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blade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3초

참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의 엽형변이(葉型變異) (Variation of Leaf Form of Leaf Variabilities of Natural Population of Quercus spp.)

  • 김지문;권기원;문흥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1권1호
    • /
    • pp.82-89
    • /
    • 1985
  • 수종간(樹種間), 집단간(集團間), 집단내개체간(集團內個體間)의 변이(變異)를 밝히기 위(爲)해 신갈나무 10개(個) 천연집단(天然集團)과 졸참나무 9개(個) 천연집단(天然集團)의 엽형질변이(葉形質變異)를 조사(調査)하였다. 엽신장(葉身長)/최대엽폭(最大葉幅), 엽신장(葉身長)/엽병장(葉柄長), 엽신장(葉身長)/엽맥수(葉脈數), 상(上)1/3엽폭(葉幅)/최대엽폭(最大葉幅), 상(上)1/3엽폭(葉幅)/하(下)1/3엽폭(葉幅)의 5개(個) 엽형지수(葉型指數)와 엽병장(葉柄長), 엽맥수(葉脈數)가 본(本) 연구(硏究)에 포함(包含)되었다. 졸참나무의 엽신장(葉身長)/엽병장(葉柄長)을 제외(除外)한 조사(調査)된 모든 엽형질변이(葉形質變異)는 집단간(集團間), 집단내개체간(集團內個體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를 보였다.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다같이 엽신장(葉身長)/최대엽폭(最大葉幅), 엽신장(葉身長)/엽병장(葉柄長), 엽신장(葉身長)/엽맥수(葉脈數)의 지수(指數)에서 남부집단(南部集團)과 북부집단간(北部集團間)에 다른 엽형(葉型)을 나타냈다. 그리고 북부집단(北部集團)의 엽형(葉型)은 신갈나무의 독특(獨特)한 특성(特性)들과 더 유사(類似)하고 남부집단(南部集團)은 졸참나무의 독특(獨特)한 특성(特性)을 더 많이 지니고 있었다. 집단내개체목간(集團內個體木間)에 변이(變異)는 엽신장(葉身長)/엽병장(葉柄長), 엽병장(葉柄長)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우리나라 중부(中部)에 하는 속(屬)하는 계룡산집단내(鷄龍山集團內)에서 더욱 현저(顯著)했다.

  • PDF

Effect of Variety on Proportion of Botanical Fractions and Nutritive Value of Different Napiergrass (Pennisetum purpureum) and Relationship between Botanical Fractions and Nutritive Value

  • Islam, M.R.;Saha, C.K.;Sarker, N.R.;Jalil, M.A.;Hasanuzzaman,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6호
    • /
    • pp.837-842
    • /
    • 2003
  • Five varieties of napiergrasses (Pennisetum purpureum) were fractionated botanically into leaf blade, leaf sheath, stem and head. Chemical composition of each of whole napiergrass and their botanical fractions were determined. Correlation, linear and multiple regressions between botanical fractions and nutritive value of varieties of napiergrass were also estimated. All botanical fractions differed due to the effect of variety. Napier Pusha contained the highest proportion of leaf blade and internode, but the lowest proportion of leaf sheath. Napier Hybrid contained the lowest proportion of leaf blade, but highest proportion of node. Consequently, napier Pusha contained the highest (p<0.01) crude protein (CP, 9.0%), but Napier Hybrid had the lowest CP (7.0%). Chemical composition of whole plant differed significantly (p<0.01; except NFE, p>0.05) due to the variety. Not only the whole plant, chemical composition of most botanical fractions of whole plant differed (p<0.05 to 0.01) due to the variety. The intrarelationships between leaf blade and leaf sheath was negative (r=-0.43). Leaf sheath was also negatively correlated to CP, but positively correlated to ash of whole Napier or their botanical fractions. Leaf blade, on the other hand, increases CP but decreases ash content of whole plant or their fractions. These results, therefore, suggest that napiergrass varieties differ widely in terms of botanical fractions and nutritive value, which ma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on intake and productivity of animals. Furthermore, napiergrass varieties should be selected for leaf blade only for a better response.

