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blade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33초

사탕무우의 붕소결핍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oron Deficiency in Sugar Beet)

  • Im, Hyong Bin;Ung Kyu Lim;Kyong Sik Tscho
    • 환경위생공학
    • /
    • 제5권1호
    • /
    • pp.1.2-6
    • /
    • 1990
  • 사탕무우 품종 Mirabo를 공시하여 수경과 포양실험을 통하여 나타는 B결핍증 식물체의 해부학적 및 전현적 관찰을 하였다. B결핍증에 걸린 사탕무우에 있어서는 수경또는 포양에서 다 같이 B함량이 매우 적었다. B결핍증의 증상진행은 우선 엽병의 표면쪽 기부에 흑갈색 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그 후 유엽록과 생장점 근처가 검게 괴사하였고, 엽신이 심하게 오그라졌으며, 생장이 거의 정지되었다. 나중에는 표면쪽 엽병 기부의 표피와 그 밑의 유조직이 괴사하였다. 그리고 유엽록 조직의 괴사와 붕괴는 점차 확대되어 갔다. B결핍증을 나타낸 사탕무우의 전현적 관찰에서는 그와 같은 식물의 엽록체는 붕괴하기 시작하였으며 다량의 전분과 Osmophilic granules가 보였다. 그리고 특히 어떤 엽록체 안에는 격자를 가진 다면체의 결정체가 발견되었다.

  • PDF

강릉시 초당동 고분 출토 금속유물 보존 (Conservation of metal artifacts excavated from tumulus in Chodang-dong, Kangreung City)

  • 유재은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1호
    • /
    • pp.77-99
    • /
    • 2000
  • Tumuli located in Chodang-dong in Kangreung City are sitesexcavated by the Museum of Kangreung University in 1993.Ofthese sites, a gilt bronze crown and gilt bronze sword with ring pommel with a tri-leaf ornament were excavated from the B-16tumulus. Underneath the gilt bronze crown was the gilt bronzes word with ring pommel with tri-leaf ornament, and these artifacts were treated with Polyurethane foams on the spot followed by special measures for conservation. This manuscript describes measures for conservation andanalysis with regard to the gilt bronze crown, gilt bronze sword with ring pommel with tri-leaf ornament and gilt bronze beltornaments. Bronze on the gilt bronze crown was completely corroded, therefore it was consolidated together with soil in the back of the artifact with Paraloid B72 after cleaning. Polyurethanefoams bottom was finished by applying the mixture of Epoxy resinAW106 and HV935K with soil. On the sword with ring pommel, the wooden part of the hilt was coated with Paraloid B72 (in Xylene) and the blade was consolidated with Paraloid NAD-10 30% after desalting with Sodium sesquicarbonate method. The gilt bronzebelt ornaments were treated with 3% Benzotriazole, coated with Paraloid B72 and then joined by using Cyanlacrylate. Specimens for the gilt bronze crown and gilt bronze belt ornaments were produced and gilding layers were examined under a metallographic microscope. The gilt bronze crown and the gilt bronze belt ornament maintained relatively good gilding quality with uniform gilding layers. Analysis of wood for the sheath of the sword with ring pommel revealed it to be Juglans mandshurica. Further more, analysis of constituents for a blue colored grassbead from dissolution of Polyurethane foams found it to be from the $Na_2O$-CaO-$AI_2O_3$-$SiO_2$ family.

  • PDF

한국잔디 신품종 '밀록' 개발 (Development of New Cultivar 'Millock' in Zoysiagrass)

  • 최준수;양근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0
    • /
    • 2006
  • 본 실험은 한국잔디 신품종 '밀록'(특허출원: 10-2005-0110051)의 개발에 관한 것으로, 국내외에서 수집한 한국잔디류중 우수계통 MJ8를 선발 한 후, 인공자식을 통하여 변이를 확대하였으며, 이들 중에서 품질이 우수한 계통(MJ8S-9)을 선발한 것이다. 신품종 '밀록'은 밀도가 기존의 한국잔디류와 비교해 가장 높았고, 또한 녹색도가 높아 우수한 잔디 품질을 보이며, 녹병에 대한 저항성이 높았다. 형태적 특성으로 엽폭은 4.2rnm로 중엽형이며, 잎 각도는 52.5도로 넓어 광합성 효율이 높다. 지면으로부터 최하위 엽의 잎몸 기부까지의 길이가 1.9cm로 짧아 낮게 깎을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밀록'은 지상 포복경의 색이 황록색이며, RAPD 분석에서 특이밴드를 갖고 있어 다른 잔디류와 식별성이 높은 영양 번식형 신품종이다.

