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gap.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23초

중학교 3학년 과학 '유전과 진화' 영역을 통한 생명윤리의식 함양 (Improvement of Bioethics in the Unit of 'Heredity and Evolvement' of Middle School Ninth-Grade Science)

  • 이윤정;최돈형;손연아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0권3호
    • /
    • pp.1-1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objectives for ninth grade studies of heredity and evolution in middle school in an attempt to foster students' consciousness of bioethics, and it's additionally intended to develop and apply lesson plans handling different points at issue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lesson plans on the bioeth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2 ninth graders in a middle school, whose science scores were similar.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made up of 76 students respectively, and a pretest was conducted with test paper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to assess their awareness of bioethics. The experimental group took lessons by using the teaching plans prepared in this study,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typ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then a posttest was implemented with test paper developed in this study to compare the two groups. In addition their science grades were compared as well.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ven learning objectives were selected from three units related to bioethics in the third-year 8th category of heredity and evolution of middle school. Second, in order to attain the selected learning objectives, four session lesson plans were prepared.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studied using by the lesson plans made better progress in bioethics awareness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t=6.61, p<.001). The former were ahead of the latter in consciousness about species equity(t=7.71, p<.001), the dignity of life (t=3.78, p<.001), human rights(t=2.99, p<.01) and equity among generations(t=2.66, p<.01), but not in awareness of the diversity of species.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in science scores between the students studi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those who received instructions by using the lesson plans developed in the study.

  • PDF

경남도내 초중등 학생 및 교사의 정보격차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the Status of Digital Divide on Students and Teachers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Gyeongnam)

  • 김민기;남영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33-445
    • /
    • 2007
  • 정보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정보격차는 사회 불평등을 초래하는 새로운 요소로 등장하였다. 특히 학교에서 ICT 활용교육, e-러닝, u-러닝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학생층에서 나타나는 정보격차는 교육 기회의 불평등으로까지 이어질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 구성원들의 정보격차 실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및 교사의 정보화 수준과 정보격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남도내 초중등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정보화 수준의 측정은 3개 하위 지수(접근, 역량, 활용)에 대한 가중 평균으로 계산하였다. 조사결과 학생과 교사 집단 모두 역량지수에서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또한 역량지수와 활용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정적상관을 보여 정보 역량의 차이가 정보격차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AI 기초교양에서 학습자의 SW 경험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ccording to SW experience of learners learning AI liberal arts education)

  • 오경선;장은실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223-231
    • /
    • 2021
  • 4차 산업 시대를 맞이한 지금, 많은 나라에서 인공지능(AI) 역량을 지닌 인재양성을 위해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체계적이고 연속적인 소프트웨어(SW)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 현실은 연계성 있는 SW 교육이 학습자에게 제공되지 않아 SW 격차가 심화하고 양극화될 그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대학의 SW 교육에서 발생하는 학습자 간의 차이를 초중등학교에서 SW·인공지능교육의 수업 결손이라는 관점에서 보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공계열 신입생을 대상으로 1단계 SW 기초교육 전과 후로 나누어 '컴퓨팅사고(CT) 자기효능감', 'AI 자기효능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그 결과 SW 경험이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계성 있는 SW 교육이 제도적으로 뒷받침되기 위한 다양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PDF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용 콘텐츠 분석 및 개선방안 (A study of Analysi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Educational content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 박선주;김태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55-363
    • /
    • 2011
  •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학습 부진 및 학습 결손의 누적으로 이미 심각한 교육격차 문제를 안고 있다.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해 수준별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교육현장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만을 위해 역량을 집중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이를 위해 수준별 개별 학습에 적합한 교육용 콘텐츠를 다문화가정 아동지도에 필요하나,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교육용 콘텐츠를 새로 개발하면 예산과 시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므로 기존의 교육용 콘텐츠를 다문화 가정 아동도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교육용 콘텐츠 평가도구를 기반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교육용 콘텐츠 적절성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사이버가정학습 4~6학년 국어 콘텐츠를 평가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지역사회주민의 평생학습을 위한 도서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s of Library for Community Residents Life-Long Learning)

  • 김영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17-239
    • /
    • 2006
  • 21세기는 지식 정보화사회로 외부적인 환경 변화에 따라 국민들은 도서관에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고 있다. 우선 전통적인 도서 보관(Container)기능에서 정보 접점(Connector) 기능을 요구하며. 정보 및 학습격차 해소를 위한 사회통합 기능과 지역단위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평생학습의 장으로서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또한 정부 내의 환경도 교육인적자원부에 국가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육부총리제'를 도입하였으며 주5일제 및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도서관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지식 정보화, 주5일제, 고령화, 인적자원개발 등 평생학습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불가분의 역학관계에 있는 도서관의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고 앞으로 도서관이 추구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소수 개념과 그 연산에 대한 이해도 분석 (An Analysis on the Students' Understanding in Concept and Operations of Decimal Fraction)

