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hopper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15초

한국 주요 수도품종의 부진자류 저항성에 관하여 (Studies on Resistance of Rice to the Leaf and Planthoppers)

  • 김규진
    • 기술사
    • /
    • 제10권3호
    • /
    • pp.8-16
    • /
    • 1977
  • The pbjective of this study to clarify the varietal resistance to green leaf-and planthopper and the evaluate the nature of the resistance to the insects in connection with the Antibiosi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reaction of the varieties to insects with 46 rice varieties including recommended varieties of korea, At seedling stage they were in fested with second of third inster nymph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 of the rice vari eties tested showed highly susceptible reaction to Brown planthopper except Mudgo, KR 108-143- and HR529-41-3-2 as resistance, and Akamoch, Satominori, IR 24 and IR 8 asmoderately suscptible. 2. In the test of varietal resistance to white backed planthopper Mudgo, KR 108-243-1, KR 109-154-2 and HR 529-45-3-2 were resistance, and Suweon 82, Tongil, IR 8 palkeum, Iri 309, Hokwang and Chuhoku #31 were Moderatly susceptible. 3. Most of the varieties tested were observed highly resistance to green leafhopper, but Tongil, Suweon 82, IR 24, Milsung and Chuhoku #31 were Moderatly susceptible. 4. the new bred lines HR 108-243-1 are multiple resistance of Brown planthopper, green leafhopper and white babked planthopper, and some others showed moderatly susceptible as. IR 8: Brown planthopper, white backed planthopper. IR 24: Brown poanthopper, green leafhopper. Tongil: suweon #82, Chukoku #31, whist backed planthopper, Green leafhopper.

  • PDF

Tetragnatha squamata(거미 목: 갈거미 과)의 차말매미충, Empoasca vitis (곤충 강: 매미 목) 에대한 포식효과 (Predation Efficiency of the Spider Tetragnatha squamata (Araneae: Tetragnathidae) to Tea Leafhopper Empoasca vitis(Insecta: Homoptera))

  • Heng-Mei Yan;Man-Yuan Liu;Joo-Pil K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2호
    • /
    • pp.159-164
    • /
    • 1998
  • 갈거미 속의 일종인 Tetragnatha squamata와 이의 피식자인 차말매미충, Empoasca vitis 사이의 포식 효율에 대하여 실험실 내에서 조사하였다. 피식자의 숫적 증가에 대하여 포식자 거미는 함수적인 반응을 보였다. 포식자가 포식자 자신의 숫적 증가와 포식 효율에 대하여서도 조사하였으며, 이 결과들은 공식으로 표시하였다.

  • PDF

말매미충 (Cicadella viridis L.) 구기내의 미각감각기 (The Gustatory Sense Organs in the Mouthparts of the Adult Green Leafhopper (Cicadella viridis L.))

  • 이비파;한성식;이문홍;최귀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1-208
    • /
    • 1990
  • 말매미충(Cicadella viridis L.)의 구기에 있는 미각감각기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 전구강에 위치한 상인두의 D-sensilla는 10개이며, 상인두 함입부의 양쪽변에서 P-sensilla 8 개가, 하인두의 식도 중간부위에서 H -sensilla가 2개 관찰되었다. D- 및 P-sensilla는 형태적 으로 2군으로 분리되었다. 그리고 D- 및 P-sensilla로부터 유래된 신경다발 1쌍씩은 상인두 뒷면의 큐티클 안에서, H -sensilla로부터의 신경다발 1쌍은 하인두 뒷면의 큐티클 안에서 관찰되었다.

  • PDF

멸구$\cdot$매미충에 대한 수도 신품종 밀양 21 및 23호의 저항성 (Resistance of the New Varieties Milyang $\#21\;and\;\#23$ to Plant-and Leaf-hoppers)

