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aging.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11초

전통 한지의 천연염색 특성 (Natural Dye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Paper)

  • 최태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90-98
    • /
    • 2006
  • 일반적으로 동물성 섬유(견, 모)는 단백질 섬유로서 매염제를 쓰지 않고도 염색이 잘되는 편이지만, 식물성 섬유인 면, 마 등은 섬유소이므로 색소의 흡착이 불량하여 염색성이 우수한 염색 보조제로 전처리 한 다음, 주매염제를 처리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식물성 섬유의 일종인 인피섬유로 이루어진 한지의 천연염색 효과 향상을 위해 염색 보조제로 콩즙, 탈지분유 및 키토산을 한지에 전처리를 한 다음, 황벽나무 수피, 찔레나무 지엽, 꼭두서니 및 자초 뿌리로부터 염료를 추출하고 $Al_2(SO_4)_3$$Fe(OH)(CH_3COO)_2$를 매염제로 사용하여 염색한 한지의 염색특성과 견뢰도를 분석하였다. 천연염색 한지의 색상 및 색차 분석결과 염색 보조제를 사용한 것이 모든 염료에서 무처리 시료보다 염색이 양호하였으며, 사용한 염색 보조제 중에서는 콩즙으로 전처리한 시료가 가장 우수한 염색 효과를 나타내었다. 촉진노화 시험을 통한 천연염색 한지의 견뢰도를 분석한 결과 자초가 가장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꼭두서니가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싹삼 잎 줄기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항노화 효능 증진을 위한 증숙 및 추출조건 (Steaming and Ultrasonic extraction conditions for enhancing the ginsenoside contents and anti-aging efficacy of the Ginseng sprout leaf/stem)

  • 이종섭;김지영;한복남;김기석;조항의;차영권;정의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8-118
    • /
    • 2018
  • 인삼은 우리나라에서 오랜 역사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는 다양한 방법으로 홍삼과 흑삼으로 만들어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방면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시중에서 구매한 새싹삼(인삼새싹) 잎/줄기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Re, Rg1, Rb1, Rg3, Rh1)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증숙과 초음파 추출조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우수한 항노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은 새싹삼 잎/줄기를 증숙 온도와 시간의 조건에서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조건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조건의 새싹삼 잎/줄기에 파장과 출력에 대한 조건으로 초음파 추출을 진행하여 진세노사이드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이는 조건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새싹삼 잎/줄기추출물(GSE; Ginseng Sprout Extract)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4.8 mg/g으로 확인되었으나 증숙공정을 통해 8.82 mg/g으로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상기 증숙된 새싹삼 잎/줄기에 초음파공정을 적용하여 추출한 새싹삼 잎/줄기초음파추출물(SU-GSE; Steaming & dry Ultrasonication-Ginseng Sprout Extract)에서는 최대 10.65 mg/g으로 함량이 증가되었다. 반면, 새싹삼 뿌리의 진세노사이드는 2.30 mg/g으로 확인되었으나 증숙공정을 통해 4.95 mg/g으로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초음파추출공정을 통해 최대 5.82 mg/g으로 함량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새싹삼 잎/줄기에 비해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항노화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새싹삼 잎/줄기추출물 GSE와 SU-GSE에 대한 세포생존률, 항산화 및 항노화에 대한 효능평가를 진행하였으며 GSE의 경우 $100{\mu}g/ml$에서 세포생존률이 82.4%를 보인 반면 SU-GSE에서는 $1,000{\mu}g/ml$의 농도에서 101.8%의 세포 생존률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의 경우 GSE와 SU-GSE $100{\mu}g/ml$ 농도에서 각각 52%와 81%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SU-GES의 조건에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항노화 활성에 대한 실험결과 MMP-1 유전자 발현에 대한 억제율을 비교한 결과 GSE와 SU-GES $10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18%와 29%의 억제율을 보임에 항노화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D-갈락토스 유도 C2C12 근원세포에 대한 자소엽 추출물의 세포 노화 억제 효과 (Cellular Aging Inhibitory Effect of Perilla Leaf Extract on D-Galactose Induced C2C12 Myoblasts)

