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fun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39초

교수학습지원센터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및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Learner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Regarding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 김창수;최석윤;김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487-495
    • /
    • 2011
  • 본 연구는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교육정보를 이용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해당 교수학습지원센터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수학습지원센터가 학생에 대한 교육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어떤 부분의 개선이 필요한지 개선 사항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분석 결과, 각 학교급에 따른 만족도와 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며, 개선에 대한 요구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학습지원센터는 일원화된 서비스 체계보다는 학교급에 적합한 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즉, 교육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도 초등학생과 중학생에게는 재미와 흥미를 강화할 수 있는 개선이 요구되며, 고등학생에게는 정보의 질적 측면을 강화하는 등의 노력이 요구된다.

초등수학에서의 Maths 300 교구 프로그램 활용방안

  • 류수진;김성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321-34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anipulative materials in the Australian Maths 300 program by applying it to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based on part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and 'Symbol and Expression'. In order to this purpose, we select appropriate Maths 300's manipulate materials that could be used to obtain learning objectives within class time for each part, four lessons with the materials were taught at to third, fourth, and fif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The effect of the teaching was analyzed by videotape and student opin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e manipulative tools were almost entirely lacking for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section without a 'number of cases' unit. The tools presented in the 'Symbol and Expression' section were helpful in the games that were used for checking preceding learning. Second, the results of using the Math 300 manipulative materials in class showed that the students were eager to be involved in the activities using those materials and to find their own solutions in problem-solving questions that were suited to them; these led to them making their own questions. In response to questioning about the use of the manipulative materials, the students stated that it was easy and fun for them to use the manipulative materials, to solve the problems for themselves, and that they would like to continue practicing the activities in the future. Finally, Studies on the presentation of a variety of manipulative materials including those in this study that can used in problem-solving learning and other learning fields, and the methodology for the use of manipulative materials can be enhanced through further studies.

놀이 중심의 블록 코딩 수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a Play-oriented Block Coding Class)

  • 김정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619-624
    • /
    • 2023
  • 디지털 역량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학생들의 정보 교육 격차 해소 등을 목적으로 초등학생 대상 방학 중 블록코딩 수업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놀이 중심의 블록코딩 수업의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운영하고 학생들의 흥미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2차의 자문과 수정을 통해 교안을 완성하여 수업을 운영하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 흥미도에 변화를 t-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설계한 놀이 중심의 블록코딩 수업은 학생들의 흥미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현실감 높은 놀이 활동을 통한 학생주도의 학습 과정과 몰입, 그리고 그룹 활동으로 인한 친교와 협업, 의사소통 등의 흥미 요소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코딩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학습 흥미를 높여주는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초등학생들의 산-염기, 산성비, 토양산성화에 대한 이해 (An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 Acid-Base, Acid Rain and Soil Acidification)

  • 김성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6호
    • /
    • pp.1764-178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n the acid-base, acid rain and soil acidification of the elementary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e current study were 280 6th graders from a elementary school in Gyeongnam Province. A questionnaire consists of four categories: understanding of (a) acid-base basic knowledge, (b) acid rain and (c) soil acidification. (d) In addition, students were asked to comment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acid rain experiment in the science textbook.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regarding acid-base basic knowledge. They know the class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acid-based solutions well but they don't know the acid-base neutralization, examples using properties and application in real life. Second, the results regarding acid rain, students know the definition and damage of acid rain but they don't know the causing substances, emission source and way of solution of acid rain for lack of knowledge. Third, the results regarding soil acidification was the well-known part for the students because they had continued learning about the soil from the lesson of acid rain. Also, we looked into the difference in gender and region about the understanding of acid-base, acid rain and soil acidificat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data about the understanding of acid-base, acid rain and soil acidificatio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female was higher than male's. Also we expected that urban students were higher than rural students on the understanding of acid-base, acid rain and soil acidification, but the understanding of urban students were similar to rural students. Fourth, we got positive answers and negative answers to the introduction of acid rain experiment. Most of the positive opinion were I want to know a lot acid rain experiment", followed 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the damage and It seems to having fun and new order. Most of the negative opinion were Acid rain experiment may be difficult and complicated followed by Just a theory in the book is enough, Acid rain experiment were boring and not fun, Acid rain experiment is dangerous, There are many to study in this order.

응용분야 사례 분석을 통한 기능성 게임의 특성요인 전망 (Prospects of Characteristics Factors on Serious Game through Application Case Study Analysis)

  • 최우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409-416
    • /
    • 2017
  • 국내 게임 시장은 10조 원대 규모에 이를 뿐 아니라 게임의 사용 형태 및 기능도 변하고 있다. 기능성 게임은 기존의 게임이 가지고 있는 단순한 재미요소 이외에 게임의 순기능에 초점을 두어 교육과 재미를 결합한 게임이다. 최근 교육, 스포츠, 의료, 군사, 공공 등의 분야에서 게임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관련 콘텐츠를 쉽게 배울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게임의 활성화를 위해 플랫폼, 주제, 정부지원, 컨소시엄 등 4개 요인들을 활용하여 대표적인 5개 응용분야의 개발 사례 분석을 통해, 기능성 게임 개발에 있어 우선적으로 고려할 특성요인들이 무엇이며, 그 중요도를 전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기능성 게임에서 우선 고려되어야 할 요인으로 유용성과 재미가 도출되었으며, 응용분야 기능성 게임은 교육, 학습, 체험, 시뮬레이션 등 '체험형 게임'으로 개발되었다. 게임 개발에 있어서 기능성 게임이 갖추어야 할 목표를 분명히 제시하는 것과 아울러 잠재적 이용자들이 체감형 게임을 선호한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기능성 게임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Educational examples of game development methodology and paper prototyping for effective digital game creation

