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blade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7초

차광정도(遮光程度) 및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이 배추 수량(收量)과 가식부위(可食部位)의 NO3- 집적량(集積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hading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Yield and Accumulation of NO3- in Edible Parts of Chinese Cabbage)

  • 손상목;오경석;이장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4-159
    • /
    • 1995
  • 차광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비닐 하우스내에서의 질소다비재배시 일조부속으로 인한 배추의 가식부위내 $NO_3^-$ 집적량의 변화를 밝히고자 차광정도를 달리한 하우스내에서의 질소수순별 처리를 두어 배추 수량과 가식부위내의 $NO_3^-$ 함량을 분석한 결과, 보비구, 배비구 모두 전일광 조건에 비해 15% 차광조건에서 엽장 엽폭, 엽수, 근장, 근폭 근중 및 수량이 최고에 달했으나 30% 이상의 차광조건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배추의 최고 수량은 452g으로서 배비구+차광 15% 처리구에서 나타났다. 전일광조건에서 $NO_3^-$ 집적량이 $4,373mg\;kg^{-1}$으로 높았던 외부중록은 차광처리에 따른 $NO_3^-$ 집적량의 증가폭이 적었으나, $NO_3^-$ 집적량이 $1,159mg\;kg^{-1}$, $212mg\;kg^{-1}$으로 낮았던 내부엽중륵 및 내부엽신은 $3,492mg\;kg^{-1}$, $2,435mg\;kg^{-1}$으로 3배, 11.5배로 상승하였다. 차광조건의 경우 엽신보다는 중륵이 내부보다는 외부 가식부위의 $NO_3^-$ 집적량이 많았으며 외부중륵($4,872mg\;kg^{-1}$) >내부중륵($2363mg\;kg^{-1}$) >외부엽신($1.405mg\;kg^{-1}$) >내부엽신($727mg\;kg^{-1}$)의 순으로 낮았다. 15% 까지의 차광에서 보비구의 가식부위별 $NO_3^-$ 집적량은 지상부 지하부 생육 및 수량과 비례적인 증가를 나타냈으나. 배비구의 경우 가식부위인 지상부, 지하부 및 수량의 증가폭 보다 $NO_3^-$ 집적량 증가가 더 컸고, 30%이상의 차광조건에서는 지상부, 지하부 생육 및 수량은 감소하나 오히려 $NO_3^-$ 집적량은 더욱 급격히 증가하였다. 외부엽 중륵의 경우 배비구는 차광정도에 관계없이 $5,000-6,000mg\;kg^{-1}$ 내외에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보비구는 차광정도가 증가할수록 $NO_3^-$ 집적량도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비닐하우스내에서의 과다한 질소시비는 바람직 하지 않으며 중륵이 얇은 신품종 배추의 개발보급과 배추이용시 가식부위중 $NO_3^-$ 집적량이 가장 높은 외부엽 엽신과 중륵 부위의 제거가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제주도산 벚나무속 잎 형질의 분류학적 검토 (Evaluation of leaf morphology for distinguishing Prunus (Rosaceae) from Jeju, Korea)

  • 김찬수;문명옥;정은주;변광옥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1-98
    • /
    • 2005
  • 본 연구는 제주도산 벚나무속 식물을 대상으로 잎 형질의 분류학적 중요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양적 형질은 엽신의 길이, 엽병의 길이, 엽폭, 엽맥 수, 분지각과 엽저각 등을 조사하였다. 질적 형질은 모용분포와 밀선의 위치 잎의 형태 등을 조사하였다. 총 25개의 OTU에 대해 UPGMA에 의한 표현형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subgenus Prununophora에 속하는 매실나무가 subgenus Padus에 속하는 귀릉나무와 섬개벚나무와 같은 유집군을 형성한 점과 subgenus Cerasus에 속하는 벚나무, P. speciosa, 산벚나무, 사옥와 올벚나무, 왕벚나무가 별개의 유집군을 형성한 점 등 일부 분류체계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subgenus Padus에 속하는 귀릉나무와 섬개벚나무, subgenus Microcerasus에 속하는 이스라지, subgenus Amygdalus에 속하는 복사나무가 각각의 유집군을 형성하는 등 분류체계와 유사한 양상이 강하게 나타났다. 결국, 잎 형질, 그 중에서도 엽신의 길이와 폭의 비, 엽신의 길이와 엽병 길이의 비, 엽맥 수, 잎 기부에서 밀선과의 거리, 주맥과 잎 기부의 좌 우각 등과 모용의 분포 등이 제주도산 벚나무속의 식별형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Exclusion of Na+ and ClIons by the central parenchyma in leaf sheaths of rice and the involvement of lamina joint