  • 박송미;조성우;최영현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28
    • /
    • 2024
  • Objectives We used the D-galactose (D-gal) induced C2C12 myoblast senescence model to investigate whether ethanol extract of Perilla. fructescens leaves (EEPF) could delay cellular senescence and regulate related mechanisms. Methods C2C12 myogenic cells were cultured in an incubator under 37 ℃ and 5% CO2 conditions. EEPF, dried perilla leaves were pulverized and extracted at 1:10 (v/v) at 50 ℃ for 4 hours. Cell counting kit-8 and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Annexin V-FITC apoptosis detection kit and DAPI staining was applie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total antioxidant capacity (T-AOC),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malondialdehyde analysis kits were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ion, staining and flow cytometry was used. To analyze the mitochondrial activity, membrane potential changes were measured using JC-1. 𝛽-gal activity was analyzed using SA-𝛽-gal staining solution, and DNA damage was analyzed by using 𝛾-H2AX. Quantikine ELISA kit was used to analyze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EEPF significantly alleviated the decrease in cell viability in C2C12 cells treated with D-gal and suppressed the decrease in the expression of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EEPF also markedly blocked D-gal-induced C2C12 cell apoptosis and restored reduced activity of CAT, GSH-Px, T-AOC, SOD. In addition, EEPF suppressed the decrease in 𝛽-galactosidase activity, the induction of DNA damage and the increase in expression of senescence-associated secretory phenotype proteins such as p16, p53 and p21 in D-gal-treated C2C12 cells. Furthermore, EEPF significantly attenuated D-gal-induced production and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 (IL)-6 and IL-18.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EPF can be used as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uscle aging.

건조스트레스가 감자 식물체 무기성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rought Stress on Inorganic Compound and Growth of Potato Plant)

  • 백계령;이계준;조지홍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241-248
    • /
    • 2017
  • 가뭄조건에서 봄감자의 무기성분함량 및 생육특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기간 중 식물체 내 무기성분함량 중 유효인산은 생육 초반 청주에서 유의하게 높았지만 개화기 이후 차이가 없어졌으며, 칼슘은 청주지역보다 강릉에서 더 빠르고 흡수되고 많은 체내 축적을 보였다. 마그네슘은 청주보다 강릉에서 높은 함량은 보여 건조스트레스에 따른 칼슘 흡수와 매우 밀접하게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생육기간 중 토양 양분 흡수량은 모든 무기양분을 청주가 강릉보다 더 많이 흡수하였으며, 이는 청주의 감자 생육량이 건조스트레스로 제대로 생육하지 못한 강릉의 감자보다 크고, 생육기간도 더 길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감자주요 생육기의 생육은 강릉과 청주 모두 비슷하였지만 강릉에서의 생육량 감소가 더 큰 경향을 보였다. 각 생육지표들의 상관관계는 건조에 취약한 잎을 제외한 다른 요소들은 강릉과 청주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잎의 영향을 받는 요소들은 강릉에서 그 상관관계를 볼 수 없었다. 감자 괴경의 수량은 상품비율은 건조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때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건조스트레스 하에서 지상부의 생육이 저하되고 생육기간이 짧아 수량은 크게 감소되었다.

익모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자외선으로 유도된 각질형성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Antioxidant and Protective Effects of Leonurus sibiricus L. Extract on Ultraviolet B (UVB)-induced Damage in Human Keratinocytes)

  • 김태연;장선아;채용병;박종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1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익모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자외선으로 유도된 각질형성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확인하고자 익모초 열수 추출물의 생체 내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되어 있는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hydrogen peroxide, superoxide radical, lipid peroxidation에 대한 익모초 열수추출물의 소거효과 및 환원력 평가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사람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주에서 UVB로 유도된 apoptosis에 대한 익모초의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결과, 익모초 열수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UVB로 유도된 apoptosis에 발현 또한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국내외적으로 천연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하는 피부 보호 효과에 대한 연구는 항노화 측면에서 그 효용가치가 높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 실험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종에 대해 단일 물질에 대한 분리 작업과 함께 항노화 실험 뿐만 아니라 항염증이나 항암 등의 실험이 더깊이 있게 진행된다면 새로운 천연물 유래 생리 활성 물질로서 효과적이면서도 안전한 화장품 소재로의 활용 또한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나무과 일부 수종의 에탄을 추출물에 대한 생물학적 평가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n the Extractives of Pinaceae)

