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apex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9초

NaCl 엽면살포에 따른 과수의 피해양상과 기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echanism and Damage Occurrence for Foliar Spray of NaCl Solutions in Fruit Trees)

  • 김승희;송기철;박정관;박무용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52-358
    • /
    • 2006
  • 조풍해(briny wind)에 대한 과수 과종간 피해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갈변율의 경시적 변화에서 배와 복숭아는 처리 후 1시간 만에 갈변이 시작되었고, 사과와 포도는 2시간 후부터 갈변증상을 나타냈나. 배와 포도는 농도가 높아질수록 낙엽률도 증가되었다. 염분처리에 대한 사과의 에틸렌 함량은 NaCl 3.0% 처리한 경우 1, 2시간 후까지 무처리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24시간 후에는 무처리 보다 약 3배 이상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5일 후에는 차이가 없었다. 사과의 염분처리에서 뒷면처리는 앞 뒷면 전체처리한 경우와 동일한 갈변과 낙엽률을 보였다. 엽령에 따른 NaCl의 반응은 사과와 배 모두에서 성엽이 유엽보다는 피해가 크게 나타났고 배보다는 사과가 염에 대해 민감하였다. 처리시기에 따른 염피해 에서 7월 30일 처리는 사과에서 측아가 발아되었으며, 정단은 배 30%를 제외하고 나머지 과종은 100% 발아하였다. 상위엽과 정단의 호르몬 함량을 조사한 결과에서, 잎의 t-zeatin 함량은 대포구가 염처리구 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하지만 IAA와 ABA는 염농도가 높아질수록 상위엽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꾸지뽕 신초 엽위별 잎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Leaves of Cudrania tricuspidata on the Shoot Positional Sequence Show Different Inhibition of Adipogenesis Activity in 3T3-L1 Cells)

  • 박주하;궈루;강혜미;손병구;강점순;이용재;박영훈;제병일;최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9-218
    • /
    • 2021
  • 본 연구는 꾸지뽕 신초에 부착된 잎을 6단계 즉 정아의 잎(L0), 정아부에서 하부의 순서대로 L1, L2, L3, L4 및 기부의 잎을 L5로 분류하여 채취하였다. 신초의 위치에 따라서 분류한 잎을 70% 에틸알콜로 추출한 다음 3T3-L1 cell line을 이용하여 지방분화 억제 효과를 스크린하고, 가장 효과가 좋았던 꾸지뽕 신초 정단잎(CTL0) 추출물의 작용기작을 규명하였다. 꾸지뽕 신초 정단잎(CTL0) 추출물의 지방분화 억제효과가 가장 좋았으며, 신초의 중간 잎인 CTL2까지는 정단 잎에서부터 중간 잎 추출물일수록 효과가 감소하였으며, 신초의 중간 하부 잎인 CTL3부터 기부 잎인 CTL5 추출물은 100 ㎍/ml의 고농도에서 효과가 없었다. 꾸지뽕 신초 정단잎(CTL0) 추출물을 12.5, 25 및 50 ㎍/ml의 농도로 처리하여 Oil Red O를 분석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3T3-L1세포의 지방분화를 억제시켰다. 3T3-L1 세포에 지방분화물질인 insulin, dexamethasone 및 rosiglitazone을 첨가한 분화배지(DM)에서는 배지내에 glucose의 함량이 낮았으나, CTL0 추출물의 처리는 배지에 glucose함량이 많이 남아있었기 때문에 세포내로 glucose의 흡수를 억제시켰으며, 세포내 중성지방의 함량도 감소하였다. CTL0처리는 전구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될 때에 주요 전사인자로 알려진 PPARγ와 PPARγ의 target 유전자인 LPL, A-FABP 및 Glut4 단백질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꾸지뽕 신초 정단잎(CTL0) 추출물은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소재로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옥수수 교잡종채종에 있어 유식물절단 비닐피복 및 파종기에 의한 자식계통 개화기조절 (Synchronization of Flowering for Hybrid Com Seed Production by Clipping Young Plants Clear Polyethylene Mulching and Planting Date)