벼의 Source와 Sink 관련형질의 생리생태적 반응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Response of Agronomic Characters Related to Source and Sink in Rice)

  • 최수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39-245
    • /
    • 1989
  • 벼의 Source와 Sink 관련형질의 동일주내 개체간 변이 및 상호관련성을 알기 위하여 조만성이 다른 6개벼 품종의 지상부 생육제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동일건재에서 개체간 제형질의 편이 및 변이는 절간장은 하위절간, 엽신은 지엽, 엽 폭은 하위엽신에서 컸고, 수에 있어서는 2차지경과 2차지경 착생영화수에서 컸다. 2. 식물체 부위별 Source와 Sink 관련기관과 영화착색수와의 관계는 영화수는 제2엽신장 및 엽면적, 제2절간장, 제3정간태에 영향을 주는 고도의 유의적인 정상관관계이었다. 3. 절위별 절간장 및 엽위별 엽신장과 수장과의 상관관계도 제2엽신장 및 2정간장에 수장이 영향을 받는 정도가 컸다. 4. 1, 2차지경수와 영화수와의 관계는 1차지경보다는 2차지경수가 많을수록 영화수도 증가하는 상관관계이었다. 5. 식물체의 무기성분조성은 엽신, 엽초, 간, 수의 순위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 PDF

수확 후 저장 조리조건에 따른 배추 가식분위내 $NO_3^-$함량변화 (Changes of Nitrate Contents in Edible Parts of Chinese Cabbage by Conditions of Cooking and Post-Harvest Storage)

  • 손상목;윤덕훈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01-110
    • /
    • 1996
  • Inorder to minimize the daily intake amount of nitrate by chinese cabbage, the favorate vegetable for Korean, the influences of storage conditions at different temperature and light or dark treatments after post-harvest and effects of cooking temperature and infrared rays on changes of nitrate contents in edible parts of chinese cabbage were determined. The nitrate contents on midrib and leaf blade in chinese cabbage during post-harvest were decreased steeply in 2 days and decreased slowly again in 5 days. The temperature treatment to decrease the nitrate contents in midrib and leaf blade of chinese cabbage were effective as the following of $25^{\circ}C$> $15^{\circ}C$ > $-4^{\circ}C$ > $-10^{\circ}C$. The nitrate contents of midrib and leaf blade were decreased in the timecourse of post-harvest. It is more effective to store in $4^{\circ}C$ than in $15^{\circ}C$, and is more effective in transparent vinyl package than in black vinyl package, but the treatment of light is more effective than the treatment of temperature. The nitrate contents of midrib decreased rapidly by 17.9% in the treatment of 5 days at$ 15^{\circ}C$. By treatment of $80^{\circ}C$, $90^{\circ}C$, $100^{\circ}C$ water, the nitrate contents of midrib were increased slightly, but decreased in leaf blade. It reached 68.5%, 50.6%, 45.9% in the leaf blade respectively by treatment of 80%, 90%, 100% water at 1 min. By infrared rays treatment, the nitrate contents of midrib did not change in 3 min but increased rapidly after 6 min, and in the leaf blade it increased continually after 1 min.

  • PDF

특징기반 영상 워핑을 활용한 다양한 디지털 잎 모델링 (Modeling of Various Digital Leaves Using Feature-based Image Warping)

  • 김진모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35-24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잎을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하여 특징기반 워핑을 활용한 잎 모델링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다수의 다양한 잎의 형상을 쉽고 직관적으로 제어하고 이를 통해 자연스러운 잎맥 패턴을 효과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영상처리 응용 기술 중 하나인 워핑 방법을 활용한다. 먼저 잎몸 영상으로부터 잎몸의 형상을 판단할 수 있는 근사화된 컨투어 정보를 찾고, 이를 기반으로 특징기반 워핑에 사용되는 제어선을 자동으로 계산한다. 다음으로 제어선기반 워핑을 통해 잎몸 영상을 직관적으로 변형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갖는 잎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변형된 잎몸 영상의 컨투어 정보들로부터 컨투어기반 잎맥 성장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자연스러운 잎맥 패턴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잎몸에 해당하는 샘플 이진영상 한 장을 사용하여 식물을 구성하는 다양한 형상의 잎을 효율적으로 생성 가능한지 여부를 실험을 통해 입증한다. 또한 워핑을 잎몸의 성장에 적용하여 잎의 자연스러운 성장을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Effect of Carbenicillin on Callus Induction and Regeneration Efficiency of Tissues of Horseradish(Armoracia rusticana)

