별 법정납본 법규를 항목별로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조사대상 국가별로 납본 대상 자료, 납본 제외자료, 납본자료의 요건, 납본 기한과 납본 비용, 납본 미이행 벌칙, 납본 부수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 급증하는 온라인 출판물의 납본에 대해 살펴보고자 각 국가별로 온라인 납본 대상 자료, 납본 제외 온라인자료, 온라인자료의 납본 요건, 온라인자료의 납본 방법 등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국가별 법정납본 법규에 대한 비교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법정납본의 발전을 위해 <도서관법> 내 납본 관련 조항의 개정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조경기본법 제정과 관련 법규의 정비방향 (Enacting Law on Principles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emedial Directions for Its Related Regulations)

  • 신익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15-12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ightness of establishing the Essential Act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Korea and to present the legal phase, the legislative system and the construction of a contents at the expected enactment of it. It is necessary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various fields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to propose the solutions of them.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 The number of the regulations related to landscape architecture is a good reason for which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is worth being included to the positive law. 2. The problems by items(ordinance, engineer, contract, planning, design and supervision, construction, maintenance, plant and planting, material, aesthetics and sight,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ecology, right and penal regulations) to the domestic related regulations being at issue and the remedies for it shall be considered at the enactment of the Essential Act of Landscape Architecture. 3. The number of the domestic regulations being related to landscape architecture which have a term of\` the Essential Act∼\`is 5. 4. The Essential Act of Landscape Architecture is the separate Essential Act welch defines the scope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construction works and controls the business essentially. 5. The meaning and character of the Essential Act of Landscape Architecture was examined and the reasons for that essential act were recognized in point of the legal, landscape architectural and educational systems. 6. The creation of new official landscape architectural organization is a reason to justify the enactment of the Essential Act of Landscape Architecture. 7. The legal phase, the legislative system and the construction of a contents of the Essential Act of Landscape Architecture ware presented and this act shall conform to such as the legal system of the Architectural Act, the Essential Ac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so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the basic materials for the creation of the Essential Act of Landscape Architecture.

  • PDF

위험작업 도급에 관한 법규제의 비교법적 고찰 (A Comparative Study of the Legal Regulations on Contracting for Dangerous Work)

  • 정진우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9-286
    • /
    • 2022
  • Objectives: South Korea'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egislation appears on the surface to have stronger regulations than any other country, but it is criticized for having many problems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ffectiveness and universality of these regul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validity of the regulatory content and the methods for contract work in South Korea. Methods: The main issues in contract work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aws systems in South Korea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Based on this, problems related to contract regulation are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 policy studies. In addition,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derived problems will be proposed. Results: Other developed countries impose obligations suitable for the status and role of persons who entrust work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y do not directly manage risks and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These countries generally impose obligations such as management of facilities and machinery,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with subcontractors,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obligations between subcontractors, and guidance obligations on a person who entrusts a work. Conclusions: It is difficult to achieve effectiveness in preventing accidents with based on unreasonable regulations that do not conform to safety principles or legal theory. Regulations on contract work need to be converted to rational cogent regulations based on science and rationality, not ideology and emotion. To this end, the legal system for contract work must have international universality.

공공기술 관리의 법적 규제 (A Study on the Legal Regulation in the Management of Public Technology)

  • 윤종민;허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578-605
    • /
    • 2006
  • 이 논문은 과학기술 영역에서의 행정규제 문제, 특히 과학기술행정의 중요수단인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으로 발생된 공공기술 관리에 관한 규제제도의 적정성 문제를 살펴보는 데 있다. 주요내용은 현행 규제제도가 법치주의 또는 규제법원리의 관점에서 적절하게 규정되어 있으며, 또한 해외사례와의 비교 및 제도운영상 개선할 점은 없는지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파악해 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공공기술 관리 규제에 관한 법체계와 내용을 간략히 살펴본 다음, 현행 규제제도의 적정성 및 타당성을 규제의 입법형식, 규제의 내용, 규제 기준 및 규제위반에 대한 제재의 문제로 구분하여 분석 평가하였다.

  • PDF

의약품 관련 법규상 개념 정의의 시행연혁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Changes in Legal Definition of Medicinal Products in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 엄석기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3-41
    • /
    • 2014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ay the groundwork for understanding the details and scope of the legal definition of medicinal products, following the changes in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This will let readers properly understand the origins of the ongoing conflicts on herbal drugs and new drugs from natural products that are present in the medical field and the medical industry. Possible solutions are proposed in the end. Method : I analyzed the changes in definition of medicinal products since 1945 that have been used in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i.e. Pharmaceutical Affairs Act) and drug approval process(i.e. New Drug Application and Investigational New Drug Application). Results : Legal definition of medicinal products ha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dualistic medical and pharmaceutical System and the introduction of the substance patent. Due to those changes, boundaries of Western medicinal products and health food expanded, while those of herbal medicine products relatively downscaled. Conclusion : Legal definition of medicinal products-i.e. Herbal Drugs, Crude Drugs, and New Drugs from Natural Products-should be reestablished according to academic legitimacy and dualistic medical and pharmaceutical System.

