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area index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29초

습윤 지역의 기후-토양-식생-지하수위 상호작용을 반영한 개념적인 생태 수문 모형 (Conceptual eco-hydrological model reflecting the interaction of climate-soil-vegetation-groundwater table in humid regions)

  • 최정현;김상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9호
    • /
    • pp.681-692
    • /
    • 2021
  • 식생 프로세스는 증발산 제어를 통해 강우 유출 프로세스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만, 개념적인 집중형 수문 모형에서는 거의 고려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인공위성에서 원격으로 감지된 엽면적지수 자료를 표현하는 생태 모듈을 수문 분할 모듈에 통합하여 합천댐 유역에 대한 모형 성능을 평가하였다. 제안된 생태 수문 모형은 습윤 지역의 생태수문 프로세스를 더 잘 표현하기 위하여 크게 세 가지 주요한 특징을 가진다. 1) 식생의 성장률은 유역의 물 부족 스트레스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2) 식생의 최대 성장은 유역 기후에 의한 에너지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3) 식생과 대수층의 상호작용이 반영된다. 제안된 모형은 유역 단위의 수문 성분과 식생 동역학을 동시에 모의한다. SCEM 알고리즘에 의해 추정된 모형 매개변수를 이용한 검증 결과로부터 아래와 같은 발견할 수 있었다. 1) 엽면적지수와 하천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생태수문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것이 생태 모듈이 없는 수문 모형과 비슷한 정확도 및 견고함으로 하천유량을 예측할 수 있다. 2) 필터링이 안된 원격으로 감지된 엽면적지수를 그대로 입력자료로 이용하는 것은 하천유량 예측에 도움이 안된다. 3) 통합된 생태수문모형은 엽면적지수의 계절적인 변동성에 대한 우수한 추정치를 제공할 수 있다.

Bulk 건조엽의 편평엽 발생양상과 이화학적 특성

  • 이철환;진점의;한철수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9-143
    • /
    • 1998
  • The occurrenc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lat leaves found in 1997 curing trial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occurrence of flat leaves at bulk curing of flue-cured tobacco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leaves. Cured leaves of NC82 were separated into 4 classes of none, slight, fair and severe symptoms of flat leaf by the percentage of flattened parts to whole leaf area. The flat leaves were mostly found among the leaves of lower stalk position, and it was estimated that growth rate of lower leaves also influenced on the occurrence of flat leaves. In chromatic aberration of cured leaf, flat leaves showed remarkably lower b and L values than in those of normal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a value. On the other hand, in chemical analyses of flat leaf samples, nicotine, total sugar, ether extract and total nitrogen contents were decreased with the degree of flat symptoms. In physical properties, filling capacity of cured leaves was decreased with the degree of flat symptoms comparing with those of normal leaves, while shatter index was showed a reverse tendency, and then within the same leaf, flat parts were decreased in total sugar, ether extract and filling capacity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ones, but remarkably increased in shatter index,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nicotine and total nitrogen contents.

  • PDF

Single-trait GWAS of Leaf Rolling Index with the Korean Rice Germplasm

  • ByeongYong Jeong;Muhyun Kim;Tae-Ho Ham;Seong-Gyu Jang;Ah-Rim Lee;Min young Song;Soon-Wook Kwon;Joohyun L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17
    • /
    • 2022
  • Leaves are an important organism for photosynthesis and transpiration. The shape of leaf is crucial factor affecting plant architecture. V-shape leaf rolling is enhancing canopy photosynthesis by increasing the CO2 penetration and the light capture by reducing the shadow between the leaves. Therefore, moderate leaf rolling is thought to more high grain yield per area than flat leaf. We investigated 278 KRICE_CORE accession's Adaxial Leaf Rolling Index (LRI) in first heading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For each accession, genomic DNA was used for sequencing. We sequenced the genomics with ~8 X coverage to detect SNPS. Raw reads were aligned against the rice reference (IRGSP 1.0) for SNP identification and genotype calling. To generate genotype data for GWAS, SNPs were filtered with minor allele frequency 0.05. Finally, 841,134 high-quality SNPs were used for our GWAS. The significant threshold was -log10(P)>7.23. From the results, 2 significance SNP were detected. Considering the LD block of 250kbp, 60 candidate gene were selected including Hypothetical gene and Conserved gene. In this poster, we analyzed candidate gene affecting adaxial Leaf Rolling through single-trait GWAS.

  • PDF

Single-trait GWAS of Leaf Rolling Index with the Korean Rice Germplasm

  • ByeongYong Jeong;Muhyun Kim;Tae-Ho Ham;Seong-Gyu Jang;Ah-Rim Lee;Min young Song;Soon-Wook Kwon;Joohyun L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3-243
    • /
    • 2022
  • Leaves are an important organism for photosynthesis and transpiration. The shape of leaf is crucial factor affecting plant architecture. V-shape leaf rolling is enhancing canopy photosynthesis by increasing the CO2 penetration and the light capture by reducing the shadow between the leaves. Therefore, moderate leaf rolling is thought to more high grain yield per area than flat leaf. We investigated 278 KRICE CORE accession's Adaxial Leaf Rolling Index (LRI) in first heading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For each accession, genomic DNA was used for sequencing. We sequenced the genomics with ~8 X coverage to detect SNPS. Raw reads were aligned against the rice reference (IRGSP 1.0) for SNP identification and genotype calling. To generate genotype data for GWAS, SNPs were filtered with minor allele frequency 0.05. Finally, 841,134 high-quality SNPs were used for our GWAS. The significant threshold was -log10(P) >7.23. From the results, 2 significance SNP were detected. Considering the LD block of 250kbp, 60 candidate gene were selected including Hypothetical gene and Conserved gene. In this poster, we analyzed candidate gene affecting adaxial Leaf Rolling through single-trait GWAS.