  • Bae, Chang-Hyu
    • Plant Resources
    • /
    • 제4권1호
    • /
    • pp.53-58
    • /
    • 2001
  • The effect of carbenicillin on the dedifferentiation and the regeneration efficiency of plant tissues of horseradish(Armoracia rusticana) was evaluated, Inhibition effect for callus initiation was observed when leaf blade, root and petiole segments were grown on MS medium containing 500 mg/L to 2000 mg/L carbenicillin and 0.5 mg/L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The regeneration of horseradish shoots from leaf blade, root and petiole explants were decreased as the addition of carbenicillin increased from 1000 mg/L to 2000 mg/L in MS medium containing 0.5 mg/L of 6-benzylaminopurine (BAP) or kinetin. Especially, 500 mg/L carbenicillin treatment significantly inhibited shoot induction when leaf blade explants were grown on hormone-free MS medium. It was suggested that the toxic effects of combinations of carbenicillin and 2,4-D may be due to high auxin activity levels.

  • PDF

가상 조경 생성을위한 디지털 잎 저작도구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Leaf Authoring Tool for Virtual Landscape Production)

  • 김진모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10
    • /
    • 2015
  • 본 연구는 가상 조경을 구성하는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잎을 쉽고 직관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저작도구 개발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저작도구의 핵심 시스템은 영상 워핑기반의 잎몸 윤곽선 변형 방법, 잎맥의 절차적 모델링 그리고 잎의 색과 명암 등을 표현하기 위한 수리모델기반 시각화 방법으로 구성된다. 우선 잎 영상을 입력으로 받아 잎몸에 대한 윤곽선 정보를 찾고, 특징기반 영상 워핑을 활용하여 다양한 잎몸 형상을 직관적인 구조에서 쉽게 생성할 수 있는 잎몸 변형 방법을 설계한다. 그리고 계산된 잎몸 윤곽선을 기반으로 잎몸 형상에 적합한 자연스러운 잎맥 패턴을 생성하는 일반화된 절차적 모델링 방법을 저작도구에 맞게 구현한다. 마지막으로 약수 함수의 합성 기반의 수리모델을 활용하여 잎의 색, 명암 그리고 시간에 따른 변화를 표현할 수 있는 시각화 기능을 적용한다. 제안한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잎이 다양한 3차원 디지털 콘텐츠 분야에 활용 가능하도록 텍스쳐 지원 기능을 제공한다.

굴참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의 엽형(葉型) 변이(變異) (The Variation of Leaf Form of Natural Populations of Quercus variabilis in Korea)