  • Neang, Sarin;Kano-Nakata, Mana;Yamauchi, Akira;Itani, Tomio;Maekawa, Masahiko;Mitsuya, Shir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37-237
    • /
    • 2017
  • Rice is highly sensitive to salt stress especially in its early growth stage, which thus is one of the major constraints in rice production. In rice plants, salt sensitivity is associated with the accumulation of $Na^+$ in the shoots, especially in the photosynthetic tissues. High salt concentrations in soil cause high $Na^+$ and $Cl^-$ transport to the shoot and preferential accumulation of those ions in older leaves, which decreases $K^+$ in the shoot, photosynthetic activity and grain yield. Salt exclusion capacity at the leaf sheath is therefor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ain mechanisms of salt tolerance. In addition, it is suspected that the lamina joint might be involved in the salt transport from leaf sheath to leaf blade. This research aims to determine if leaf sheaths of rice exclude a large amount of $Na^+$ only or other ions such as $K^+$, $Ca^{2+}$, $Mg^{2+}$, and $Cl^-$ as well, to identify tissues in the leaf sheath, which accumulate $Na^+$, and to examine if the lamina joint is involved in the salt exclusion by the leaf sheath. The rice seedlings of salt tolerant genotype FL478 and salt sensitive genotype IR29 were independently treated with NaCl, KCl, $MgCl_2$ and $CaCl_2$, and Taichung 65 and its near-isogenic liguleless line (T65lg) were treated with NaCl. Then, the content of $Na^+$, $K^+$, $Ca^{2+}$, $Mg^{2+}$, and $Cl^-$ ions and their specific location were determined usin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Ion Chromatograph,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Results showed that leaf sheaths of FL478 and IR29 accumulated a large amount of $Na^+$, $K^+$, $Ca^{2+}$, $Mg^{2+}$, and $Cl^-$ ons, and thus excluded them from leaf blades when treated with high concentration of each salt. When treated with NaCl, the highest $Na^+$ concentration was found in the basal part of leaf sheaths of both cultivars. Moreover,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revealed that the central parenchyma cells of the leaf sheath were the site where most Na, Cl, and K were retained under salinity in the salt tolerant genotype FL478. Also, the concentration of $Na^+$, $K^+$ and $Cl^-$ ions in leaf sheaths and leaf blades was comparable between T65 and T65lg, indicating that the lamina joint may not be involved in the exclusion of $Na^+$, $Cl^-$ and $K^+$ by the leaf sheath from the leaf blade under salinity.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central parenchyma cells of basal part of leaf sheath are the site that plays a physiological role to exclude $Na^+$ in the shoots of rice without the involvement of the lamina joint.

  • PDF

기능성 퇴비가 배추의 생육 특성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nctional Compost on Production, Yield and Quality of Chinese Cabbage)

  • 손상목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1-55
    • /
    • 2002
  • Codex유기식품규격의 허용 천연광물자재인 맥반석, 옥, 황토 등을 퇴비에 혼합 첨가하여 제조한 퇴비가 배추생육과 품질에 어떠한 기능성을 가지는가를 검토하고자 Lysimeter에서 재배한 배추의 생육과 수량을 조사하였으며 배추의 당도, 비티민 C 함량 및 질산염 함량 등을 분석하였다. 1. 생체중, 구고, 구폭, 엽신 및 중륵의 무게가 일반 퇴비구에 비해 맥반석, 옥, 황 등을 단독 또는 혼합 처리한 퇴비시용구에서 많았다. 배추 엽수와 엽폭의 증가폭은 그리 크지 않았으나, 엽장은 크게 나타났으며, 맥반석을 혼합하여 처리한 시용구에서 가장 높았다. 2. 당도는 맥반석, 옥, 황토를 혼합 처리한 퇴비시용구에서 퇴비시용구보다 낮았다. 엽신의 비티민 C 함량이 중륵에 비해 훨씬 높았으며, 무비구 578ppm에 비해 기능성퇴비 시용구에서 648~706ppm으로 높아졌고 옥을 혼합하여 처리한 기능성 퇴비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3. 질산염 함량은 황토를 혼합 처리한 퇴비시용구에서 엽신 2,021ppm, 중륵 2,235ppm으로 가장 낮아, 황토가 배추의 질산염 집적량을 낮추는데 가장 효과적임을 보여 주었다. 4. 맥반석, 옥, 황토를 단독 혼합하여 제조한 퇴비시용구에 비해 맥반석+옥+황토를 혼합 처리한 퇴비시용구에서 당도, 비티민 C 함량 및 질산염 함량 등은 각각 평균치 수준을 나타냈다. 5. 결론적으로 맥반석, 옥, 황토 등은 배추의 수량증가를 위해 퇴비제조시에 혼합 첨가할 수 있는 기능성 첨가물질로 그 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

