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stalk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기능성 섬유원료 개발을 위한 연잎줄기 펄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Lotus (Nelumbo nucifera G.) Leafstalk Pulp for the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Paper)

  • 최태호;서지철;이지년
    • 펄프종이기술
    • /
    • 제42권2호
    • /
    • pp.67-74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ulping and papermaking characteristics of lotus (Nelumbo nucifera G.) leafstalk for the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paper. Anatom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lotus leafstalk were analyzed. The pulping and papermaking properties of the lotus leafstalk by conventional alkali and sulfomethylated pulping processes were also evaluated. The length and width of fibers were 0.06-3.32 mm (av. 1.23 mm) and 3.47-25.6 ${\mu}m$ (av. 20.7 ${\mu}m$), respectively. The length and width of vessel elements were 0.07-0.78 mm (av. 0.20 mm) and 14.1-330.0 ${\mu}m$ (av. 54.13 ${\mu}m$), respectively. The fiber length/fiber width ratio was 60.20. The extractives (cold water, hot water, 1% NaOH and ethanol-benzene) and lignin content of lotus leafstalk were higher than those of plant bast fiber. The contents of holocellulose, lignin, and ash were 73.8%, 24.3%, and 4.3%, respectively. The pulp yields based on pulping methods were sulfomethylated pulping av. 52%, and alkaline pulping av. 42%. The conventional alkaline pulping shows better pulp and sheet properties than the sulfomethylated pulping which was modified pulping processes. But the sulfomethylated pulping shows higher brightness than alkali pulping. In the consequence of FE-SEM observation, lotus leafstalk pulp consists of various kinds of thin walled fibers which have large amount of small pits.

THE SCIENTIFIC BASIS OF THE PROCESS OF VEGETABLE JUICE SQUEEZINDG OUT OF LEAFSTALK BIOMASS

  • Proydak, N.I.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6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Proceedings
    • /
    • pp.953-956
    • /
    • 1996
  • The main regularities of the process of strain of the leafstalk boimass of the annual and parennial sown grasses (hard phase) with the simulataneous filtration of the vegetable juice (liquid phase) in the working members of the uninterrupted action(screw press) and the periodic action (Briqueting stamp press) were established . The engineering methods of calculation of the basic constructive -technological parameter of the pres equipment of the given types were worked out.

  • PDF

Advanced Engineering in Processing of Leafstalk Biomass of Sown Grasses

  • Proydak, N.I.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6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Proceedings
    • /
    • pp.711-714
    • /
    • 1996
  • The energy saving base technological processes were substantiated and high efficient equipment for the wet fractionation of the leafstalk biomass of the annual and perennial sown grasses into the multipurpose products was designed.

  • PDF

상추 잎의 부위별 잔류농약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esticide Residues in the Portions of Lettuce Leaves)

  • 권순목;최옥경;김기철;김중범;강흥규;조윤식;하진옥;장진호;이병훈;이성남;이선영;강석호;이정복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3-60
    • /
    • 2014
  • 본 연구는 상추의 재배기간 중 살포한 농약이 상추 잎 아랫부분과 윗부분의 잔류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살균제 boscalid와 살충제 lufenuron을 살포 후 14일까지 12회(0, 1, 2, 3, 4, 5, 7, 8, 10, 12, 13, 14일) 시료를 채취하여 잔류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Boscalid는 살포 후 0일(3시간)은 상추 잎 아랫부분과 윗부분의 잔류량은 각각 18.26 mg/kg, 84.97 mg/kg이었고, 14일 후에는 0.31 mg/kg, 0.37 mg/kg으로 나타났다. Lufenuron은 살포 후 0일(3시간)은 상추 잎 아랫부분과 윗부분의 잔류량은 각각 0.91 mg/kg, 5.21 mg/kg이었고, 13일 후에는 0.06 mg/kg, 0.09 mg/kg으로 나타났다. 두 약제 살포 후 12회 조사한 잔류량은 모두 상추 잎 아랫부분이 윗부분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잔류분포 양상은 2013년 잔류농약이 검출된 유통 상추 잎 16건에서도 boscalid 등 9종의 잔류량 분포는 동일하게 나타났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Ⅰ에 대한 음나무 추출물의 억제활성 (The Extracts of Kalopanax pictus Nakai. for Inhibitory Effects on HIV-1 and Its Essential Enzymes)