담배(N. tabacum)와 N. glutinosa 종간 원형질체 융합식물의 생성 (Somatic Hybrids by Electro-Protoplast Fusion between N. tabacum and N. glutinosa)

  • 김준철;최성진
    • KSBB Journal
    • /
    • 제5권2호
    • /
    • pp.175-182
    • /
    • 1990
  • N. tabacum $NR^-/SR^+$과 N. glutinosa의 엽육세포로부터 원형질체를 분리하여 전기적으로 융합 및 배양하였으며 AAPI 9M 배지에서 이 원형질체의 plating effici-ency는 30~35%였다. 분열 중인 소형 세포괴는 1.2mg / ml의 streptomycin이 포함된 $MSNO_3$배지에 치상하여 계속 분열을 유지하는 녹색 칼루스 계통을 선발하였다. 이 녹색 칼루스 계통에서 유래된 4계통의 식물들은 꽃의 형태, 화관의 길이와 염신의 모양에서 양쪽 모식물체의 중간형을 보였고, 엽조직의 peroxidase와 esterase의 isozyme분석에서도 양쪽 모식물체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함께 나타냈으며 또한 결실되거나 새로운 isozyme band도 보였다. 이 융합체 추정계통들의 염색체 분석에서 L22계통에서 2n=66, L44계통에서 2n=54개가 조사되어 N.tabacum(2n=48)과 N.glutinosa(2n=24)의 융합체는 염색체의 부분적 감소현상을 보였다.

  • PDF

한국잔디 신품종 '세녹(Senock)' 개발 (Development of New Hybrid Cultivar 'Senock' in Zoysiagrass)

  • 최준수;양근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01-209
    • /
    • 2004
  • 본 실험은 한국잔디 신품종 '세녹'(특허출원:10-2003-0072018) 개발에 관한 것으로, 한국에서 수집한 유전자원 중 갯잔디와 금잔디계통을 인공교배 방법을 이용해 F1계통을 얻었다. F1 계통을 포장상태에서 방임수분을 통해 변이확대를 하였으며, 이들 방임수분 후대에서 선발한 것으로 유전적으로 잔디의 녹색도가 진하며, 낮게 자라는 특성이 있고 품질이 우수하며 잎의 강직성이 높다 엽폭이 3.1mm로 중엽형이며, 초장이 14cm로 낮고, 잎각도가 67.3도로 넓으며, 지면으로부터 최하위 엽의 잎몸 기부까지의 길이가 2cm로 낮은 형태적 특성을 갖고 있어 낮은 잔디 깎기에 적응할 수 있는 영양번식형 잔디이다. 또한 RAPD 밴드 특성에서 한국잔디 신품종 세녹(Senock)이 특이 밴드를 갖어 식별성이 있다.

담수표면산파와 기계이앙재배 벼의 생육 및 건물 생산 (Growth and Dry Matter Production of Direct Seeding on Flooded Paddy Surface and Machine Transplanting Rice)

  • 송영주;송은주;나종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59-465
    • /
    • 1997
  • 담수표면산파 벼의 생육시기별 경수변화, 건물 생산 특성 그리고 질소시비량에 따른 수량 및 건물생산 정도를 기계이앙재배 벼와 비교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담수표면산파 벼는 기계이앙재배 벼에 비하여 생육 중기까지 경수 증가속도가 빠른 반면, 생육중기 이후 분얼수 감소시기 및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고 컸으며 단위 면적당 수수는 초기 분얼수가 많았던 담수표면산파 벼에서 많았다. 2. 엽면적지수는 담수표면산파 벼에서 수수분화기까지 높았으나, 그 이후부터는 기계이앙재배 벼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엽신 질소함량은 파종 후 40일까지는 담수표면산파 벼가 많았으나 그 후부터는 점차 적어지는 경향이었으며, 군락광합성 및 생육시기별 건물생산속도 역시 파종 후 50∼60일을 기점으로 기계이앙재배 벼에 비해 담수표면산파 벼에서 점차 적어졌고 이런 경향은 출수기 이후에도 계속 유지되었다. 4. 질소시비량 증가에 따라 기계이앙재배 벼 및 담수표면산파 벼 모두 수확기 총 건물중, 출수기 엽면적지수 및 군락광합성량 모두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총 건물중은 담수표면산파 벼에서 많았으며 엽면적지수 및 군락광합성은 기계이앙재배 벼에서 많았다. 또한 단위 엽면적당 질소함량은 두 재배법 모두 시비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기계이앙재배 벼에서 많았다.

