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segment cultur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6초

Multiple Shoots Regeneration and In vitro Bulblet Formation from Garlic Callus

  • Kim Soon-Seob;Guo De-Ping;Jung Do-Cheol;Kwon Soon-Tae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권2호
    • /
    • pp.95-99
    • /
    • 2003
  • The leaf segments of garlic (Allium sativum L.) were cultured in vitro and determined optimal concentration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sugars for callus induction, multiple shoots regeneration and in vitro bulblet formation. Highest yield of callus was observed in the leaf segment culture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 mg/L 2,4-D, 30 g/L sucrose and 8 g/L agar. Regeneration rate of multiple shoots from callus was high in the MS medium supplemented with kinetin 3.0 + NAA 3.0 mg/L or SA 1.0 + NAA 3.0 mg/L, containing 30 g/L sucrose. High rate of bulblet formation was observed as the concentration of jasmonic acid increased from 0.5 to 2.0 mg/L in medium, whereas addition of gibberellic acid significantly suppressed bulblet formation. The rate of in vitro bulbing was as high as $96\%$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0 mg/L jasmonic acid and 120 g/l sucrose after two month culture at $25{\pm}1^{\circ}C$ under 16 hours day light.

애기장대 잎 절편 배양시 NAA 농도에 따른 부정근, 모용 및 캘러스 형성에 미치는 Polyamine의 영향 (Effect of Polyamines on Formation of Adventitious Roots, Trichomes and Calli by NAA in Leaf Segment Cultures of Arabidopsis thaliana)

  • 한태진;홍종필;김준철;임창진;진창덕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7-123
    • /
    • 2000
  • 애기장대 (Arabidopsis thaliana) 생태종 'Columbia'의 잎 절편 배양시 부정근, 모용 및 캘러스 형성에 미치는 polyamine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putrescine, spermidine, spermine, cyclohexylamine (CHA) 및 methylglyoxal-bis(guanylhydrazone) (MGBG)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애기장대 잎 절편을 부정근 (0.1 mg/L NAA), 모용 (2.0 mg/L NAA) 및 캘러스 (10.0mg/L NAA)를 형성하는 MS배지 각각에 putrescine, spermidine 및 spermine을 1∼100 mg/L 처리하였다. Polyamine 처리시 부정근 형성구에서는 부정근과 함께 모용이 형성되었으며, 모용 형성구에서도 모용과 함께 캘러스가 형성되었다 또한 CHA와 MGBG를 1∼100mg/L 범위에서 처리한 결과 CHA는 부정근 형성구에서 다소 부정근이 증가시켰으나 모용이나 캘러스 형성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MGBG는 부정근 모용 및 캘러스 모두를 억제하였고 모용 형성구에서는 고농도에서 부정근을 형성시켰다.

  • PDF

배지(培地) 및 생장(生長)호르몬에 따른 기내배양(器內培養)된 포푸라속(屬) 8개(個) 수종(樹種)의 기관형성반응(器官形成反應) (Morphogenetic Responses according to Media and Growth Regulators in vitro Culture of Eight Populus spp.)

  • 김지문;권기원;문흥규;이재순
    • 농업과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205-212
    • /
    • 1987
  • 기내배양(器內培養)된 포푸라속(屬) 8개(個) 수종(樹種)의 줄기조직편(組織片)(stem segment)과 양버들의 엽(葉), 엽병(葉柄), 절간조직(節間組織)을 재료(材料)로 배지(培地), 생장(生長)호르몬, 치상부위(置床部位)에 따른 기관형성능력(器官形成能力)을 시험(試驗)하여 다음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줄기조직편(組織片)에서 shoot 유도(誘導)는 절(節)(section) 및 수종(樹種)에 따라 많은 차이(差異)를 보였다. 배양(培養) 4주후(週後)에 Leuce 및 Tacamahaca절(節)에 속(屬)하는 수종(樹種)은 부정아유도(不定芽誘導)가 안되었으며 액아(腋芽)나 잠아(潛芽)로부터 shoot가 신장(伸長)되었고, Aigeiros절(節)의 양버들은 조직편당(組織片當) 5.4개(個)의 가장 좋은 부정아발생(不定芽發生)을 보였다. 2. 양버들은 배지(培地) 및 생장(生長)호르몬에 따라 기관형성(器官形成)에 큰 차이(差異)를 보여 엽(葉)의 abaxial side 배양(培養)이 adaxial side배양(培養)보다 부정아발생(不定芽發生)이 양호(良好)하였으며 WPM배지(培地)에 $0.2mg/{\ell}$ BAP가 첨가(添加)된 경우 배양(培養) 5주후(週後)에 조직편당(組織片當) 평균(平均) 103개(個)의 부정아(不定芽)가 유도(誘導)되었다. 3. 2,4-D는 양버들의 부정아유도(不定芽誘導)에는 부적당(不適當)하였으며 callus의 형성(形成)을 촉진(促進)하였고, NAA 혹은 NAA와 BAP의 결합첨가(結合添加)는 모든 조직편(組織片)에서 뿌리의 발생(發生)을 촉진(促進)하였다.

