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related emotion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5초

Detecting Stress Based Social Network Interaction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 S.Rajasekhar;K.Ishthaq Ahme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8호
    • /
    • pp.101-106
    • /
    • 2023
  • In this busy world actually stress is continuously grow up in research and monitoring social websites. The social interaction is a process by which people act and react in relation with each other like play, fight, dance we can find social interactions. In this we find social structure means maintain the relationships among peoples and group of peoples. Its a limit and depends on its behavior. Because relationships established on expectations of every one involve depending on social network. There is lot of difference between emotional pain and physical pain. When you feel stress on physical body we all feel with tensions, stress on physical consequences, physical effects on our health. When we work on social network websites, developments or any research related information retrieving etc. our brain is going into stress. Actually by social network interactions like watching movies, online shopping, online marketing, online business here we observe sentiment analysis of movie reviews and feedback of customers either positive/negative. In movies there we can observe peoples reaction with each other it depends on actions in film like fights, dances, dialogues, content. Here we can analysis of stress on brain different actions of movie reviews. All these movie review analysis and stress on brain can calculated by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ctually in target oriented business, the persons who are working in marketing always their brain in stress condition their emotional conditions are different at different times. In this paper how does brain deal with stress management. In software industries when developers are work at home, connected with clients in online work they gone under stress. And their emotional levels and stress levels always changes regarding work communication. In this paper we represent emotional intelligence with stress based analysi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in social networks. It is ability of the person to be aware on your own emotions or feeling as well as feelings or emotions of the others use this awareness to manage self and your relationships. social interactions is not only about you its about every one can interacting and their expectations too. It about maintaining performance. Performance is sociological understanding how people can interact and a key to know analysis of social interactions. It is always to maintain successful interactions and inline expectations. That is to satisfy the audience. So people careful to control all of these and maintain impression management.

정서, 가정환경, 학교환경이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동기조절 행동조절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motion, home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on self-regulated learning: focusing on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

  • 이신동;박혜영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33-156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이 중학교 2학년이 된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정서, 가정환경, 학교환경이 자기조절학습의 구인인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95개교 2070명의 중학교 2학년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정서, 가정환경, 학교환경과 동기조절, 행동조절과의 상관분석과 정서, 가정환경, 학교환경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 가정환경, 학교환경과 동기조절, 행동조절과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는 자기조절학습의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을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환경 변인 중 물리적 환경변인인 부의 최종학력 및 직업 그리고 가구연간소득은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이 지각한 가정경제수준과 심리적 환경변인인 부모의 관심과 학대는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환경이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의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며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와 교사관계 모두가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한국의 교육광풍: 과연 한, 후회, 학습효과의 산물인가? (Koreans' Education Panic: A product of han, regret, or learning effect?)

  • 허태균;남궁재은;張薇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47-62
    • /
    • 2008
  • 현재 한국의 지나친 교육열을 반영하는 비정상적인 교육현상에 대한 피상적이고 거시적인 설명만이 존재하고, 반면에 자녀교육을 결정하는 학부모 개개인의 심리적 기제에 대한 규명이 미흡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널리 상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실제로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증되지 않은 '부모 자신의 교육에 대한 한, 후회, 학습효과'와 같은 심리적 기제가 부모의 자녀교육양식과 자녀의 학습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고 548명의 학생과 그 부모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학습효과는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와 합리적인 자녀교육의지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대로 한과 후회는 거부적 /통제적 양육태도와 맹목적인 자녀교육의지와 관련되어 있었고 학업스트레스를 높이고 효능감을 낮추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사회의 비정상적인 교육열이 단순히 교육열이 높고 낮음의 양적인 문제가 아닌, 그 심리적 근원에 따른 질적인 문제라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f compliance with dietary recommendations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ealth-related disciplines: application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 McArthur, Laura H.;Pawlak, Roma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6호
    • /
    • pp.578-584
    • /
    • 2011
  • Compliance with food group and nutrient recommendations, and self-efficacy, stage of change, perceived barriers and benefits for healthy eating were assessed among a convenience sampl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ealth-related disciplines. Dietary and psychosocial data were collected using three-day food records and scales, respectively. Means (SD), frequencies, and percents were calculated on all data, and logistic regressions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any of the psychosocial correlates predicted the stage of change for healthy eating. Noncompliance with food group recommendations ranged from 53% for the meat/meat alternates group to 93% for the vegetables/juice group, whereas noncompliance with nutrient recommendations ranged from 26% for cholesterol to 99% for potassium. A majority of students (57%) self-classified in the preaction and 40% in the action stages of change for eating healthy. The students' self-efficacy to eat healthy was highest in positive/social situations and lowest when experiencing emotional upset. The most important perceived barrier to healthy eating was that friends/roommates do not like to eat healthy foods, and the most important perceived benefit was that eating healthy foods provides the body with adequate nutrients. The difficult/inconvenient self-efficacy subscale predicted the stage of change for healthy eating. These students would benefit from interactive learning opportunities that teach how to purchase and prepare more whole grain foods, fruits, and vegetables, enhance their self-efficacy for making healthy food choices when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s, and overcome perceived barriers to healthy eating.

