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shape

검색결과 517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산 다래나무속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Actinidia in Korea)

  • 김윤영;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85-295
    • /
    • 2013
  • 한국산 다래나무속은 4종 2변종, 총 6분류군으로 분류하여 왔으나, 이들을 구분하는 분류학적 형질에 대한 이견이 존재함에 따라 형태학적, 해부학적, 화분학적 형질을 토대로 종의 한계를 재고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다양한 자연집단을 관찰하였으며, 각국의 표본관에 소장된 기준표본을 포함한 건조표본들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잎의 두께, 털의 형태와 색깔, 엽형 등은 중요한 형질로 여겨왔으나 폭넓은 변이로 인해 식별형질로 부적합하였으며, 수의 형태, 동아의 돌출 정도, 인편 수, 약의 색깔, 열매 모양, 숙과기 등은 유용한 형질이었다. 털다래나무와 녹다래나무는 털의 형질에 기초하여 분류되었으나, 이들 두 분류군에서 나타나는 털은 다래나무에서도 관찰되므로 모종에 통합하였다. 결과적으로, 한국산 다래나무속 식물을 총 4종으로 정리하였고 이에 따른 검색표를 제시하였으며 이명과 기준표본을 정리한 기재문을 작성하였다.

자망어구 부이의 깃대가 부이줄 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agpole attached to buoy on tension of buoy rope of gillnet)

  • 조삼광;이건호;차봉진;정성재;김인옥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2권4호
    • /
    • pp.290-298
    • /
    • 2016
  • This study aims to reduce the force exerted to the buoy of the gillnet by wave and current. Five buoy models were selected for experiments and their rope tensions under wave and current action were compared. Five models were EL (ellipsoid), EL-H (ellipsoid-hole), SL (streamlined body), SP (sphere) and CL (cylinder, traditional type). In the first experiment, the Five models were tested without any attachment. In the second experiment, a flagpole was attached to each model. As a result, in the condition without flagpole, the tensions of four models with the exception of the CL were about a half of that of the CL. In the condition with flagpole, the tension of all models was twice larger than that without flagpole. Thus, a new model was suggested to improve the problem, which has a combined body that of a flagpole and a buoy Three new models of CL-L (long and thin cylinder), LF (leaf shape) and LF-F (leaf shape with fin) were designed. Also a cylinder type (CLD) with a flagpole as a control was included in the experiment. As a result, the LF-F had the smallest tension and a half tension of the CLD. Therefore, it is supposed that the flagpole and buoy combined model could reduce the tension on buoy rope and contribute to improve the gillnet loss problem.

쓴메밀(Fagopyrum tataricum) 유전자원의 루틴 함량 비교 (Comparison in Rutin Content of Tartary Buckwheat(Fagopyrum tataricum))

  • 박병재;박종인;장광진;박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46-250
    • /
    • 2005
  • 아시아 지역에서 수집한 야생 쓴메밀의 종자 및 식물체 내의 루틴함량을 조사하였다. 쓴메밀은 종자 및 식물 전체부위에서 숙근메밀이나 단메밀보다 높은 루틴 함량을 나타냈다. 특히, 꽃은 숙근메밀의 2.2배, 단메밀의 9.5배, 줄기는 각각 3.1배와 24.9배, 종자는 3.2와 65배나 높았다. 3종에 대한 식물체 부위별 루틴함량은 모두 꽃>잎>종자>줄기>뿌리의 순으로 높았다. 종피색에 따른 루틴함량은 암회색>검은색>갈색, 회갈색 순의 경향을 나타냈으며, 종자의 형태는 Slender>Notched>Round 순으로 루틴함량이 높았다. 재배종은 야생종에 비해 루틴함량이 잎은 1.3배, 줄기가 1.4배, 종자가 1.2배의 높은 경향을 보였다. 부탄지역 수집품종은 잎, 줄기, 종자의 루틴함량이 다른 지역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슬로베니아 및 파키스탄지역 수집품종은 잎, 줄기에서, 인도 및 네팔지역 수집품종은 종자에서 가장 낮은 루틴함량의 경향을 보였다.