행정정보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법.규제 분석 (Analysis of Regulations and Legal Systems for Making Better Use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 김예진;김보라미;이봉규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1-224
    • /
    • 2011
  • 스마트 디바이스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이용이 활성화됨에 따라 행정정보가 사회 경제적 가치가 높은 유용한 정보로 부각되고 있다. 행정정보는 수집기관과 분야가 다양하고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공유와 법적 근거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행정정보 활용 시 저촉되는 법 규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행정정보 공유 프로세스를 유형화하고, 그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법 규제 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행정정보의 상업적 활용에 대한 명백한 입법 기반의 마련이 시급하며 행정정보를 수집 가공할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본 연구는 정책적 자료 및 가이드라인으로서 뿐만 아니라 산업적으로도 지대한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재 소관 법령에서 '원형유지' 원칙에 대한 법률적 검토 (Legal Review of Heritage Laws and Regulations)

  • 황권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1호
    • /
    • pp.178-189
    • /
    • 2016
  • 이 글은 문화재 관련 법령에서 '원형'이라는 철학적 개념이 어떻게 표현되어 있으며, 해당 규정의 법률적 성격은 무엇인지, 실제 문화재 관리행위별로 적용되는 양태는 어떠한지 등을 살펴보고, 법적 구속력있는 기본원칙으로 작용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은 무엇이 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현행 문화재 관련 법령은 일반 국민, 문화재 종사자에게 '원형'을 유지할 것을 기속행위로 강요하고 있으나, 실체적 규정없이 선언적 당위적으로만 명시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따라 실제 행정업무에 있어서도 원형이 무엇인지 밝히지 않고 절차적 규정만 준수하여 문화재를 원형으로 보존, 관리, 활용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원형' 관련 규정이 실체적 법규성을 갖고 문화재 관리활동 전반에 구속력있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많은 실체 규정을 보완해야 하며, 이 경우 명확성 원칙, 평등의 원칙, 비례의 원칙 등 규범통제의 기본원리에 위반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여전히 '원형' 원칙은 문화재 보호에 가장 필요한 개념이기에 법적 흠결없는 정합성있는 규범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주요 국가의 학위논문 납본 관련 법규와 실무에 관한 분석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Legal Regulations and Practices of Legal Theses Deposits in Major Other Countries)

  • 조용완;구정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45-172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을 포함한 주요 8개국의 학위논문의 법정납본과 관련된 자료들을 비교·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학위논문 법정납본 제도 개선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주로 문헌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는데, 조사대상 국가의 학위논문 납본과 제출 등에 관련된 법규와 국가도서관 및 학술유통기관의 학위논문납본 실무과정과 지침, 주요 대학들의 학위논문 납본 실무 사례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주요 논점이 되는 사안을 도출하여,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국내 학위논문 법정납본 제도를 위해 법적인 측면에서는 도서관법과 고등교육법의 개정을, 실무측면에서는 KERIS의 학위논문 수집과 제공에 관한 법적 근거의 강화와 dCollection 시스템 운영의 개선과 더불어 전자학위논문 중심의 납본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중국 GMO 법률 운영체계 및 관리정책의 문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MO Legal System and the Problems of its Management in China)

  • 유예리
    • 무역상무연구
    • /
    • 제39권
    • /
    • pp.345-366
    • /
    • 2008
  • The paper analyzes GMO legal system and the problems of its management in China and their suggestions to Korea. GMO has been arising as a principal alternative of grain while grain prices continue to climb. Although there has been concerns about GMO imported from China, it is true that we have not studied on China's legal system and the problems of its management in China. The paper believes that when Chinese government does not manage GMO primarily, we have a high possibility that China's GMO food will access to Korean market at any time, and threaten our health and safety. Hence, it is highly time to analyze how legally China treats GMO and what the problems of its management are. The paper found out problems of China's GMO management in three ways. Firstly, GMO legal system of China is confused and it has limitation of effectiveness. China has no regulations like "a law" to regulate GMO and regulations which exists now are not easy to apply in substance. Secondly, China has no administrative strictness to manage GMO. For example, the regulation which ministry of agriculture in China promulgated in March of 2002 started to use partially since 2003, 7. Thirdly, China, as a nation that administration superiors to, market does not do its roll to control GMO. It relates to the low concerns and care of Chines people about GMO. The paper shows suggestions and countermeasures according to problems of China's GMO manag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