  • 강영길;박근용;함영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81-487
    • /
    • 1983
  • 교잡종 옥수수 종자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종자친과 화분친의 개화기를 일치시키는 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4엽기와 6엽기에 생장점 상부와 상부 5㎝에서의 식물체절단, 투명비닐피복, 파종기 등이 마치종 자식계통 KS5와 B68의 개화기, 생장 및 채종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장점 상부에서의 절단은 화분비산기를 6-9일, 출사기를 5-13일 지연시켰으나 입모가 30-70%, 파종량이 67-81% 감소되었다. 생장점상부 5㎝에서의 절단은 화분비산기를 1-3일, 출사기를 1-4일 지연시키면서 임모를 감소시키지 않으나 파종량을 3-29% 감소시켰다. 6엽기의 절단이 개화지연효과가 다소 크나 생장점 상부 절단의 경우 입모 감소가 컸었다. 2. 투명비닐피복에 의하여 KS5와 B68의 화분비산일수는 모두 13일, 출사일수는 각각 13, 15일 단축되었고 채종량도 B68의 경우 47% 증가되었다. 3. 파종기가 14-56일 지연됨에 따라 KS5의 화분비산기는 3-29일 B68의 경우는 2-25일 지연되었다. 출사기는 화분비산기보다 2-4일 늦었다. 파종기가 지연될수록 두 계통의 파종에서 개화까지 일수가 단축되었으나 같은 기간의 유효적산온도(GDD)는 비슷하여 파종기에 의한 개화기조절시 GDD가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파종량은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고 특히 B68이 감소 정도가 컸었다.

  • PDF

주요 광엽잡초 유묘의 형태적 특성을 기초로 한 간이 식별법 (Identification of Major Broad Leaved Weed Seedling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김창석;정영재;이인용;조정래;오세문;박재읍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6
    • /
    • 2010
  • 농경지에 발생하는 주요 잡초에 대한 유묘기 검색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주요 잡초 60종에 대한 양적, 질적형질을 조사하였다. 잡초 유묘를 동정하는 형질로는 질적형질이 양적형질에 비해 보다 더 유용하였다. 자엽의 형태는 타원형과 광타원형이 가장 많았다. 차풀과 큰메꽃은 자엽의 형태가 넓은 직사각형이었다. 자엽의 형태가 횡광타원형인 초종은 4종이었다. 취명아주 등 22종의 잡초는 자엽의 형태가 1개 이상이었다. 이 중 자엽의 형태가 3가지 이상인 초종은 4종으로서 마디풀과의 참소리쟁이와 여뀌 그리고 대극과의 애기땅빈대와 깨풀이었다. 새팥은 자엽이 지면아래의 종자 속에 남아 있었다. 자엽의 엽두는 원두가 가장 많았다. 자엽의 엽저는 쐐기저가 가장 많았다. 환삼덩굴과 마디풀은 자엽의 엽저가 무엽병저였다. 일부 초종은 제 1본엽기와 제 2본엽기때 본엽의 형태가 각각 상이한 경우도 있었다. 돌콩, 새팥 및 매듭풀은 제 1본엽이 각각 광란형, 심장형, 원형 또는 광도란형이었나 제 2본엽에서는 3초종 모두 3출엽으로 전개되었다. 그리고 자귀풀과 차풀은 제 1, 2본엽의 형태가 우수우상복엽이었다. 본엽의 가장자리는 주로 전연이었으나, 큰도꼬마리를 포함한 6종은 제 1, 2본엽의 엽연이 치상거치였다. 애기땅빈대는 제 1본엽의 엽연이 전연, 제 2본엽의 엽연이 치상거치였다. 명아주과의 흰명아주와 좀명아주의 엽연은 제 1본엽기에는 전연, 제 2본엽기에는 불규칙거치였다. 잡초 유묘 자엽의 양적형질은 질적형질에 비해 종 동정 시 활용도는 떨어지나 초종에 따라서는 매우 유용한 경우도 있었다. 농경지 주요 광엽잡초 유묘에 대한 자엽 및 본엽의 질적 형질을 이용하여 간이 식별법을 제시하였다. 식법법 작성 시 자엽의 형태가 1개 이상인 잡초종에 대해서는 각각의 자엽 형태를 이용하여 종 동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Sedum속의 일신종 (A NEW SPECIES OF GENUS SEDUM)