  • Choi, Bu-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59-6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게임 개발이 대형화되어감에 따라 많은 자본과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상황에서 초기 기획단계에서의 게임 방향성과 재미 검증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따라서 게임기획의 방향을 적은 비용으로짧은 시간에 검증하고자 방법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인 페이퍼 프로토타이핑을 이용한 초기 기획검증에 대한 실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한 학기동안 게임기획을 배우고 있는 재학생 40여명을 대상으로 페이퍼 프로토타이핑 제작을 진행하였으며, 초기 게임기획의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구체화 할 수 있는 코어 메카닉 다이어그램, 스크럼, 기본심리욕구를 활용한 동기부여 방법을 교육하였다. 이 교육과정을 통해 11개의 페이퍼 프로토타이핑으로 보드게임이 완성되었고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이 직접 교차플레이를 통해 재미를 검증함으로써 게임성을 확보하는데 유의미하였음을 확인하였다.

MZ세대를 겨냥한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효과적인 디지털 마케팅 방안 연구 (A Study on Gamification-based Effective Digital Marketing Plan Targeting at Generation MZ)

  • 낭윤서;김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202-215
    • /
    • 2022
  • 본 연구는 현재 소비 그룹인 MZ세대의 주요 정보 소통 및 학습과 놀이 등의 배경이 되는 게이미피케이션 기법과 이에 기반한 디지털 마케팅의 특징을 파악하고, 국내외의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 사례들의 특징과 요소들의 비교 분석을 시도하여 효과적인 MZ세대를 겨냥한 게이미피케이션 디지털 마케팅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과정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MZ세대와 게이미피케이션의 특징과 정의를 기술하고, 개념을 명확히 하였다. 둘째, 국내외의 게이미피케이션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눈에 보이는 요소들, 예를 들어, PBL(Point, Badge, Leaderboard)에만 초점을 맞춰 게이미피케이션의 메커니즘과 구조들의 유기적 연결에 실패하여 재미를 추구하는 MZ세대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게이미피케이션 디지털 마케팅을 경계해야 한다. 또한, 제공하는 보상(포인트, 배지, 리더보드 등)이 아무 가치가 없다고 느껴 보상을 얻는 재미를 잃고 이탈하는 고객들을 방지해야 한다.

Design Strategy for the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Group Games in Motion Based Arcade Game System

  • Joh, Yun-S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7권4호
    • /
    • pp.10-18
    • /
    • 2011
  • Cooperative Group Games (CGG) emphasize participation, challenges and fun by cooperation among group members rather than competition. CGGs have been proven to be an efficient education method that teaches the value of cultivating cooperation skills, discipline, and sense of public order for tackling problems together through various types of interactions. When integrated with computer game technology, the general classic CGG can be reborn with new educational and entertaining aspects. To combine the joy of physical movement of group games and the richness of computer game contents, a motion based arcade CGG has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original ideas and structures of classic off-line CGGs. While implementing the classic game concepts in arcade environment, various design attributes have been considered and applied, which were supposed to promote cooperative game play. Overall, the process of the implementation and test results of our four CGGs suggest several design strategies for effective arcade CGGs.

LANGITSELATAN AS AN ASTRONOMY LEARNING BASE FOR CITIZEN PROJECTS IN INDONESIA

  • HANDINI, AJENG TRI;BASKORO, ALDINO;YAMANI, AVIVAH;MUMPUNI, EMANUEL SUNGGING
    • 천문학논총
    • /
    • 제30권2호
    • /
    • pp.719-720
    • /
    • 2015
  • These days, advanced technologies provide an easy way for the public to obtain information about anything, including astronomy. Most people know astronomy for its sky events and scientific results. In Indonesia, the public has a high interest not only in astronomy information but also in participating in astronomy events, but it is limited to those who has access to a club nearby. Otherwise, for those who live in remote areas or simply don't have any access, they depend on information from newspapers, magazines, books or word of mouth. They usually think that astronomy is a difficult subject to learn, while in fact it is something doable and fun.

감성디자인이 내재된 아동용가구 디자인 개발 (Emotional Inherent Design Development of Children's Furniture Design)

  • 채정주;김명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33-341
    • /
    • 2012
  • This study intended to be designed at the level of furniture users' eyes for the users in designing furniture. Children's furniture follows parents' point of view mostly because the parents purchase the pieces for their children. Most of the children's furniture tends to rule out their psychological phenomenon and behavioral development. Therefore, children's furniture must be designed for children to be able to learn through their cognitive development and creative learning experience from having fun naturally by using the pieces combining with the typical play in their everyday lives like coloring, puzzling, and acting with mov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