  • 문범식;이대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7-25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소수 개념에 대한 이해 정도와 소수 연산에 대한 수행 능력을 분석하여 소수 지도에 대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얻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조사연구를 실시하였고, 156명의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분석은 각 문항별 정답률과 오류가 많이 발생하는 요소를 살펴보았다. 검사 결과, 초등학생들의 소수 개념과 그 연산에서 85.64%의 정답률을 나타냈고, 소수 개념(89.23%), 덧셈(89.84%), 뺄셈(89.56%) 영역보다 소수의 곱셈(80.73%)과 나눗셈(78.85%) 영역에서 낮은 이해도를 보였다. 소수 개념과 그 연산에 대한 학습이 진행될수록 학습 격차가 더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기에 낮은 학년에서부터 점진적으로 학습결손을 줄여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학습 결손을 해소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소수의 교수 학습도 개념과 원리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할 것이다.

  • PDF

EBSmath의 활용이 농촌학생들의 수학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Using EBSmath on Self-Directed Math Learning of Students Living in the Farming Villages)

  • 정순모;박혜연;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23-148
    • /
    • 2015
  • 정부의 사교육 경감 대책 및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이 발표되고, 교육부에서는 '농산어촌 ICT 지원 사업'으로 농산어촌의 교육정보화 격차를 줄이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한국교육방송(EBS)에서는 EBSmath 라는 수학 자기 주도 학습 사이트를 개설하고,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농산어촌 ICT 지원 사업'에서 지원된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EBSmath 사이트를 활용한 학습이 여러 가지의 교육정보화가 열악한 농촌학생들에게 스스로의 힘으로 지식을 습득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새로운 지식을 산출하는 능력, 즉 수학 자기주도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본고에서 연구하였다.

공공도서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의 지역발전 기여 - 부산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Contribu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s of Public Library to Local Development: Focused on Cases of Busan City)

  • 윤희윤;김경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9-48
    • /
    • 2019
  • 자유학기제는 초등학교 진로인식, 중학교 진로탐색, 고등학교 진로설계를 연계한 교육정책으로서 중학교 진로교육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제도가 2016년에 전면 시행됨에 따라 공공도서관도 자유학기제 기반의 프로그램을 개설 제공하여 왔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을 분석한 후 지역발전에 대한 기여도를 논증했다. 그 결과, 진로 직업탐색, 진로탐방 체험, 정보해득력 제고 프로그램은 지역의 지식문화, 독서문화, 학습문화, 생활문화, 여가문화에 기여했다. 다만, 진로 직업탐색 중 강연 전시와 직업체험, 정보해득력 제고가 여가문화 및 지역경제에 기여하는 바는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모든 공공도서관은 지식생태계 구조, 디지털 정보격차, 인문치유, 사회환경 문제, 미래 직업상 등에 관한 프로그램을 추가하고 정보해득력 프로그램을 필수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ep Learning in Radiation Oncology

  • Cheon, Wonjoong;Kim, Haksoo;Kim, Jinsung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31권3호
    • /
    • pp.111-123
    • /
    • 2020
  • Deep learning (DL) is a subset of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has a deep neural network with a structure similar to the human neural system and has been trained using big data. DL narrows the gap between data acquisition and meaningful interpretation without explicit programming. It has so far outperformed most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methods and can automatically learn data representations for specific tasks. The application areas of DL in radiation oncology include classification, semantic segmentation, object detection, image translation and generation, and image captioning. This article tries to understand what is the potential role of DL and what can be more achieved by utilizing it in radiation oncology. With the advances in DL, various studie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radiation oncology were investigated comprehensively. In this article, the radiation treatment process was divided into six consecutive stages as follows: patient assessment, simulation, target and organs-at-risk segmentation, treatment planning, quality assurance, and beam delivery in terms of workflow. Studies using DL were classified and organized according to each radiation treatment process. State-of-the-art studies were identified, and the clinical utilities of those researches were examined. The DL model could provide faster and more accurate solutions to problems faced by oncologists. While the effect of a data-driven approach on improving the quality of care for cancer patients is evidently clear, implementing these methods will require cultural changes at both the professional and institutional levels. We believe this paper will serve as a guide for both clinicians and medical physicists on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tim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oftware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Underachievement

  • Kim, Jeong-Rang;Lee, Soo-H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283-29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분수 관련 내용을 학습 주제로 하여 재구성한 학습 부진 개선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학습 부진 개선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프로그램은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의 성격과 학습 부진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그 구조를 설계하였고, 학습내용을 학습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배치하였으며, 반복적으로 경험하여 충분히 학습할 수 있도록 매 차시 구축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학업 성취도, 메타인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의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으나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향상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 부진 개선이라는 측면과, 소프트웨어 교육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바탕으로 학습 부진 학생이 프로그램에 재구성된 과목의 학습 내용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