  • 최승윤;이정운;이형래;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47-151
    • /
    • 1976
  • 본 시험은 수도 신품종 밀양 21호와 23호를 공시하여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 끝동매미충 및 번개매미충에 대한 저항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주로 품종저항성기작으로 여겨지는 멸구$\cdot$매미충에 대한 유균의 반응, 공시품종에 대한 멸구$\cdot$매미충의 식이선호성, 산란선호성 및 항충성을 실내에서 검토하였다. (1) 유충의 반응에 있어서 밀양 21호와 23호는 끝동매미충에 대하여 중간성(M), 밀량 23호는 애멸구에 대하여 중도저항성(MR)으로 나타났으나 그밖에 멸구$\cdot$매미충에 대해서는 중도감수성(MS) 내지 감수성(5) 반응을 보였 다. (2) 끝동매미충은 감수성 대조품종 유신, T(N)-1에 비하여 밀유 21호와 23호에서 비교적 낮은 식이선호성을 보였으나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 및 번개매미충은 감수성 대조품종과 비교하여 밀탕 21호와 23호에서 같거나 높은 식이선호성을 보였다. 밀양 21호와 23호는 저항성 대조품종들에 비하여 모두 멸구$\cdot$매미충의 식이선호성이 높았다. (3) 벼멸구와 애멸구는 저항성대조품종 Mudgo, ASD-7에서 산란선호성이 높았고 밀양 21호와 23호에서 현저히 낮았으며 흰등멸구에서는 저항성 대조품종과 공시품종사이에 거의 같은 산란선호성을 보였다. 그러나 끝동매미충과 번개매미충의 경우는 반대로 저항성 대조품종들of 비하여 밀양 21호와 23호에서 현저히 높은 산난선호성을 보였다. (4) 밀량 23호에 대한 끝동매미충의 약충기간은 저항성 대조품종과 대등하였으나 밀양 21호와 23호에 대한 다른 멸구$\cdot$매미충의 약충기간은 저항성 대조품종들에 비하여 현저히 짧으며 감수성 대조품종과 같았다. (5) 저항성 대조품종에서 멸구$\cdot$매미충의 우화율이 심히 낮았으나 공시품종 및 감수성 대조품종에서는 비교적 우화율이 높았다. 감수성 대조품종에 비하여 공시품종에서 비교적 우화율이 낮은 害펄은 밀탕 21호 와 23호에 대한 애멸구, 끝동매미충 및 번개매미충이었다. (6)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밀양 21호와 23호는 멸구$\cdot$매미충에 대한 진성저항성을 결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진다. 다만 두 신품종은 끝동매미충에 대하여 비교적 저항성이 높은 것이 아닌가 보며 애멸구에 대한 것은 저항성이라기 보다는 벼의 내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진다.

  • PDF

끝동매미충 난기생봉 (Paracentrobia andoi)에 관한 연구(I) (Studies an the Egg Parasite, Paracentrobia andoi Ishii (Hymenoptera : Trichogrammatidae) of Green Rice Leafhopper, Nephotettix cinticeps Uhler (1))

  • 김정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7-241
    • /
    • 1984
  • 이 시험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있어서 끝동매미충의 알에 기생율이 높은 Paracentrobia andoi의 포장생태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월동후 활동은 3월상순부터 활발하였으며 4월상순 이후 부터는 휴한답로 옮겨가는 경향이였다. 2 .휴한답의 둑새풀에서 끝동매미충의 알에 대한 기생율은 끝동매미충의 산란최성기인 4월하순에서 5월상순 사이에 $21\%$ 높은 경향이였다. 3. 휴한답에서 지역별 평균 기생율은 거창과 남지는 $0\%$, 남해, 김해 및 진주는 $9.6\~29.2\%$였다. 4. 본답에 있어서 이 알기생봉은 3회 발생을 하였으며 발생최성기는 8월중순과 10월초순경이였다. 5. 본답기에 있어서 끝동매미충의 2세기충(6월하순경 발생)과 3세대충(8월하순경 발생)에 대한 이 알기생봉의 평균 기생율은 각각 $16.5\%$$36.7\%$였다.