  • 이덕봉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권2호
    • /
    • pp.5-6
    • /
    • 1958
  • Sedum rotundifolium LEE, D. B. sp. nov. 둥근잎꿩의비름 (신칭) 본종은 큰꿩의 비름 Sedum spectabile BOREA에 근사하나, 이에 비하여 집은 뚜렷하게 둥글고, 화서는 포집하여 구형에 가깝고, 화색이 농자색이므로 해서 구형된다. 종의 기재 근 : 다년초, 비원한 것이 및개 뭉쳐나고, 이로부터 수본의 줄기를 내보낸다. 경 : 감본 뭉쳐나고, 키는 15~25cm 이오, 좀 아래로 느려지고, 붉은빛을 띠고, 가을에 밑둥에 눈이 생긴다. 엽 : 다육엽이 대생하는데, 도형 혹은 광란형이오, 엽병이 없고, 엽록은 붉고 고르지못한 톱날로 되었고, 엽\ulcorner은 원형 혹은 천심 형이오, 폭과 장이 모두 2.5~4.5cm 이다. 화 : 경단에 소화가 꼬여 \ulcorner집\ulcorner\ulcorner화서를 이룬다. 악은 합편이나 5심렬 녹색이오, 명편은 피침형이다. 화\ulcorner은 5판의 생판화로, 대자홍색이오, 명판은 주형이다. 웅\ulcorner은 10본인데, 5본은 화판과 호생이다. 화종은 화판과 길이가 거의 같고, 약은 적색, 화분은 황색이다. 자\ulcorner는 5개가 이생이오, 자방은 세모진 마늘쪽 같은데, 화판과 대립이오, 주두는 길이 약 1mm 인데, 바늘끝처럼 뽀죽하다. 본종은 1957년 10월 22일 1958년 7월 26일에 채집, 산지,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 암상에 생육한다.에 생육한다.

  • PDF

A taxonomic revision of the Boehmeria spicata complex (Urticaceae) in Korea

  • JO, Hyeong Jun;KIM, Jae Young;LEE, Yuri;PARK, Se Hee;KWON, Min Ji;JEONG, Seon;CHUNG, Gyu You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15-132
    • /
    • 2021
  • Seven species and two varieties belonging to the genus Boehmeria Jacq. (Urticaceae) are known to be distributed in Korea. Among them, B. spicata, B. tricuspis, and B. tricuspis var. unicuspis were subjected to an external morphological study. Among the individuals believed to exhibit variations in the leaf shape, B. gracilis and B. silvestrii were newly recognized. Unlike related taxa, B. gracilis has middle leaves with an elliptic, broadly elliptic, ovate, or broadly depressed ovate shape, a regular and serrulate-dentate margin, and an unlobed and short caudate or cuspidate apex. Boehmeria silvestrii has middle leaves with 5-angled ovate, orbicular ovate or broadly ovate shapes, and 3- or 5-lobed and caudate apices. Therefore, we assigned the corresponding names 'Top-geo-buk-kko-ri' and 'Cham-geo-buk-kko-ri'. Meanwhile, the B. spicata complex (B. gracilis, B. silvestrii, B. spicata, and B. tricuspis var. unicuspis) is very closely related in term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whereas B. tricuspis exhibits no relationship. Furthermore, because the scientific name and type specimen of B. tricuspis var. unicuspis (Pul-geo-buk-kko-ri) are problematic, the correct name B. paraspicata Nakai and corresponding holotype are presented. Additionally, lectotypes of B. gracilis and B. silvestrii are newly designated here. A taxonomic treatment, descriptions, a key, photographs, type specimens, and leaf variation images of the B. spicata complex are provided in this study.