  • 유영법;심범상;안규석;최승훈;박종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129-1133
    • /
    • 2004
  •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new anti-HIV agents from natural sources, the extracts of Kalopanax pictus were tested for their inhibitory effects on HIV-1 replication and its essential enzymes as the reverse transcriptase (RT). protease and α-glucosidase. In the assay of HIV-1-infected human T-cell line, water extracts of stem and leafstalk inhibited the HIV-1-induced cytopathic effects with Ie (inhibitory concentration) of 25 and 50㎍/㎖, respectively. Moreover water extracts (100㎍/㎖) of stem and leafstalk showed strong activity of 80% and 90% on anti-HIV-1 RT using Enzyme Linked Oligonucleotide Sorbent Assay (ELOSA) method. In the HIV-1 protease inhibition assay, aqueous stem extract inhibited the activity of the enzyme to cleave an oligopeptide, resembling one of the cleavage sites in the viral polyprotein which can only be processed by HIV-1 protease with 58%, but no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We found out this result, for these samples it is possible that the inhibition of the viral replication in vitro is due to the inhibition at least one of RT and protease. It would be of great interest to identify the compounds which are responsible for this inhibition, since all therapeutically useful agent up to date are RT, PR and α-glucosidase inhibitors.

『동의보감』 간장도의 특징에 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the Liver Diagram in the Donguibogam(東醫寶鑑))

  • 조학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3-57
    • /
    • 2022
  • Objectives :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ver diagram in the Donguibogam were analyzed. Methods : The Liver diagram in the Donguibogam was compared with diagrams originating from the Mingtangzangfutu(明堂臟腑圖), diagram from before the Northern Song period, Liver diagrams from Daoist texts, etc., after which its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quoted texts within the Donguibogam. Results : The Liver diagram of the Donguibogam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the Mingtangzangfutu(明堂臟腑圖) or Daoist texts in that the leaf veins and leafstalk have not been depicted. The diagram in the Donguibogam depicts the liver as having seven lobes and one body instead of eight lobes. The Donguibogam diagram does not originate from the Mingtangzangfutu(明堂臟腑圖) nor is it an imitation of Daoist texts. It seems to be a visual realization based on descriptions from quoted texts such as the Nanjing, Yixuerumen, and Suwen annotations by Wangbing. Conclusions : The Liver with seven lobes and one body as depicted in the Donguibogamis likely a transformed version based on textual descriptions rather than an imitation of the Mingtangzangfutu(明堂臟腑圖) of images in Daoist texts.

방패광대노린재 국내 분포, 기주식물 및 기초 생태 보고 (A Report of Basic Ecology and Distribution, Host Plants of Cantao ocellatus (Hemiptera: Scutelleridae) in Korea)

  • 김동언;길지현;이도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93-100
    • /
    • 2013
  • 방패광대노린재는 2012년 제주도, 진도, 통영, 광주, 태안에서 분포가 확인되었다. 성충은 6월 하순에서 7월 초순경에 예덕나무에 출현하며 10월 말까지 관찰이 가능하다. 실내 사육은 온도 $25^{\circ}C({\pm}2)$, 습도 65%(${\pm}2$), 광주기 16L:8D의 조건에서 성충의 암 수 형태 측정, 발육특성, 기주 및 산란선호성을 조사하였다. 체장(female: 26.20 mm, male: 23.88 mm), 체폭(female: 11.35 mm, male: 10.57 mm ), 두폭(female: 3.84 mm, male: 3.64 mm), 주둥이(female: 7.90 mm, male: 7.27 mm). 더듬이(female: 9.87 mm, male: 9.69 mm), 앞다리(female: 12.50 mm, male: 12.27 mm), 가운뎃다리(female: 14.61 mm, male: 13.12 mm), 뒷다리(female: 16.90 mm, male: 16.53 mm), 생체중(female: 0.46 g, male: 0.31 g)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앞가슴등판 끝에 가시가 있는 개체가 있고, 가시의 유무는 마지막 5령 탈피시 생겨난다. 암 수 구분은 생식기와 배마디의 점무늬로 구별된다. 기주선호성은 예덕나무, 무늬예덕나무, 피마자, 털인동, 감귤나무, 느티나무의 열매, 엽병, 주맥, 가지를 흡즙하였다.