중·고등학생의 호·불호 학교공간 인식에 관한 연구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hool Spaces: What They Like and Dislike)

  • 박종향;신나민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7-57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hool spaces by researching their place preferences and the reasons for them. For the purpose, we analyzed students' written statements regarding places they like and dislike at school, which were collected from 836 middle and 1,100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at 4 middle and 4 high schools, respectively. Data were transcribed, encoded, and analyzed so as to be clustered to themes revealing the students' senses of places at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st preferred places had to do with physical activities, including playground, auditorium, gymnasium etc., whereas high school students preferred indoor places such as classrooms; (2) the reasons for like-plac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hemes: functions (physical, social, learning, and everyday activities), emotions (belonging, healing, and aesthetic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3)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garded restroom as the place that they disliked most; (4) the reasons for dislike-places included physical conditions, atmosphere, person-related, subject-related, and circumstances such as the happening of violence or punishment. These may provide educators, parents, school architects and administrators with practical considerations needed for making school a better place for students at secondary schools.

교과용도서 내 영상물 선정 기준 연구: 국내외 영상물 등급 제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election Criteria of Media for the Textbook: Based on the Review of domestic and foreign Media Rating Systems)

  • 박유신;이규정;손지현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7호
    • /
    • pp.295-333
    • /
    • 2017
  • 본 연구는 교과용도서 내 영상물 수록이 활발해짐에 따라 영상물 선정의 기준과 관련된 정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실행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영상물이 어린이 및 청소년의 발달단계에 따른 정서적 영향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고 영상물과 학생의 정서 및 건강, 교육적 효과성 간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후 국내외 영상물 관련 심의 및 등급분류 기준을 폭넓게 검토함으로써 국가 수준의 정책 차원에서 영상물 등급제를 제도화 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위의 사항을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일곱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교과용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편수자료 등에 영상물 선정 기준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용도서에 수록하기 위한 영상물의 정치적 중립성과 인권 측면을 검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침이 필요하다. 셋째, 국내외 영상물 등급 제도의 범주 항목 및 연령별 준거를 참고하여 교과용도서 내 영상물 선정 지침을 상세화해야 한다. 넷째, 명백한 교육적 목적이 있을 경우에 한하여 영상물 등급 제도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교과용도서의 영상물 수록 지침 설정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 교과용도서 개발 전 과정에 영상물 전문가 집단이 참여해야 한다. 일곱째, 교실 수업에서 교육용 영상물을 활용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병행해야 한다.