우리나라 재래벼의 작물학적 특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drace in Rice)

  • 강희경;안대환;박용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75-90
    • /
    • 2003
  • 우리나라의 재래벼 192품종을 공시하여 다양한 작물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양적 형질간의 상근관계를 검토하여 유기농업 및 친환경농업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고 추후 이를 품종육성의 소재로 활용하고자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래벼는 파종에서 출수까지 평균 111.1일이 소요되어 중생종에 속하는 품종이 많았고 초장과 간장은 일반 재배 품종에 비하여 대부분 20∼40cm 정도 컸다. 2. 엽폭과 이삭의 평균 길이는 각각 1.3cm, 22.4cm이었고 주당 이삭수는 평균 10개로 소얼성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현미의 장폭비는 평균 1.7이었고 장립종도 일부 존재하였으며 천립중은 평균 21.6g이었다. 3. 재래벼의 양적 형질간 상관관졔는 간장과 수장, 엽폭, 출수기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출수기와 천립중 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이 존재하였다. 4. 간강도는 27.1%가 약한 특성을 나타내었고 엽신과 엽초의 색은 3.6%가 자주줄무늬를 나타냈으며 엽각와 지엽각도는 직립형이 각각 46.9%, 10.9%이었고 엽노화도는 지연형이 24.0%이었다. 5. 재래벼의 74.5%가 까락이 있었고 찰벼는 20.3%, 갈색종피는 4.2%가 존재하였으며, 주두색, 영색, 부선색 및 망색은 백색, 갈색, 적색 및 자색 등 다양한 색이 존재하였다.

  • PDF

향유속(꿀풀과)의 신종: 변산향유(Elsholtzia byeonsanensis M. Kim) (A New species of Elsholtzia (Lamiaceae): E. byeonsanensis M. Kim)

  • 최창학;한경숙;이정심;소순구;황용;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7-201
    • /
    • 2012
  • 전북 변산에서 향유속의 신종인 변산향유(Elsholtzia byeonsanensis M. Kim)를 새로이 발견하여 기재 하였다. 분자생물학적인 결과는 변산향유가 근연종들과 구별되는 신종임을 지지해 주었다. 변산향유는 꽃이 한쪽 방향으로 밀생하는 수상화서이며 난형인 잎과 화관길이가 길어 꽃향유와 유사하다. 그러나 변산향유는 식물체는 작고 줄기는 자주색이며 잎은 혁질이고 윤기가 나며 엽병과 엽신 표면 및 화서의 포 표면에 털이 없고 바닷가 바위틈에 자라는 반면에, 꽃향유는 식물체는 크고 줄기는 녹색이며 잎은 초질이고 윤기가 없으며 엽병과 엽신 표면 및 화서의 포 표면에 털이 있고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점에서 두 종이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

김치 모재료 채소의 질산염 함량 분포와 배추 염장처리 및 김치 조리방법에 따른 질산염 함량 변화 (Distribution of Nitrate Content in Vegetables for Kimchi Raw Material and Changes of Nitrate Content by Salting of Chinese Cabbage and by Cooking Process of Kimchi)

  • 손상목;이윤건;김영호;박양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3-75
    • /
    • 1997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devices to minimize the amount of nitrate ingested from kimchi, the main way of vegetable intake for Koreans, and the basic data to deliver to calculate the total daily intake for Korean, investigating the year-round changes of nitrate content in vegetables for Kimche raw material, and changes of nitrate content by salting of chinese cabbage, and stewed kimchi through the use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 over between 205-6655mg/kg f.w. in chinese cabbage, 480-3970mg/kg f.w. in chinese radish, 157-5820mg/kg f.w. in lettuce and 29-520mg/kg f.w. in cucumber respectively. Therefore it was strongly adviced to introduce the nitrate limit value of vegetables in Korea if the nitrate content in Kimchi should be reduced to meet the nitrate ADI(Acceptable Daily Intake, 219mg60kg b.w) of FAO.WHO, because the nitrate content in Kimchi reflects the nitrate content in vegetables. In order to keep the low nitrate content in Kimchi. it was adviced to remove the outer leaf which contains 2-3 times higher nitrate content compare to the inner leaf at the time of preparation, i.e. chinese cabbage, before the soaking treatment in salt solution for Kimchi making process. The dehydration by soaking treatment in salt solution occurred at 0.9%~4.7% in leaf midrib and more than 13%~24% in leaf blade. The nitrate content after soaking in salt solution was increased 107%~123% compared with before soaking, increasing rates of nitrate content in the outer and inner leaf midrib were higher than those in leaf blade. The increase of nitrate content in salt solution after soaking due to the dehydration of chinese cabbage by soaking treatment. The Kimchi stew(Kimchi JJige) was processed with and without animal oil, but the amount of nitrate in kimchi stew did not decrease both treatments, but it increased after the processing since the water in Kimchi stew has got low by boiling.