  • PDF

지황의 액체배양에서 식물생장조정제와 치상 조직이 직접 체세포배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and Explants on Direct Somatic Embryogenesis in Liquid Culture of Rehmannia glutinosa)

  • 박주현;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89-293
    • /
    • 1997
  • 지황 (Rehmannia glutinosa) 에서 종근 저장시 나타나는 병원균의 오염율을 없애면서 종묘를 대량 증식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조직을 액체 배양하여 직접 체세포배를 형성하고자 할 때 효과적인 생장조절제의 종류와 농도 및 이들의 혼용 효과와 직접 체세포배 형성 효율이 높온 최적 치상 조직을 찾고자 실험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S고체배지에 잎 절편을 치상한 결과 BA를 1.0 mg/l 이상처리 한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체세포배가 형성되었으나 BA 1.0 mg/1에 NNA를 혼용한 경우에는 캘러스만 형성되었고, BA 2.0 mg/l에 NAA를 혼용한 경우에는 캘러스 과정을 거쳐 체세포배가 형성되었다. 2. MS 액체배지에 잎 절편을 배양한 결과 IAA와 NAA를 각각 0.5 mg/l로 처리하거나, IAA와 IBA를 각각 2.0 mg/l로 처리한 경우 직접 체세포배가 형성 되었다. 3. 잎 절편을 MS 액체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BA, zeatin 및 kinetin을 각각 2.0 mg/l로 처리한 경우 직접체세포배가 효과적으로 형성되 었다. 4. IAA 1.0 mg/l에 BA, zeatin및 kinetin을 혼용처리한 MS 액체배지에 잎 절편을 배양한 결과, zeatin 2.0mg/l을 혼용 처리한 구에서 직접 체세포배 형성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kinetin 2.0 mg/l 와 zeatin 5.0mg/l을 조합한 경우이었다. 5. 치상 6주 후부터 줄기, 엽병 및 잎 절편에서 직접 체세포배가 형성되었으나, 8주 후 치상 조직별 체세포배 형성율은 잎 절편에서 가장 높았다.

  • PDF

구기자나무의 잎과 마디절편체 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생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and Internode Segment Cultures of Boxthorn (Lycium chinense Mill.))

  • 김동찬;정해준;민병훈;양덕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29-333
    • /
    • 2001
  • 배지, 절편체의 종류 그리고 생장조절제가 약용작물인 구기자나무 (Lycium chinese Mill. 'Cheongyang')의 캘러스 유도 및 신초 분화조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지 종류별 기관분화는 신초 분화율, 신초 발생수 및 생체중이 MS, B5, WPM 배지 순으로 양호하였다. 구기자나무의 캘러스 유도는 절간 절편체보다 잎 절편체가 좋았고, 캘러스는 0.5mg/L NAA와 0.2 mg/L BA가 첨가된 MS배지에서 효율적으로 유도되었다. 신초 분화에 관여하는 cytokinin으로는 TDZ보다는 BA가 좋았으며 BA 단일처리보다는 NAA와의 혼용처리에서 더 양호하였다. 신초분화는 0.01 mg/L NAA와 0.2 mg/L BA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가장 좋았다

  • PDF

Efficient Plantlet Regeneration via Callus Formation from Leaf Segment of Lilium Oriental Hybrid 'Casa Blanca'

  • Kim Mi-Sun;Jeon Jae-Heung;Youm Jung-Won;Kim Jae-Hyun;Lee Byung-Chan;Kang Won-Jin;Kim Hyun-Soon;Joung Hyouk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129-134
    • /
    • 2005
  • Callus induction from a leaf explant has been achieved in Lilium Oriental hybrid 'Casa Blanca'. The highest frequency of callus induction was obtain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5 mg/L BA and 2.0 mg/L NAA after 2 months of culture. The cultures maintained continuously without change in color and type of callus when they cultured in the dark. Plantlet regeneration with a high frequency was achieved from induced calli on the same medium. A number of shoots are formed from one cluster of callus, and bulblets developed into intact plantlets after transfer to hormone-free MS medium. No phenotypic variations were observed among regenerants. Enhancement in plantlet regeneration via callus formation would be expected to facilitate the efficiency of transformation of this Oriental hybrid 'Casa Blanca'.