  • PDF

벼에 대한 Ethylene의 생리작용에 관한 연구 IV. 벼 유묘와 엽의 Ethylene 생성량에 미치는 Methionine 및 1-Aminocyelopropane-1-Carboxylic Acid의 영향 (Studies on Physiological Action of Ethylene in Rice Plant IV. Effect of Methionine and ACC on Ethylene Evolution Seedling and Leaf Blade of Rice)

  • 이문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4-189
    • /
    • 1985
  • 질소수준이 높아짐에 따라서 벼 엽신에서 에칠렌 생성량이 감소하는 원인에 대하여 에칠렌생합성계에 존재하는 전구물질 메치오닌 및 직접전구물질 ACC등을 벼에 처리하여 에칠렌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유묘 및 엽에 메치오닌을 처리하면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에칠렌생성량은 증가하였다. 2. 직접전구물질인 ACC를 엽신에 처리하면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에칠렌생성량은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3. 질소수준이 다를 벼의 유묘 및 엽신에 메치오닌 및 ACC를 처리하면 에칠렌생성량은 증가하나 질소수준이 높아질수록 에칠렌생성량은 현저히 억제 되어진다.

  • PDF

김치생산용 알타리무 전처리가공시스템 개발(III) - 삭피장치의 개발 - (Development of the Altari Radish Pre-processing System for Kimchi Production(III) - Development of the Peeling Device -)

  • 민영봉;김성태;정태상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0권3호
    • /
    • pp.166-171
    • /
    • 2005
  • A prototype peeling device with rotating cutter blades was designed to peel altari radish skin. With the designed blades, the maximum peeling depth increased as the cutter clearance increased but the effect of the peeling speed was not significant.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eeling was; the peeling speed was at 0.19m/s when peeled 2.5 blades/sec and the maximum peeling depth was 1.5mm, the minimum peeling depth was 0.5mm, and the leaf rotating speed was 12 rpm, respectively. In the peeling test fur the optimum operation conditions, with a auxiliary rolling device could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ot uniformly, the altari radishes under 70mm diameter were peeled perfectly.

벼의 관수시 Peroxidase 활성도 및 Banding Pattern의 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s of Peroxidase Activites and Banding Pattern of Rice Plants under Flooding)

  • 강양순;남민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70-273
    • /
    • 1989
  • 벼 품종의 관수저항성 관련 특성을 검토코자 24일묘를 3일간 관수처리하여 뿌리와 엽신의 POD 비활성도 및 POD 동위효소들을 PAGIF법으로 전기영동하여 본 결과 관수저항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일본형품종들은 통일형이나 인도형품종들보다 POD 비활성도가 높았으며 또한 관수처리로 일본형품종들의 엽신부에서는 무관수시 어느 부위에서도 나타나지 않았던 POD 동위효소의 특이 band가 등전점 9부근에서 출현하였다.

  • PDF

수도호마엽고병이병(水稻胡麻葉枯病罹病)과 수도건전엽중(水稻健全葉中)의 무기성분(無機成分)에 관(關)하여

  • 박영대;김영섭;김무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권
    • /
    • pp.49-51
    • /
    • 1964
  • Results obtained from Leaves and soils may be summarized as follow; It was found that the rice plant which grown under the deficiency of silica, manganese and magnesium become very susceptible to Helminthosporium leaf spot, as compared with that grown under normal condition. While no close correlation was found in nitrogen, phosporus and potassium between the health and disease. On the other hand, reducible manganese content of normal paddy soils is also 13.2 times as high as that of diseased paddy soils (Akioch soil) Considering from the results, it seems to have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resistance to Helminthosporium and unbalance of inorganic elements in rice bla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