방사선 처리에 의한 유채의 생육 및 감수성 조사 (Radio-sensitivity Analysis and Selection of Useful Mutants of Rape (Brassica napus L.) by Gamma Irradiation)

  • 고은정;김욱진;김진백;김동섭;김상훈;강시용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77-283
    • /
    • 2010
  • Rape (Brassica napus L.) plants are one of the major oilseed crops. The main components of rapeseed are oil (35 to 47%) and protein (15 to 32%). For the biodiesel production, the development of a new variety of rape plant with high biomass and/or oleic acid contents is requi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dose of gamma-ray irradiation, the rape seeds of cvs. Hanra (Hr), Youngsan (Ys), Tammi (Tm), and Tamra (Tr) were irradiated with a 100~4,000 Gy dose range of gamma-rays. Considering the growth factors, the optimum doses were determined to be within the range of 600~1,000 Gy for the selection of useful mutant lines. Six-hundred and eighty-eight (688) $M_2$ mutant lines were obtained from 600~1,000 Gy gamma-ray-irradiated $M_1$ plants through selfing. The growth characteristics, leaf shape, early flowering, and flower color were all investigated. The selected mutant numbers of early flowering, leaf shape, and flower color were 34, 52, and 3 from the four cultivars, respectively. These mutant lines will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variety of rape plant with high biomass and oleic acid contents.

A taxonomic revision of the Boehmeria spicata complex (Urticaceae) in Korea

  • JO, Hyeong Jun;KIM, Jae Young;LEE, Yuri;PARK, Se Hee;KWON, Min Ji;JEONG, Seon;CHUNG, Gyu You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15-132
    • /
    • 2021
  • Seven species and two varieties belonging to the genus Boehmeria Jacq. (Urticaceae) are known to be distributed in Korea. Among them, B. spicata, B. tricuspis, and B. tricuspis var. unicuspis were subjected to an external morphological study. Among the individuals believed to exhibit variations in the leaf shape, B. gracilis and B. silvestrii were newly recognized. Unlike related taxa, B. gracilis has middle leaves with an elliptic, broadly elliptic, ovate, or broadly depressed ovate shape, a regular and serrulate-dentate margin, and an unlobed and short caudate or cuspidate apex. Boehmeria silvestrii has middle leaves with 5-angled ovate, orbicular ovate or broadly ovate shapes, and 3- or 5-lobed and caudate apices. Therefore, we assigned the corresponding names 'Top-geo-buk-kko-ri' and 'Cham-geo-buk-kko-ri'. Meanwhile, the B. spicata complex (B. gracilis, B. silvestrii, B. spicata, and B. tricuspis var. unicuspis) is very closely related in term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whereas B. tricuspis exhibits no relationship. Furthermore, because the scientific name and type specimen of B. tricuspis var. unicuspis (Pul-geo-buk-kko-ri) are problematic, the correct name B. paraspicata Nakai and corresponding holotype are presented. Additionally, lectotypes of B. gracilis and B. silvestrii are newly designated here. A taxonomic treatment, descriptions, a key, photographs, type specimens, and leaf variation images of the B. spicata complex are provided in this study.

Stereoscope를 이용한 미세종자류 한약재 외부형태 감별연구(제3보(報)) - 사원자(沙苑子)와 황기자(黃芪子), 정력자(葶藶子) - (Identification of Morphological Appearance of Fine Seed Herbs Using Stereoscope (Report III) - Phyllolobii seu Astragali, Lepidii, Descurainiae, Drabae Semen -)

  • 김영식;주영승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30
    • /
    • 2019
  •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identification keys based on stereoscopic examination of 8 seed herbs in 2 categories (Phyllolobobii Semen (PS) with 4 Astragali Semen (AS), and 2 Lepidii seu Descurainiae Semen (LDS) with 1 Drabae Semen (DS)) which have difficulties in discrimination with visual observation. Methods : We reviewed the description of original plants and their medicinal parts from the literature. The original plants were collected, identified, confirmed as specimens, and compared to the samples distributed in the market. The first identification was made by visual observation, and insufficient points were supplemented by stereoscopic observation. Identification criteria were set by consider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uthentic herbs, percentage of adulterants, and distinction between authentic herbs and adulterants. Results : The original plants of PS and AS could be distinguished by upright or lying form of stem, color of flowers, number of leaflets, and presence of hair of fruits. LDS and DS could be distinguished by leaf arrangement on stem: radical or cauline, whole plants size, leaf division, color of flowers, and shape of fruits. The herbal medicines of PS and AS could be distinguished by seed surface pattern, size, and hardness. LDS and DS could be distinguished by size, shape, viscosity when chewed, and degree of mucous layer formation when soaked in water.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e identification keys of original plants and herbal medicines. Especially, since fine seed herbs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by visual observation, the stereoscope should be applied to the discrimination.