LED 광원 및 설치조건에 따른 딸기의 생육 변화 (Effect of LED Light Sources and Their Installation Method on the Growth of Strawberry Plants)

  • 이지은;신용습;정종도;도한우;강영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6-112
    • /
    • 2015
  • 딸기의 전조재배에 적합한 인공광원을 모색하기 위해 적색과 청색의 LED를 이용하여 설치조건을 검토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인공광원은 LED PAR(PPFD $2{\sim}4{\mu}mol{\cdot}m^{-2}{\cdot}s^{-1}$), LED BAR(PPFD $100{\sim}120{\mu}mol{\cdot}m^{-2}{\cdot}s^{-1}$), 백열등(PPFD $2{\sim}4{\mu}mol{\cdot}m^{-2}{\cdot}s^{-1}$)이고 전조시기는 정화방이 개화하는 시점에 22시~01시까지 3시간동안 연속조명하였다. 무처리보다는 전조처리구가 초장과 엽병장이 길었으며, 그 중 백열등이 가장 많이 생장하였다. 전조처리구에서 지상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LED PAR 처리구에서 생장량 대비 가장 무거웠다. 지상부의 엽면적 생장량에서는 무처리 보다는 전조처리구가 엽면적이 증대하는 경향이었고, LED PAR 처리가 엽면적이 넓었다. 엽록소 함량은 전조 후 60일 경에는 LED PAR를 제외하고는 모두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광원별로 광 환경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100W 백열등 배광곡선이 원형에 가까워 전조재배시 하우스 위쪽으로 많이 발광되는 것을 볼 수 있다. LED PAR 타입을 설치했을 때는 직진성이 강한 LED의 특성상 조명의 중심이 40lux 이상이며 좁은 지향각과 낮은 설치 위치로 인해 좁은 지역에 집광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조명과 조명사이에 기준조도 이하의 음영지역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설치 높이는 2m, 설치 간격은 3.75m로 조절하였고, 배치형태는 W타입으로 변경하여 전체 식물에 $1.2{\mu}mol{\cdot}m^{-2}{\cdot}s^{-1}$ 이상이 조사될 수 있도록 기준 조도와 균제도를 맞추어 최적화하였다.

들깨에서 차먼지응애의 주내분포 특성 (Within-plant Distribution of Polyphagotarsonemus latus (Banks) (Acari: Tarsonemidae) on Leaf Perilla)

  • 서윤경;백성훈;김민중;안승원;최용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303-309
    • /
    • 2020
  • 차먼지응애(Polyphagostarsonemus latus)는 잎들깨에서 잎을 직접적으로 가해하여 농가 소득에 치명적인 피해를 야기하고 있지만 표본단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 적절한 표본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잎들깨의 주내분포 연구를 통하여 표본단위와 최적표본수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차먼지응애는 하나의 들깨잎에서 엽병 부위를 중심으로 개체가 형성되어 전체잎으로 퍼져나가는 특징을 보였으며, 이때 기간은 접종 후 25일이 소요되었다. 단위면적당 차먼지응애의 밀도를 조사한 결과, 접종 후 경과 기간에 관계없이 신초에서의 밀도가 중엽과 성엽보다 높아 대표성을 띠기 때문에 표본단위는 신초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당 표본수는 1개의 신초에 있는 알과 약성충 모두를 조사할 경우 정밀도 0.25를 충족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시설 잎들깨에서 차먼지응애의 표본조사는 주당 1개의 신초에서 알과 약성충을 조사 할 때 가장 정확도가 높고 경제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