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shape

검색결과 518건 처리시간 0.023초

Morphological variation of the velum in children and adults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Kotlarek, Katelyn J.;Haenssler, Abigail E.;Hildebrand, Kori E.;Perry, Jamie L.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9권2호
    • /
    • pp.153-158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riations in velar shape according to age, sex, and race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70 participants (85 children, 85 adults) between 4 and 34 years of age. Velar morphology was visually classified using midsagittal MRI scans for each participant by 2 independent raters. In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was assesse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correlations of velar shape with sex, age, and race. Results: The most frequent velar shape was "butt" for both adults(41%) and children (58%) in this study. The least common shapes for adults were "leaf" and "S." The children did not exhibit any "leaf" or "straight" velar shap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for age with respect to velar shape (P=0.014). Sex and race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velar shape in this study. Conclusion: When using MRI to evaluate velar morphology, the "butt" shape was most common in both children and adults. Velar shape varied significantly with age, while race and sex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Multileaf Collimator의 적정 폭에 관한 연구 (The Optimum leaf width of Multileaf Collimator)

  • 이병용;조병철;장혜숙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5권2호
    • /
    • pp.49-55
    • /
    • 1994
  • Conformal therapy를 위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Multileaf collimator(MLC)는 기존의 cerrobend에 의해 형성되는 선량 분포에 비해 leaf 폭의 제한 때문에 조사면의 경계 부분의 반그림자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scallop penumbra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MLC에 의해 형성되는 모양의 field를 cerrobend 블럭을 이용하여 제작, 다양한 형태의 field 모양에 따른 기존의 블럭과 MLC블럭에 의한 penumbra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 이를 통해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최적의 leaf 폭을 찾아내었다. MLC 제작시의 비용을 고려할 때 leaf 폭이 8 mm가 적당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early leaf development in the Viola albida complex

  • CHOI, Yong Kuk;WHANG, Sung So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7
    • /
    • 2019
  • Early leaves within the Viola albida complex were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 order to determine the morphological segments during morphogenesis. The early leaf development of V. albida var. albida could be morphologically divided into the eight stages in the following order: I, the initiation of shoot germination; II, the conical growth directionally of the leaf; III, the adaxial and abaxial formation of the leaf; IV, the initiation of the stipule; V, the formation of a transitional zone between the leaf blade and petiole; VI, the expansion of the upper part of the leaf blade; VII, the formation of almost all parts of the early leaf; VIII, the early simple leaf. Viola albida var. takahashii differs from V. albida var. albida by additional stages, i.e., V-1, the initiation of the first lateral lobe at the both lateral parts of the leaf after the stage V and an early lobed leaf. Viola albida var. chaerophylloides is also distinguished from two taxa by two developmental features, V-2, the initiation of a second lateral lobe below of the first lateral lobe, and an early palmately compound leaf.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Viola albida complex would be in the process of peramorphosis, showing developmental changes in a chain of events, leading to a different leaf shape. These data would also be useful for isolating genes that give rise to different leaf morphogenesis outcomes among the taxa in the Viola albida complex.

특징기반 영상 워핑을 활용한 다양한 디지털 잎 모델링 (Modeling of Various Digital Leaves Using Feature-based Image Warping)

  • 김진모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35-24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잎을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하여 특징기반 워핑을 활용한 잎 모델링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다수의 다양한 잎의 형상을 쉽고 직관적으로 제어하고 이를 통해 자연스러운 잎맥 패턴을 효과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영상처리 응용 기술 중 하나인 워핑 방법을 활용한다. 먼저 잎몸 영상으로부터 잎몸의 형상을 판단할 수 있는 근사화된 컨투어 정보를 찾고, 이를 기반으로 특징기반 워핑에 사용되는 제어선을 자동으로 계산한다. 다음으로 제어선기반 워핑을 통해 잎몸 영상을 직관적으로 변형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갖는 잎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변형된 잎몸 영상의 컨투어 정보들로부터 컨투어기반 잎맥 성장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자연스러운 잎맥 패턴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잎몸에 해당하는 샘플 이진영상 한 장을 사용하여 식물을 구성하는 다양한 형상의 잎을 효율적으로 생성 가능한지 여부를 실험을 통해 입증한다. 또한 워핑을 잎몸의 성장에 적용하여 잎의 자연스러운 성장을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한국산(韓國産) Prunus속(屬) 수(數) 종(種)의 엽밀선(葉蜜腺)의 형태(形態)에 관한 연구(硏究) (Morphological Study on the Leaf Nectar Glands of Some Prunus Species in Korea)