  • PDF

남부지방에 있어서 끝동매미충 난기생봉의 종류 및 기생율에 관한 조사연구 (Egg Parasitism of Green Rice Leafhopper,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by Gonatocerus sp. and Paracentrobia andoi in Southern Rice Cultural Areas)

  • 장영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9-112
    • /
    • 1980
  • 본답후기인 8중-9상순에 걸쳐 끝동매미충 난에 기생하는 기생봉의 종류와 이들의 기생율을 남부 4개 지역에서 재래품종과 통일계통 품종 포장에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에 기생하는 실적으로 Gonatocerus sp. 2종과 Paracentrobia andoi 그리고 Anagrus sp. 1종 등 모두 4종의 난기생봉이 분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2. 기생율 조사 결과 Gonatocerus sp.의 평균 난괴기생율과 난립기생율은 각각 $58.8\%$$41.0\%$였고 Paracentrobia andoi의 경우에는 각각 $6.2\%$$5.3\%$로서 Gonatocerus sp.가 Paracentrobia andoi의 기생율 보다 훨씬 높안 우점종을 이루어 있었으며 이들 두 종이 같은 난괴에 혼재하는 율은 $5.4\%$였다.

  • PDF

번개매미충에 대한 벼의 품종저항성에 관한 연구(II) (Studies on the Varietal Resistance of Rice to the Zigzag-Striped Leafhopper, Recilia (Inazuma) dorsalis Motschulsky(II))

  • 최승윤;송유한;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3-87
    • /
    • 1973
  • 번개매미충(Recilia (Inazuma) dorsalis MOTSCH.)에 대한 IRRI 선발 및 국내품종 또는 계통의 저항성 정도를 검정하고 나아가 몇 가지 저항성기작을 검토코저 시험을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uthumanikam, PTB-18, Su-Yai-20 및 Vellanl-angalayan은 저항성(R) 반응을 보였고 DV-139는 중도저항성(MR)의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그밖에 품종 또는 계통은 모다 감수성(S)으로 나타났다. 2. 식이선호성은 품종 또는 계통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저항성품종 Su-Yai 20, Vellanlangalayan에서 낮은 식이선호성을 나타내었고 감수성품종 Mudgo, Jaelrun, Jinheung, T(N) 1등은 높은 식이선호성을 보였다. 3. 산난선호성은 품종 또는 계통에 따라 역시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IR $747-B_2-6-3,$ T(N)1, Vellanlan galayan등은 비교적 산난선호성이 높았고 Pankari 203, Jaekun, Suweon 213은 비교적 낮았다. 그러나 산난선호성은 유묘의 저항성반응이나 식이선호성과 어떤 관계를 찾아 볼 수 없었다. 4. 저항성품종 Su-Yai-20, Vellanlangalayan, 중도저항성품종 DV-139는 100\%$의 약충기사충율을 보여 고도의 Antibiosis 현상이 나타났으며 부화약충 접종후 저항성품종 Vellanlangalayan에 서 는 1.8일만에, Su-Yai-20에서는 2.2일만에, 중도저항성품종 DV-139에서는 8.3일만에 100\%$의 사충률을 보여 주었다. 감수성품종에서도 충의 발육도에 있어서 품종 또는 계통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약충기간은 16.8일에서 19.8일의 분포를 보였으며 약충기간의 사충율은 $33.3-80.0\%$, 우화율은 $20.0-66.6\%$이었다. 4.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저항성기작은 번개매미충의 경우 식이선호성과 Antibiosis가 관계하며 산난선호성은 그 관계가 낮거나 아니면 없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 PDF

감나무애매미충, Zorka sp. (매미목: 애매미충아과)에 의한 감 (Diosprosi kaki) 피해 보고 (Report on Zorka sp. (Homoptera: Typhlocybinae) as a Pest of Persimmon (Diosprosi kaki) in Korea)

  • 황인천;임태헌;이석준;박정규;추호렬;이동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79-484
    • /
    • 2009
  • 2008년 6월 15일 경북 상주의 상주둥시 감나무 (Diospyrosi kaki)에서 매미충이 채집되었다. 매미충은 감나무 잎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었으며 Zorka속의 신종으로 확인되었다. 피해 잎은 앞면쪽에 1 mm 이하의 흰색 반점이 엽맥 주위부에 형성되었고, 피해가 심해지면 잎 전체에 반점이 형성되었다. 엽당 4마리 밀도로 접종 시 4일 후부터 피해 흔적이 확인되었다. 2008년과 2009년 6월에서 8월 사이 6개도 11개 시 군 감나무 과원에서 Zorka sp.에 의한 피해지역을 조사하였다. 조사과원 중 15.4%인 22개 과원에서 피해가 확인되었다. 충북 영동지역에서는 40.7%의 과원이 피해를 받고 있었고, 전북 완주지역에서는 33.3%가 피해를 받고 있었다. 반면 남부지역인 경남과 제주지역에서는 피해 과원이 없었다. 피해과원이 많았던 충북 영동지역의 경우 11개 피해 과원 중 9개 과원이 포도밭과 인접해 있었다.