내동성계 재래뽕 용천뽕과 영변뽕의 동질4배체 육성 (Breeding of Artificial Autotetraploids from Cold Hardness Lines of Yongchonppong and Yeongbyonppong)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93-99
    • /
    • 1996
  • 고조삽목후 삽수의 동아가 발아할 때 0.1~0.4% Colchicine 수용액을 4~5일간 적하하여 용천뽕의 동질4배체 2계통, 영변뽕의 동질4배체 1계통을 육성하였으며 주요 재배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봄철의 탈포기는 모품종보다 2일간 늦으나 발아후의 발육속도가 빨라서 5개엽기는 모품종과 동일한 중생뽕이었다. 2. 잎모양은 폭광형이고 잎자루는 길고 굵으며 잎두께는 모품종보다 17~33% 두껍고 1엽중은 무겁고 잎면적중은 21~31% 증가하고 엽록소함량은 11~33% 증가하여 우수한 엽질적 요소를 갖추었다. 3. 모품종보다 가지길이는 짧고 가지수도 적으며 마디사이길이는 같거나 약간 길어지며 굵어져서 가지의 구성요소는 다소 불량하였디. 4. 가지끝마름길이 비율로 나타낸 내동성은 4원뽕 23호, 24호는 용천뽕과 비슷하고 4원뽕25호는 영변뽕보다 강하였고 뽕나무 오갈병 발생율은 높았다. 5. 모품종보다 수량성은 낮고 신초엽량비율과 정엽량비율은 약간 높았다. 6. 4원뽕23호와 24호는 염성이 비교적 높아서 62%의 교잡성공율을 나타내었으나 4원뽕25호는 염성이 낮고 교잡성공률은 23.9%이었다.

  • PDF

경남지역 둥굴레속의 형태적 특성에 의한 분류와 형질간 상관 (Classification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Correlation of Polygonatum Species Collected from Gyeongnam Area)

  • 심재석;박정민;전병삼;강진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29
    • /
    • 2005
  • 경남지역의 자생 둥굴레속 47개 수집종의 유연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수집종의 생장 몇 형태 관련 형질, 잎마름병 감염정도, 이들 형질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산둥굴레에서 가장 길었던 반면, 용둥굴레에서 가장 짧았다. 한편 줄기의 생장형태는 직립형을 포함한 3개군으로, 줄기색깔은 녹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하였다. 2. 염의 형태로는 타원형을 포함한 5개군으로, 엽병은 존재 유무로부터 2개군으로, 엽병의 색깔은 녹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그 중에 특이하게 피침 형태로 엽연이 자색인 1개종이 수집되었다. 3. 꽃은 화형이 항아리형, 통형, 조롱박형의 3개군으로, 화색은 흰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특별하게 조롱박형인 1개 수집종은 연녹색을 띄고 있었다. 화사는 실린더형과 편평형으로, 화경의 색깔은 자색을 포함한 4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포의 존재 유무와 형태에 따라 4개군으로 분류하였다. 4. 과실은 둥근형 등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백과중은 둥굴레에서 가장 무거웠던 반면, 용둥굴레에서 가장 가벼웠다. 5. 둥굴레 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아주 강한 것은 2종, 이병율이 7% 이하인 것은 7개종으로 조사되어서 근경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저항성 유전자원이 자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제형질의 상관관계에서 근경수량과 관련된 근경중은 초장, 경직경, 엽수, 엽장, 엽폭, 지하경 직경과 정의상관을 보였으나 근경수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잎마름병 이병율은 초장, 경직경, 엽수, 엽장, 백립중, 근경중, 지하경 직경과 부의상관을 보였다.

중·북부지역에서 재배된 GM 배추와 Non-GM 배추간의 식물체 특성 및 영양 성분 비교 분석 (Comparison of the Plant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Components between GM and Non-GM Chinese Cabbages Grown in the Central and Northern Parts of Korea)