  • 박광우;정우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4호
    • /
    • pp.407-412
    • /
    • 1990
  • 한국산(韓國産) Prunus 4종(種) 품종(品種)에 대한 엽신저부분(葉身底部分)과 엽병상(葉柄上)의 밀선(蜜腺)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은 다음과 같았다. 밀선(蜜腺)의 형태(形態)는 평면상(平面上)으로 원형(圓型)과 부정타원형(不定楕圓型)이 있으며 원형(圓型)에는 개벚지나무, 산개벚지나무, 산벚나무와 왕벚나무가 있었고, 부정타원형(不定楕圓型)에는 올벚나무가 있었다. 밀선(蜜腺)의 측면상(側面上) 형태(形態)는 중앙요두형(中央凹頭型)으로 개벚지나무, 산벗나무와 왕벗나무가 있었으며 부정요두형(不定凹頭型)은 올벚나무, 원두형(圓頭型)은 산개벚지나무 1종(種)이 있었다. 특이(特異)하게 올벚나무는 밀선(蜜腺)이 엽신(葉身)에서 융기되어 엽신(葉身)뒷면이 함몰된 형태(形態)를 나타냈다. Prunus속(屬) 및 종(種)은 밀선(蜜腺)의 부위별(部位別) 출현율(出現率)과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에 의해 검색(檢索)이 자능(可能)하였다.

  • PDF

Estimation Model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Leaf Biomass in Pinus sylvestris var. mongolica Plantations

  • Liu, Zhaogang;Jin, Guangze;Kim, Ji H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5호
    • /
    • pp.576-583
    • /
    • 2009
  • Based on the stem analysis and biomass measurement of 36 trees and 1,576 branches in Pinus sylvestris var. mongolica (Mongolian pine) plantations of Northeast Chin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stimation model equation for leaf biomass of a single tree and branch, to examine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leaf biomass in the crown, and to evaluate the proportional ratios of biomass by tree parts, stem, branch, and leaf. The results indicated that DBH and crown length were quite appropriate to estimate leaf biomass. The biomass of single branch was highly correlated with branch collar diameter and relative height of branch in the crown, but not much with stand density, site quality, and tree height. Weibull distribution function would have been appropriate to express vertical distribution of leaf biomass. The shape parameters from 29 sample trees out of 36 were less than 3.6, indicating that vertical distribution of leaf biomass in the crown was displayed by bell-shaped curve, a little inclined toward positive side. Apparent correlationship was obtained between leaf biomass and branch biomass having resulted in linear function equation. The stem biomass occupied around 80% and branch and leaf made up about 20% of total biomass in a single tree. As the level of tree class was increased from class I to class V, the proportion of the stem biomass to total biomass was gradually increased, but that of branch and leaf became decreased.

자두의 형태적 특성과 주성분 분석에 의한 품종군 분류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Plums)

  • 정경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1호
    • /
    • pp.23-28
    • /
    • 1999
  • Prunus cerasifera, P. domestica 및 P. salicina에서 기원된 자두 53 종 또는 품종으로 부터 27 형태형질의 특성을 조사하여 품종 동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그들간의 분류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성분분석 및 집괴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형태형질 중 잎의 크기, 잎의 형태 및 엽내 털 발생정도 등이 자 두아속 식물의 동정 및 분류적 관계 해석에 있어서 상당히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단되었으며, 잎의 길이, 엽병 길이, 밀선수, 형, 엽저, 만개기 등은 P. domestica계 자두와 P. salicina계 자두간에 명확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주성분분석 득점치를 이용한 비가 평균결합법에 의한 집괴분석 결과 53개 분류 군들은 평균거리 1.0을 기준으로 할 때 P. alicina-P. cerasifera 표현군, P. domestica 표현군 및 P. pinosa 표현군 등 3개의 표현군으로 분류될 수 있어, 분류군들의 대략적인 분류적 관계 분석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정확한 종군 분류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형태형질의 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버어리종, 황색종, 양건종, 담배의 유전분석에 관한 연구 I. $F_1$의 잡종강세, 상관 및 조합능력 (STUDIES ON THE GENETIC ANALYSIS AMONG BURLEY, FLUE-CURED AND SUN-CURED TYPE TOBACCO 1. HETEROSIS, CORRELATION AND COMBINING ABILITY OF $F_1$ HYBRID)