감자절간배양에서 마디위치 및 잎의 부착유무에 따른 소괴경형성의 차이 (Influences by position of node and existence of leaf on microtuberization in node culture of potato)

  • 황혜연;이영복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63-68
    • /
    • 2008
  • 감자의 마디배양에서 이식하는 마디의 위치에 따라 기내 소괴경 형성에 미치는 차이와 배양하는 마디조직체에서의 잎의 유무가 기내소괴경의 형성에 미치는 온도, 일장 및 CCC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마디의 위치에 따른 감자의 생육에 있어서는 초장, 생체 중, 직경, 마디수는 물론 괴경형성에 있어서도 정단부위가 하부부위보다 양호하였다. 액아의 부위에서 형성된 소괴경의 직경에 있어서는 정단부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큰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괴경의 생체중은 정단부위의 액아에서 형성된 괴경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고 다른 마디에서는 개체간의 큰 차이가 없었다. 잎의 부착 유무와 온도와 일장에 따른 괴경형성에 있어서는 잎이 부착된 마디를 $20^{\circ}C$의 단일조건에서 배양할 때 양호하였으나, 고온에서는 괴경형성이 일장에 관계없이 저조하였다. 잎이 부착되지 않은 마디에서의 괴경형성은 저온과 고온 모두 단일조건에서 양호하였다. CCC처리에 의한 효과에 따른 감자의 생육에 있어서 초장, 생체중, 직경, 마디수는 CCC를 첨가한 배지에서 양호하였고 특히 일장 처리가 길어질수록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괴경형성을 촉진시키는데 일장이 짧을수록 양호하였고, CCC를 첨가한 배지에서 양호한 효과를 보였다.

Localization of Germin Genes and Their Products in Developing Wheat Coleoptiles

  • Caliskan, Mahmut;Ozcan, Birgul;Turan, Cemal;Cuming, Andrew C.
    • BMB Reports
    • /
    • 제37권3호
    • /
    • pp.339-342
    • /
    • 2004
  • Germination is a process which characterized with nescient synthesis of genes. Among the genes synthesized during the germination of wheat embryos, germin genes, proteins and their enzymatic activity were defined. Germin is a water soluble homopentameric glycoprotein which is remarkable resistant to degradation by a broad range of proteases including pepsin. Germin proteins found to have strong oxalate oxidase activity which produces hydrogen peroxide by degrading oxalic acid. The current study, aimed to localize the germin genes, proteins and enzymatic activities in developing coleoptiles which is a rapidly growing protective tissue of leaf primordium and shoot apex. Non-radioactively abeled germin riboprobes were employed to localize germin mRNAs in situ. FITC (Fluorescein isothiocyanate) and alkaline phosphatase linked anti-germin antibodies were used to localize germin proteins under the fluorescence and light microscopy and finally germin enzymatic activity was localized by using appropriate enzyme assay. The results revealed that in coleoptiles germin genes, proteins and their enzymatic activity were predominantly associated with the cells of epidermis and vascular bundle sheath cells.

인공산성비가 들깨의 생장 및 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the Morphology and Enzyme of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 허만규;서강태;허홍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1-178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e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at various pH levels on the morphology and enzyme of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The pH levels of simulated acid rain ranged from pH 2.0 to pH 6.0. The experiment showed the anion concentrations in the order of $SO_4^{2-}$, Cl^-$, $NO_3^-$, and $F^-$, $SO_4^{-2}$ was found out to be the main factor which contributed to the rainwater acidification. A general decrease of growth in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growth was shown with the decreas of pH concentration. As acidity increases a definite reduction in the rates of germination, heigth of plant, malate dehydrogenase, and 6-phosphogluconate dehydrogenase was ovserved, but the density of spots on the leaf apex was increased.

  • PDF

한국(제주도)의 1신종: 긴다람쥐꼬리 (A new species of Huperzia (Lycopodiaceae) from Jeju Island, Korea: Huperzia jejuensis)

  • 임진아;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7-21
    • /
    • 2015
  • 석송과 뱀톱속에 속하는 신종 긴다람쥐꼬리(H. jejuensis B.-Y. Sun & J. Lim.)를 기재하고 도해하였다. 긴다람쥐꼬리는 현재까지 H. integrifolia (Matsuda) B. Ollg. ex Z. Satou로 취급되어 왔으나 기부(base)에서 중간부까지 가장자리가 평행한 선상피침형의 잎, 잎의 중간부에서 상부까지 존재하는 미세한 치아상거치, 무성아의 정단은 예철두인 점에 의해 뚜렷이 구분되었다. 학명의 종소명은 신종의 생육지가 제주도인 점을 고려하여 'jejuensis'로 신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