Plant Regeneration from Turnip (Brassica rapa ssp. rapifera) Organs

  • Gendaram Sarantuya;Bae Chang-Hyu
    • Plant Resources
    • /
    • 제8권3호
    • /
    • pp.286-292
    • /
    • 2005
  • Shoot induction system was developed in the recalcitrant plant species, Brassica rapa ssp. rapifera by using optimum selection of profit organ, phytohormone combination, seedling age and kind of culture container. Out of in vitro cultured leaf segment, petiole, hypocotyl, and cotyledon with petiole, only cotyledon with petiole derived from 4 day-old seedlings induced multiple shoot. The optimum combination of auxin and cytokinin for the multiple shoot induction was MS medium containing 5mg/L BA and 0.5mg/L NAA. The major factors for multiple shoot propagation were part of plant organ, age of seedling, and ratio of auxin and cytokinin. In addition, shoot regeneration was promoted in the 100ml Erlenmeyer flask compared with the $90mm{\times}20mm$ Petri-dish. The induced shoots formed roots easy on MS medium containing 0.1mg/L IBA and the whole plants were successfully cultivated in soil.

  • PDF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의 부정근 유도 및 기내증식조건 (Induction and in vitro proliferation of adventitious roots in Dendropanax morbifera)

  • 배기화;김지아;최용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2호
    • /
    • pp.163-169
    • /
    • 2009
  • Dendropanax morbifera (Araliaceae) is an endemic species in Korea and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The roots and stems of this plant have been used for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migraine headache, dysmenorrheal, and remove wind dampness and for Vanishes production. Production of adventitious roots in D. morbifera by in vitro cultures could be used as alternatives materials. Leaf, stem, and root segments from D. morbifera seedling were cultured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3.0 mg/L IBA and 30 g/L sucrose. After 4 weeks of culture, the highest induction of adventitious roots was obtained from the leaf segment. Frequency of adventitious root formation on medium with various kinds of auxins (IAA, NAA, 2,4-D, and IBA) and various concentrations of IBA (0, 0.1, 0.5, 1.0, 3.0, and 5.0 mg/L) was tested. The maximum induction of adventitious root was obtained on medium with 1.0 mg/L IBA. In liquid culture, growth of root was best 1/2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 mg/L IBA and 30 g/L sucrose. Adventitious roots were cultured in 5 L bioreactor containing 1/2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 mg/L IBA and 30 g/L sucrose and mass-production of adventitious roots was successfully achieved. This study demonstrated for the first time to produce adventitious roots in D. morbifera.

두릅나무 '자오'의 체세포배 유도와 식물체 형성에 미치는 생장조절제 및 삼투압제 효과 (Effect of Growth Regulators and Osmoticums on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s Regeneration in Aralia elata Cultivar 'Zaoh')

  • 김지아;문흥규;김용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129-134
    • /
    • 2005
  • 체세포배 유도를 통해 두릅나무 역병 저항성 개체인 '자오'의 효율적인 재분화가 가능하였다. 절편에 따라 배발생 캘러스에 요구되는 생장조절제의 종류가 다르게 나타났다. 잎의 경우 MS 배지에 2,4-D와 TDZ, L-glutamine이 처리된 배지에서 캘러스와 체세포배의 유도가 양호하였으며, 엽병과 뿌리는 2,4-D 단독처리 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적정 배양조건하에서 배발생캘러스 유도율은 잎, 엽병, 뿌리로부터 각각 75%, 67% 및 83%를 나타냈다. 삼투압제 처리에 따른 체세포배의 발아율은 sucrose, glucose, maltose모두 90% 이상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식물체 형성은 2% sucrose에서 72%로 가장 좋았다. 어린 식물체는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은 1/2MS 배지에서 정상 식물체로 생장하였고, 인공상토에 이식하여 95% 이상 순화하였다. 본 실험결과는 두릅나무 역병 저항성 개체 '자오'의 체세포 배발생을 통한 기내 대량증식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