  • 조동욱;오진표;박권우;이동진;정규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836-844
    • /
    • 2010
  • 본 연구는 GM 배추와 non-GM 배추 계통간의 식물체 생장 특성, 지방산의 조성 및 무기 영양 성분을 분석하여 GM 작물의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GM 배추(SKCP)와 모본(SC) 계통을 중부지역과 북부지역에서 2008년 가을과 2009년 봄과 가을에 밀식 및 일반 배치시험구로 나누어 40일간 재배하고 수확 후 특성을 조사하여 SKCP 계통과 SC 계통간의 차이점 및 재배 지역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밀식 배치 시험구에서 재배된 배추 식물체의 최외각 엽의 특성 9개 항목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두 지역에서 재배된 SKCP 계통과 SC 계통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두 항목(잎의 모양과 모용수)을 제외하곤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식물체의 지상부의 특성 6개 항목과 지하부의 특성 3개 항목을 조사한 결과, 두 지역 모두에서 SKCP 계통과 SC 계통간의 통계적 유의차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중륵의 길이가 두 지역에서 계통간 약간의 유의차를 보였으며, 재배 지역간에도 통계적 유의차가 발생하였다. 중부와 북부지역의 일반 배치 시험구의 경우 최외각 잎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9개의 조사 항목 중 4개의 조사 항목에서 SKCP 계통과 SC 계통간의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특히 잎의 길이에서는 계통간, 재배 지역간 그리고 재배 시기별로 변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식물체의 지상부 특성 9개의 조사 항목 중 5개의 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차가 발생하였으며, 생체중 무게와 중륵의 길이와 넓이에서는 계통간, 지역간 그리고 시기별로 유의차가 크게 나타났다. 2009년도 가을에 중부와 북부 지역의 일반 배치 시험구에서 재배된 배추 식물체의 잎에 존재하는 주된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5 가지 지방산의 총 함량은 재배 지역 및 식물 계통간에 통계적 유의 차가 없었으나 linolenic acid를 제외한 4가지 지방산은 중부와 북부 지역에서 SKCP 비해 SC 계통이 건중량 1g당 함량이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배추 식물체의 잎에 존재하는 무기영양성분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다량 원소는 질소(N), 인(P), 칼슘(Ca), 칼륨(K), 마그네슘(Mg) 및 나트륨(Na)의 6가지이었고 미량원소는 구리(Cu), 철(Fe), 망간(Mn) 및 아연(Zn)의 4가지로 조사되었다. 무기영양 물질의 대사체 분석 데이터를 표준화 작업하여 스코어를 통해 시각화하여 본 결과, GM 및 non-GM 계통간에 특이적 변이에 따른 클러스터 형성은 확인할 수 없었으나, 지역간 차이에 따른 클러스터 형성은 확인할 수 있었다.

부추속(Allium L.) 잎 표피의 구조와 이의 분류학적 중요성 (Leaf epidermal structure of the Allium L. and its taxonomic significance)

  • 최혁재;장창기;고성철;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7-118
    • /
    • 2004
  • 부추속 분류군들에 대한 광학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잎 표피의 해부학적 및 미세구조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종 수준 또는 절이나 아속의 수준에서 각 분류군의 주요형질 및 형질의 변이 한계를 파악하였다. 잎 표피세포의 모양은 장방형에서부터 아주 긴 선형으로 관찰되었고, 크기는 분류군에 따라 다양하였다. 엽신이 넓은 달래절, 산마늘절, 두메부추절 등에 속하는 분류군의 표피세포는 장방형으로 선형을 가지는 다른 절로부터 이들을 구분되었다. 산마늘절의 잎은 이면기공엽으로 관찰되어 양면기공엽을 가지는 나머지 분류군들과는 구분되었다. 기공복합체에서 공변세포 크기는 각 분류군 간에 거의 변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위면적 당 기공의 수는 표피세포의 크기가 커지면 적어지고, 세포의 크기가 작아지면 많아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엽신이 넓고, 표피세포의 모양이 장방형인 산마늘절에서는 다른 선형의 세포를 가진 종에서 보다 아주 적게 나타났다. 관찰된 모든 분류군에서는 불규칙형 기공이 나타났다. SEM에 의한 잎 표피세포의 미세구조 관찰 결과, 표피 외벽의 융기 형태와 wax의 침적 양상이 종간에 다소 다양한 형태로 관찰되었다. 세포 표면이 융기된 돌기물의 형태는 달래절과 산마늘절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달래절에서는 세포벽의 표면에 주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미세무늬가 나타났고 산마늘절에서는 평행인 미세무늬가 나타났다. 세포벽 외부의 돌기물의 구조는 돌추절과 두메부추절에서는 뚜렷한 선모양으로, 노랑부추절에서는 미약한 선모양으로 관찰되었으나, 다른 분류절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달래절과 산마늘절의 분류군을 제외한 다른 분류군에서는 왁스가 침적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