  • PDF

전남지역에 있어서 수수 - 수단그라스 잡종의 사초생산성 및 사료성분 비교 (Comparison of Sorghum-Sudangrass Hybrids for Feeding Value and Forage Production in Chonnam Rerion)

  • 전우복;최기춘;김광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7-72
    • /
    • 1995
  • To select the highest yield soiling type forage, the yield performance of selected sorghum-sudangrass hybrids imported in 1992 have been evaluated at Chonnam region. The soiling type hybrid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TE-haygrazer, FP-5 Sudan, Sweet sioux V, and X -78050. Three different cuttings were done on July 6, August 6 and September 16 in 1992. This trial was arranged 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under taken over a period 5 months from May to September in 1992.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ybrids teste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plant height, leaf blade length, leaf blade width and stem diameter. In the first cutting, dry matter yield of FP-5 Sudan was the highest. In the second and third cutting, dry matter yield of Sweet sioux V was the highest among hybrids.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hemicellulose, relative feeding value(RFV), and amino acid were the highest by the first cutting, but NDF and ADF were shown the lowest.

  • PDF

Effects of Auxins end Cytokinins on Callus Induction from Leaf Blade, Petiole, and Stem Segments of in Vitro-grown 'Sheridan' Grape Shoots

  • Seung-Heui kim;Kim, Seon-Kyu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17-21
    • /
    • 2002
  • To establish an the mass production system of grape anthocyanin pigments through callus and cell suspension culture, the effects of various combinations of auxins and cytokinins on friable callus production were studied. for friable callus production, 2,4-D was superior to other regulators. IAA at 2 mg/L induced callus from stem and petiole while NAA resulted in rooting. Callus induction rate increased with the 2,4-D level, and stem segments were superior to leaf blade or petiole, showing nearly 100% with 1 and 2 mg/L 2,4-D from petiole and stem. Combined treatments of 2,4-D + kinetin and NAA + BA also yielded friable callus from stem segments. In treatments with 1 mg/L 2,4-D + 1 mg/L kinetin and 1 mg/L NAA + 1 mg/L BA, callus induction rate was nearly 100%. The combination effect of 2,4-D and BA on anthocyanin production was not significant.

느티나무 18개 집단의 엽 형질 변이 (Variation of leaf morphology among 18 populations of Zelkova serrata Mak.)

  • 김인식;권해연;유근옥;최형순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0-49
    • /
    • 2010
  • 느티나무를 용재자원으로 육성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전국 18개 집단에 대한 엽 형질 변이를 조사하였다. 엽신장, 엽폭 등 14개 엽 형질을 조사한 결과, 모든 측정형질에서 집단 간 및 집단 내 개체 간에 고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최대 엽폭까지의 길이(x3)와 최대 엽폭까지의 길이/엽신장(x10)은 집단 내 개체 간 보다 집단 간의 변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별로 보면 측정형질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으로 구례, 정읍, 경주 집단의 변이가 컸으며 영월, 청송, 영천 집단은 변이가 작은 편이었다. 엽 형질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엽 크기 관련 형질들 간에는 상관이 높았으나 엽형지수간에는 상관이 낮았다. 환경요인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최대 엽폭까지의 길이(x3)와 최대 엽폭까지의 길이/엽신장(x10)는 위도, 해발고와 유의한 정의 상관을 나타냈는데 이는 집단별 연평균 기온의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연평균 강수량은 엽신장(x1), 엽폭(x2), 엽두에서 첫 번째 거치까지의 길이(x5) 및 엽면적(x8)과 낮은 부의 상관을 나타냈는데 조사대상 집단들이 대부분 계곡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강수량이 많을 경우 잎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주성분 분석을 통해 고유값 1.0이상으로 의미를 갖는 4개 주성분을 도출하였는데 전체 분산에 대한 설명력은 88.5%였다. 제1주성분은 엽면적(x8), 제2주성분은 최대 엽폭까지의 길이(x3), 제3주성분은 거치수(x6), 제4 주성분은 엽병장(x4)의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유집분석 결과, 느티나무 집단은 크게 두 개의 분지군으로 나뉘었는데 이는 분지군 간의 연평균기온의 차이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동일 분지군 내 집단들의 유집 결과에서는 지리적 거리 또는 환경구배에 따른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