A new record of the leafhopper genusBatracomorphus Lewis (Hemiptera: Auchenorrhyncha: Cicadellidae) from Korea with a key to the KoreanBatracomorphus species

  • Kim, Eunji;Oh, Sumin;Lee, Gwan-Seok;Lee, Wang-Hee;Jung, Sunghoon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3호
    • /
    • pp.683-687
    • /
    • 2019
  • The leafhopper genus Batracomorphus Lewis, 1834 belongs to the tribe Batracomorphini (Hemiptera: Auchenorrhyncha: Cicadellidae: Iassinae). B. irroratus Lewis, 1834 was designated as its type species. The genus includes most diverse species in the subfamily Iassinae and contains approximately 350 described species from the world. In Korea, four Batracomorphus species, B. allioni (Turton, 1802), B. punctilliger Anufriev, 1981, B. stigmaticus (Matsumura, 1912), B. viridulus (Melichar, 1902), have been reported in the Korean peninsula. The members of this genus have a similar body size and similar general appearances; thus, it is very difficult to identify clearly without examining the male's genital structures. In this study, Batracomorphus furcatus Li and Wang, 2003 is newly reported from Korea for the first time. This species is previously known to be from China. Herein, the morphological information of B. furcatus Li and Wang is provided with a re-description, photographs of the male dorsal habitus, illustrations of the genitalia structure and distributional records. In addition, a key to the Korean five species of Batracomorphus is presented.

오동나무애매미충(가칭(假稱))에 의한 오동나무빗자루병의 일일초로의 충매전염(蟲媒傳染) (Transmission of Paulownia Witches'-Broom Mycoplasma-like Organisms to Periwinkle by a Leafhopper, Empoasca sp.)

  • 여운홍;박원철;이재호;고명균;이창근;김영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1-5
    • /
    • 1994
  • 오동나무빗자루병의 매개충(媒介蟲)을 찾을 목적(目的)으로 오동나무빗자루병이 많이 발생(發生)하고 있는 조림지내(造林地內)의 흡즙성곤충상(吸汁性昆蟲相)을 조사(調査)한 바 16종(種)이 동정(同定)되었다. 이 중에서 관찰빈도(觀察頻度)가 비교적(比較的) 높은 10(종)種의 곤충(昆蟲)을 공시(供試)하여 충매전염(蟲媒傳染)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미기록종(未記錄種)인 오동나무애매미충(가칭(假稱), Empoasca sp.)만이 오동니무빗자루병을 일일초(日日草)로 매개전염(媒介傳染)시켰다. 오동나무 이병목(罹病木)에서 채집(採集)한 오동나무애매미충의 성충(成蟲)을 오동나무 이병지(罹病枝)에서 3주일간(週日間) 획득흡즙(獲得吸汁)을 시키고 일일초실생유묘(日日草實生幼苗)에 접종(接種)한 결과(結果), 3~40일(日)이 지난 후(後)에 잎이 작아지는 소엽병징(小葉病徵)을 보였다. 그러나 본(本) 보독충(保毒蟲)을 접종(接種)한 오동나무실생유묘(實生幼苗)에서는 아무런 이상증상(異常症狀)이 관찰(觀察)되지 않는다. 소엽병징(小葉病徵)이 나타난 일일초조직(組織)을 현광현미경(螢光顯微鏡)으로 검경(檢鏡)한 결과(結果), 병원체(病原體)인 마이코플라스마유사미생물(類似微生物)(mycoplasma-like organism ; MLO)에 감염(感染)되었음이 진단(該斷)되었고, 조직(組織)의 사관(篩管)에서 MLO들을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할 수 있음으로써 충매전염(蟲媒傳染)이 확인(確認)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