수학 영재아의 문제해결 활동에 대한 메타정의적 관점에서의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from meta-affect viewpoint on problem-solving activities of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 도주원;백석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4호
    • /
    • pp.519-530
    • /
    • 2019
  • 선행연구에 의하면 수학 학습활동에서 인지적, 정의적 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기반하는 메타정의는 메타인지와 유사한 방식으로 학습자의 수학적 능력과 긴밀한 역학적 관련성을 유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현상학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수학 영재아의 소집단 문제해결 사례를 메타정의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 영재아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이 메타정의적 활동을 통해 문제해결 활동에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문제해결자의 정의적 역량은 정서나 태도 형태의 메타정의로 문제해결 활동에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초·중·고등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성취가 낮은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Cause of Low Science Affective Achieve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정은영;박지선;이성희;윤혜경;김현정;강훈식;이재원;김율;정지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25-34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이 과학의 정의적 영역에서 성취가 낮은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학년별 3~4명, 총 2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년별로 면담을 하였고, 초등학교 교사 3명, 중학교 교사 3명, 고등학교 교사 3명, 총 9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학교급별로 면담을 하였다. 면담에서는 과학긍정경험 지표의 5가지 하위 영역인 '과학학습정서', '과학관련 자아개념', '과학학습동기', '과학관련 진로포부', '과학관련 태도'로 나눠 관련된 질문을 하였다. 면담 내용을 녹음하고 전사하여 범주화하였다. 과학 정의적 성취가 낮은 원인을 살펴 본 결과, 학생들은 실험·실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때, 과학이론과 용어가 어려워서, 탐구 결과에 대한 기록 부담 등으로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은 과학 성적이 좋지 않아서, 과학 용어가 어려워서, 학습량이 많아서 등의 이유로 과학관련 자아개념이 부정적으로 변한다고 응답하였다. 또 과학학습 동기가 낮아지는 원인으로 과학 수업 내용과 일상생활이나 자신과의 관련성에 대한 인식 부족, 과학 수업내용의 어려움, 좋지 않은 과학 성적, 자신의 흥미나 진로와의 관련성 부족 등으로 나타났고, 과학 관련 진로포부가 낮아지는 주요한 원인으로 자신의 진로가 과학과 관계없는 분야이기 때문에, 과학 성적이 좋지 않아서 등으로 나타났다. 과학 수업이 어려워지거나 과학 수업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으로 인해 과학관련 태도가 부정적으로 변화하였고, 고등학생들은 과학이 사회에 끼치는 양면성을 인식하였다. 면담 결과에 근거하여 과학 수업개선을 위해 실험 및 실습을 위한 지원, 과학 기초학력 지원, 초등학교 '실험관찰'의 개선,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과학 관련 진로 관련 정보의 제공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감정자유기법(EFT): 체계적 문헌고찰 (Emotional Freedom Techniques (EFT) for Students' Mental Health: A Systematic Review)

  • 이승환;정보은;채한;임정화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65-182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was to understand clinical usefulness of Emotional Freedom Techniques (EFT) on students' mental health. Methods: Ten databases were included to extract clinical studies on effects of EFT intervention with students. Characteristics of selected studies were described, and biases were assessed with Risk of Bias (RoB) or Risk of Bias Assessment for Non-Randomized Studies (RoBANS). Results: A total of 14 clinical trials were extracted for analysis. There were 8 randomized-controlled trials (RCTs), 2 non-randomized-controlled trials (nRCTs), and 4 before-after studies. EFT have significant clinical usefulness in public speaking anxiety, test anxiety, stress, depression, learning related emotions, adolescent anxiety, and eating issues. The risk of selection bias in most studies was high or uncertain. Conclusions: EFT is an effective clinical technique for managing students' mental health issues. However, the includ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ith relatively poor quality and small sample size. Clinical trials with high quality study design and well-designed EFT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to generalize clinical usefulness.

오행(五行) 특성을 바탕으로 한 오신(五神)의 기능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Functions of the Five Spiri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Five Phases)

  • 박선영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1-210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pecific functions of the five spiri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five phases. In Korean medicine, the mind is classified into five spirits and seven emotions. The spirits (hon, sin, ui, baek, ji) are a way of analyzing of people's mental structures, and they are affected by each other, influencing life activitie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ey are also related to the five viscera and come into their own function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ve phases that are assigned to the viscera. Sin is the main agent of mental activity that is normal, correct, and perfect, and it directs the other four. Hon is activity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mental and physical aspects such as planning, creative thinking, creating, judgment, speech, and emotional expression. Baek is internal activity, such as obtaining information, learning, seeing, hearing, smell, taste, and touch. Ui is meant to decide between new and already saved information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Ji is the activity of making the final decision and saving it in ui. Based on the above, we suppose that the five spirits' functions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ve ph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