  • 송정호;박문한;문흥규;한상억;이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666-676
    • /
    • 2000
  • 굴참나무 천연집단의 형태적 변이(엽형 특성)를 연구하기 위하여 위도, 경도, 해발고 및 지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19개 집단을 선발하였다. 각 집단별로 30개체를 대상으로 개체목당 수관 1/3 하단부에서 60개의 엽을 고르게 채집하여 엽신장, 최대엽폭, 엽맥수 및 엽병장을 조사한 후 그 값을 이용하여 엽신장/최대엽폭, 엽신장/엽병장, 상1/3폭/최대엽폭, 상1/3폭/하1/3폭 및 엽병장/엽맥수에 대한 형상비를 계산하여 엽형 특성에 대한 변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엽신장/최대엽폭, 엽신장/엽병장, 엽병장/엽맥수, 상1/3폭/최대엽목, 상1/3폭/하1/3폭, 엽병장 및 엽맥수에 대한 변이는 집단간 및 집단내의 개체간에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특히, 분산기여도는 집단간보다 집단내의 개체간에 큰 것으로 나타나, 굴참나무의 연구는 집단보다 개체에 의한 연구가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진다. 2. 엽형특성에 대한 주성분 분석은 첫 두 주성분까지의 적재 가여율이 80.5%로 굴참나무 엽형특성 분류에 중요한 정보를 주는 요인이었다. 각 인자별 기여도에 있어서는 제1주성분에서 엽병장/엽맥수 및 엽병장, 제2주성분에서 상1/3폭/최대엽폭, 상1/3폭/하1/3폭 및 엽맥수 인자가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 3. 위도, 경도 및 해발고에 따른 엽형특성에 대한 지리적 변이는 위도에 있어 엽신장/최대엽폭 및 엽신장/엽병장에 대해서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특성(엽병장/엽맥수, 상1/3폭/최대엽목, 상1/3폭/하1/3폭, 엽병장 및 엽맥수)들에 대해서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경도와 해발고는 위도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4. 군집분석(Complete linkage cluster)한 결과는 거리지수 1.6에서 2개의 그룹 즉, I그룹(Pop. 1, 4, 5 및 13)과 II그룹(Pop. 2, 3, 6, 7, 8, 9, 10, 11, 12, 14, 15, 16, 17, 18 및 19)으로 나뉘었으며, 거리지수 1.3에서는 II그룹이 다시 Pop. 3, 7, 10, 14, 15 및 17의 군집(II-1)과 Pop. 2, 6, 8, 9, 11, 12, 16, 18, 19의 군집(II-2)으로 나뒤어 총 3그룹으로 분리되었다. 대체적으로 이것은 사면의 방향에 대하여 I그룹은 북동면에, II-1그룹은 남동면에, 그리고 II-2그룹은 남서면에 집단이 위치하고 있어 환경조건이나 입지조건의 차이에 의하여 일어난 자연도태의 결과로 집단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ssessment of the Nutritive Value of Whole Corn Stover and Its Morphological Fractions

  • Li, H.Y.;Xu, L.;Liu, W.J.;Fang, M.Q.;Wang, 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2호
    • /
    • pp.194-200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ruminal degradability of corn stover in three maize-planting regions in Qiqihaer, Heilongjiang Province, China. The whole stover was separated into seven morphological fractions, i.e., leaf blade, leaf sheath, stem rind, stem pith, stem node, ear husk, and corn tassel. The assessment of nutritive value of corn stover and its fractions was performed based on laboratory assays of the morphological proportions, chemical composition, and in situ degradability of dry matter (DM),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rn stov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lant top to bottom (p<0.05). Among the whole corn stover and seven morphological fractions, leaf blade had the highest crude protein (CP) content and the lowest NDF and ADF contents (p<0.05), whereas stem rind had the lowest CP content and the highest ADF and acid detergent lignin (ADL) contents (p<0.05). Ear husk had significantly higher NDF content and relatively lower ADL content than other corn stover fractions. Overall, the effective degradability of DM, NDF, and ADF in rumen was the highest in leaf blade and stem pith, followed by ear husk. The results indicate that leaf blade, ear husk, and stem pith potentially have higher nutritive values than the other fractions of corn stover. This study provides reference data for high-efficiency use of corn stover in feeding ruminants.

염류처리에 따른 벼의 개엽광합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eaf Photosynthesis of Salt-Stressed Rice Cultivars)

  • 조동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7-101
    • /
    • 1994
  • The effects of NaCl salinity on the leaf photosynthesis and water relation of two cultivars of rice(Oryza sativa L.) , the salt-tolerant cultivar Seohae and the salt-senstive cultivar Iri-380 were exam-ined. Two cultivars of rice were grown for 14 days in nutrient solution at SOmM NaCl. Comparing theieaf Na content of two cultlvars, Seohae showed high accumulation of Na content in the leaf blade, while Iri-380 showed low. The Na content in leaf blade reduced the rate of leaf photosynthesis. Salt-tolerant cultivar Seohae was less decreased the rate of leaf photosynthesis than salt- sensitive cultivarIri-380. And Seohae showed larger decreased the osmotic potential in the leaves than Iri-380. This in-dicates that in the salt-tolerant cultivar, osmotic adjustment is developed under saliniE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