  • 한철수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9-109
    • /
    • 1985
  • The present studies were carried out to obtain some basic informations of the breeding of tobacco varieties. Genetically divergent 8 varieties, 3 flue-cured, 2 burley and 3 sun-cured tobaccos, were used in half diallel cross. In order to analyze the heterosis, combining abilities, modes of inheritance and correlations for some agronomic and chemical characters, 8 parents and 28 $F_1$ were teste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ercentages of heterosis for stem diameter, internode length and total sugar content in $F_1$ hybrid were 3.6%, 3.1% and 10.6%, whereas these for days to flower, total alkaloids and leaves per plant were -6.3%, -6.9% and -5.0%, respectively. Yield had significant positive genotypic correlations with plant height, days to flower and leaf length, but negative with internode length and total sugar content. It also had significant prositive phenotypic correlations with plant height, days to flower, leaves per plant, leaf length, leaf width and leaf shape index (Leaf length/leaf width). General (GCA) and specific combining abilities (SCA) for all characters of $F_1$ hybrid were significant. The effects of GCA were positive on yield, plant height, stem diameter, leaves per plant and days to flower of Burley 21. And those were positive on yield, leaf shape index and plant height, but negative on leaves per plant and total nitrogen of Hicks. The effects of SCA for yield and leaves per plant were greater than those of others on the combinations of Coker 139 and Burley type, respectively.

  • PDF

형태학적 형질에 기초한 한국산 부추속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Korean Allium L.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 최혁재;장창기;이유미;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75-308
    • /
    • 2007
  • 한국산 부추속 16종 5변종의 총 21분류군에 대하여 성적특성, 지하부의 구조 및 형태, 지상부의 생자양상, 엽신과 화경의 모양 및 내부구조, 화피, 화사 및 암술의 형태 등의 외부형태형질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각 분류형질의 특수화 및 진화경향성을 고찰하였고, 분류군들간의 유연관계와 계통을 추론하였다. 진화경향성이 있는 형질은 근경과 인경을 포함한 지하부, 잎, 화경, 화서, 화사 및 자방의 모양 등이었다. 근경의 형태는 비후형에서 미세형으로 발달하였고, 인경의 외피는 얇은 막질에서 그물상 섬유질로 진화한 것으로 여겨졌다. 막질의 초상엽은 달래에서만 관찰된 파생형질이였으며, 엽신은 단면이 둥글고 유관속이 환상으로 배열하는 것에서 각진 형태를 거쳐 단면이 납작하고 넓어지면서 유관속이 1열로 배열하는 것으로 분화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화경의 개화 전 생장은 직립하는 것이, 그리고 화사는 치편이 발달하지 않은 것이 원시적이며 자방은 실 당 2개의 배주를 가지는 것에서 1개씩 가지는 것으로 진화한 것으로 여겨졌다. 한편 성적특성, 지하부의 구조, 막질의 초상엽의 존재유무 및 잎의 내부구조는 아속 수준에서, 지하경 및 인경의 형태, 잎의 모양, 화경 및 소화경의 모양은 아속 내 절 수준에서 분류체계를 결정해 주는 좋은 식별형질이었다. 화피와 화사의 모양 및 배열은 자방 및 주두의 모양과 함께 종을 구분해 주는 좋은 식별형질이었다.

잎의 발달단계의 leaf index를 조절하는 애기장대 MACROPHYLLA/ROTUNDIFOLIA3 유전자 (MACROPHYLLA/ROTUNDIFOLIA3 gene of Arabidopsis controls leaf index during leaf development)

  • 전상은;투말라 찬드라쉐이커;조규형;이영병;형남인;남재성;김경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285-292
    • /
    • 2011
  • 식물 잎의 발달과정에서 heteroblasty는 외부 환경에 대한 식물의 형태적 적응 방법을 매우 잘 반영하며 이에 따른 변화는 기관의 최종 형태와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 Heteroblasty를 나타내는 인자 중에서 leaf index는 단엽식물의 잎의 최종 모양과 크기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인자이다. Leaf index는 결국 잎몸에서의 세포 증식과 세포 신장의 두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비록 세포의 증식과 신장을 조절하는 유전자와 조절 기작들이 연구되고 있으나 큰 청사진을 제시하기에는 아직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과정 중 잎의 leaf index 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밝히고 그 조절 기작을 알아내기 위하여 애기장대 돌연변이체를 이용한 분자유전학적, 생리학적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잎과 잎 세포가 커지는 돌연변이체인 macrophylla (mac)를 선발하여 잎의 확장과정과 leaf index의 이상으로 인해 잎 기관의 모양뿐 만 아니라 heteroblasty에 변화가 발생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이 돌연변이체는 기존에 알려진 ROTUNDIFOLIA3 (ROT3) 유전자의 점 돌연변이에 의해 일어났다고 판명되었고 mac/rot3-5로 명명되었다. 브라시노스테로이드 처리로 인해 ROT3 유전자의 발현이 음성 되먹임 저해를 받는 것으로 보아 ROT3 유전자가 브라시노스테로이드 생합성에 관여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암상태에서 ROT3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며, mac/rot3-5 돌연변이체가 야생형보다 암반응이 약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ROT3 유전자가 잎의 확장과정에서 잎의 leaf index 조절과 고유한 heteroblasty의 정립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브라시노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조절을 통하여 음지회피성과 같은 환경조절반응을 수행하고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