  • PDF

뽕나무의 생육특성과 엽질과의 관계 (Relation Between the Growth Habitat and the Leaf Quality of Cultivated Mulberry Plants)

  • 김준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7권3호
    • /
    • pp.118-126
    • /
    • 1974
  • Mulberry plants cultivated in mid-Korea were studied on the growth habitat, canopy type, productive structure and vertical light intensity in relation to the quality of mulberry leaves for sericulture. The growth in length of new branch of summer cut mulberry in spring was vigorous on the uppermost of old shoot. Numbers of leaves on a branch were barely 4 leaves on lower than 20th branch from base, but those were 13 leaves on higher than 24th branch. Area of leaves completely expanded was broad on high branch, but narrow on low one. The form of canopy, the type of productive structure and the vertical light distribution depend upon varieties of cultivated mulberry pla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 of each variety in two groups, respectively; globular and columnar form in canopy, broad leaves and narrow leaves types in productive structure, and seriously obstructured the light and fairly transmitted the light into lower leaf stratum invertical light distribution. Out of varieties of mulberry investigated, Suwon No. 4 and Rosang were belong to the former characters, but Illchiroe and Kaeryangsubun were to the latters. The values of leaf dry matter index and dry matter production produced by leaves were increased in direct proportion to the height of leaf stratum; the leaf dry matter index of the uppermost leaf was twice as much that of the lowest, and the dry matter production by the highest leaf was 17 times compared with that by the lowest leaf. It is assumed that the meagre leaves occurred in the lower leaf stratum of Suwon No. 4 and Rosang were caused to diminished the dry matter index and dry matter production in the under leaves of plant, which were affected by receiving the weak light.

  • PDF

ARPS 모형 지면 과정 모수화에 위성 자료의 응용 (The Application of Satellite Data to Land Surface Process Parameterization in ARPS Model)

  • 하경자;서애숙;정효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9-108
    • /
    • 1998
  • 국지 기상 모형의 지표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토양 구분, 식생 구분, 지표 거칠기 길이, 지표 알베도와 엽면지수가 지면 과정 모수화 내에서 처방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관측값으로부터 계절함수로 얻어진 경,위도 1도 및 1도의 엽면지수, 지표거칠기 길이, 눈이 없을 때의 지표 알베도와 상세 격자 NDVI를 지면 과정 모형에 적용하였다. 생물권과 대기권 사이, 지면과 대기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이러한 인공위성 자료를 사용한 것과 사용하지 않은 것을 비교함으로써, 열, 에너지 및 수증기 속들, 지면 기온, 바람, 식생 물함유량, 비습, 강수장의 민감도가 조사되었다.

광릉숲, 태화산, 가리왕산 활엽수림에서 낙엽에 의한 수종별 엽면적지수 추정 (Estimation of Specific Leaf Area Index Using Direct Method by Leaf Litter in Gwangneung, Mt. Taewha and Mt. Gariwang)

  • 권보람;전지현;김현석;이명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5
    • /
    • 2016
  • 광릉숲, 태화산 서울대 학술림, 가리왕산의 낙엽활엽수림에서 연간 낙엽 낙지 생산량과 가을철 낙엽에 의한 수종별 엽면적지수를 산출하고, 간접적인 방법의 것과 비교하였다. 연간 낙엽 낙지 생산량은 천이 단계 증가에 따른 임분의 바이오매스 축적량이나 수종구성 등에 따라 그 양과 비율이 다르게 나타났으며(Table 2), 특히 수종마다 낙엽의 양에 차이는 있지만 모든 임분에서 여름철 이후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여(Fig. 1), 가을철의 한시적인 낙엽 수집만으로도 최대 엽면적지수의 추정은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이러한 낙엽의 수집으로 낙엽의 양 뿐만 아니라 수종마다 SLA와 탈락시기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었고(Table 3), 간접방법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던 각 수종별 엽면적지수를 국내 최초로 산출 할 수 있었다(Fig. 2). 본 연구를 통하여 수종별 낙엽량과 엽면적지수는 각 수종의 흉고단면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간접방법에 의한 전체 엽면적지수를 흉고단면적의 비율을 곱하여 수종별 엽면적지수로 추정하는 것은 상당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Fig. 3). 또한 간접방법에 의한 엽면적지수는 잎의 양이 늘고 밀집도가 높아질수록 과소평가되는 오류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Fig. 4, 5), 직접방법에 의한 엽면적지수와의 평가는 필수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낙엽에 의한 직접적인 엽면적지수의 측정을 시도함으로써 다양한 수종이 공존하는 우리나라 온대 활엽수림에서 임분의 수종 구성과 밀도, 천이단계, 입지환경 등에 따른 낙엽량과 수종별 엽면적지수의 변화 양상을 정량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한국 서울 식생의 번성자로서 팥배나무의 형질 변화 양상 (Changes in Leaf and Reproductive Traits of Mountain Ash (Sorbus alnifolia) as Urban Flourisher in the Seoul Metropolitan, South Korea)

  • 정성희;조용찬;이창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44-658
    • /
    • 2021
  • 도시 생태계에서 우점 수종의 형질 특성은 분획화 및 고립된 식생, 그리고 생물상호작용 감소 등 환경 변화에 대한 종의 형질 적응과 생태계 기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우리는 한국의 서울 중심에서 남쪽 방향의 4개 산지에서 환경 요인 (지리, 기상 및 토양 속성)을 포함하여 모두 40개체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에서 측정한 4개 유형의 잎 형질 (Leaf area, Specific leaf area, Leaf dry mass content, Leaf shape index)과 7개 유형의 번식 형질 (Fruit width, Fruit length, Fruit shape, Fruit dry weight, Fruit dry matter content, Seed weight 및 Seed ratio)의 평균과 분산 양상, 그리고 형질 조합에 대한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된 환경 요인은 조사 장소의 개별성을 나타내었지만, 도심 식생이 더 건조하고 생장도일이 길었다. 도심에서 팥배나무의 잎은 작고 무거워지며, 열매는 길쭉하고 가벼운 종자를 생산하여, 오랜 도시화 영향에 따른 형질 반응들이 관찰되었다. 우리의 연구는 식생 파편화 및 고립화에 따른 생물 상호작용 감소를 나타내는 도심 환경에서 팥배나무 집단의 성장 및 번식 기제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우리는 축소된 생물 상호작용 규모, 그리고 대기 오염 같은 부정적 환경 요인이 많은 도시에서 핵심 수종의 기능과 지속성에 관해 제한적이지만 뚜렷한 생태 정보를 제공한다.

분광반사특성과 엽면적지수 및 SPAD를 이용한 벼의 성장단계별 생육상태의 평가 (Evaluation of Growth Diagnosis in Rice Field using Spectral Characteristics, LAI, and SPAD)

  • 박종화;신형섭;박진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05-809
    • /
    • 2008
  • Measurement of leaf area index (LAI) is useful for understanding rice growth, water use, and canopy light interception. The top nitrogen content(TNC) per unit area is an important quantitative index of the condition of nitrogen nutrition in rice production. The rapid and simple method of estimation of TNC, with the use of the existing nondestructive analyzing instruments chlorophyll meter SPAD-502 and plant canopy analyzer (PCA) LAI-2000, was scrutinized. Destructive measurement is time consuming and labor intensive. Our objective was to evaluate sampling procedures using the Li-Cor LI-1800, LAI 2000 plant canopy analyzer (PCA) for nondestructive estimation of rice LAI, and SPAD-502 on the Northern Plains of Cheongju. The LAI estimated by PCA tended to underestimate the LAI determined by actual measurement by about 20%. The estimation of LAI by PCA was judged to have a sufficient accuracy as a practical technique.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as obtained between the values of the SPAD reading and LAI. NDVI and LAI also showed a very high correlation. The values of the SPAD reading and LAI, and NDVI gave a high positive correla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thod describ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as a simple and rapid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rice growth.

  • PDF

질소시비수준이 Pioneer 988 ( Sorghum bicolor $\times$ S.Sudanesse ) 의 엽생육 및 건물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levels on Growth and Dry Matter Accumlation of Sorghum-Sudangrass Hybrid ( Sorghum bicolor $\times$ S. sudanense ) , Pioneer 988)

  • 김상덕;윤익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8-163
    • /
    • 1983
  • 種實用 수수와 수단그라스의 交雜種인 Pioneer 988의, 窒素施肥水準에 따른 時期別 生育 및 乾物生産量을 조사하기 위하여 本 硏究를 실시하였다. 窒素肥科는 成分量으로 10a當 15, 25, 35kg을 施用하였으며 幼植物로부터 開花後期까지의 生育期間게 몇가지 特性을 調麥한바 그 結果는 다음과 같이 要約된다. 1. 出現葉數는 生育이 進行됨에 따라 증가했는데 穗孕期까지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出穗期에는 最終葉인 15葉이 出現했다. 2. 葉面積指數는 生育의 進行에 따라 증가했는데, 특히 穗孕期까지 그 增加가 급격했으며, 室素施肥水準別로는 幼穗分化期까지 15kg 施肥區에서 컷으나 穗孕期 以後에는 35kg 施肥區에서 컷다. 3. 乾物收量은 穗孕期 以前에는 15kg 施肥區에서 많았으나, 穗孕期 以後에는 35kg 施肥區에서 많았다. 4 乾物生産速度는 純同化率 및 平均 葉面積指數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生育後期에는 純同化率의 增加와 더욱 밀접한 관계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