  • 안정엽;배종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1-125
    • /
    • 2005
  • 소나무과는 우리 생활과 친숙한 수종이지만 천연물로써 그 평가는 전래되는 사용범위에 국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과 수종 Pinus koraienis S et Z. Pinus banksiana LAMBERT. Pinus rigida MILL. Pinus deniflora S. et Z.의 에탄을 추출물에 대하여 피부 노화방지에 대한 화장품 소재로써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추출물은 각 수종의 식물 부위를 껌질, 잎, 심재 등의 부위별 제조되었으며 각 부위에 따른 추출물은 생물학적 평가에 항산화 효과(DPPH, superoxide radical 소거실험), elastase 활성 억제 효과 및 세포 생존율에 과한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수종에 차이 없이 껍질 >잎>심재 순으로 활성이 나타났으며 껍질과 잎은 $10{\mu}g/mL$ 농도에서 L-ascorbic acid나 $\alpha$-tocopherol과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Human keratinocyte cell line인 HaCaT 세포주를 사용하여 추출물을 10, In $100{\mu}g/mL$ 농도로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을 실험하였다 껍질부분의 추출물은 농도에 상관없이 세포 증식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잎과 심재 부분의 추출물 $10{\mu}g/mL$ 농도에서 세포 증식 효과가 보이나 $100{\mu}g/mL$ 농도에서는 세포 증식이 저하되었다. 또한 세포기저층을 형성하는 분자 중 elastin을 분해하는 elastase 활성억제를 측정하여 사용된 식물 부위 중 껍질에서 elastase 활성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소나무과 수종의 활용에 있어 껍질 부분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일반적 조림용 이외 목재로 사용되는 경우 산림폐기물을 이용한 부가가치를 극대화하는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써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홍화잇꽃의 여드름피부 개선효과 및 세안용 생약식물소재 응용 (Efficacy of Safflower on the Acne Skin and Its Application for Facial Cleansing Biomedical Material)

  • 박영호;이창섭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400-404
    • /
    • 2011
  • 홍화는 예로부터 '사람의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해서 '잇꽃'으로 불려져 왔으며 동의보감에서는 꽃잎이 홍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홍화(紅花)로 소개되어 있다. 예로부터 홍화는 꽃잎을 압착후 정제된 색소를 이용하여 옷감에 천연색소를 입히는 염료와 연지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현대에 와서는 홍화의 주성분인 폴리페놀 화합물(Polyphenol cocktail) 성분이 건강식품업계에서 항노화 및 항산화물질로 알려지면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금번연구에서는 홍화의 주성분인 폴리페놀 화합물이 청소년기 혹은 장년기에서도 고민거리가 되고 있는 여드름균의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 항균, 항염효능이 있음을 DDT(Disk Diffusion Test) assay, MTT assay, NF-${\kappa}$B Luciferase activity inhibition assay의 in vitro법으로 확인하고 더불어 인체안면에 대한 임상시험에 사용할 세안화장품 제형의 화장비누 시제품을 제조하여 여드름피부의 개선 효과가 있음을 시험하고자 한다. 또한 이번 연구는 여드름용 화장비누 개발에 진일보하여 약용화장품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임을 확신한다.

The Influence of Long-term Aloe Supplement on Anti-oxidative Defenses and Cholesterol Content in Brain and Kidney of Aged Rats

  • Lim, Beong-Ou;Park, Pyo-Jam;Park, Dong-Ki;Choi, Wahn-Soo;Kim, Jong-Dai;Yu, Byung-Pal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352-356
    • /
    • 2007
  •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aloe vera ingestion on brain and kidney in aged rats by monitoring several oxidative-related parameters. Male specific pathogen-free Fischer 344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of five rat each: Group A was fed test chow without aloe supplementation; Group B was fed a diet containing a 1% freeze-dried aloe filet; Group C was fed a diet containing a 1% charcoal-processed, freeze-dried aloe filet; and Group D was fed a diet containing a charcoal-processed, freeze-dried, whole leaf aloe in drinking water. Analyses of tissues were done at 4 months and 16 months of age. Results showed that a long-term intake of aloe, regardless of the preparation used, enhanced antioxidant defenses against lipid peroxidation, as indicated by reduced phosphatidylcholine hydroperoxide levels in both brain and kidney. The additional benefit of aloe intake on the anti-oxidative action was evidenced by enhanced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activity in all aloe-ingested groups. Another beneficial effect of aloe shown in this study, although not an anti-oxidative parameter, was its cholesterol-lowering effect as detected in brain and kidney with significant decreases at age16 months of aloe-fed ra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clude that a long-term dietary aloe supplementation modulated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s and cholesterol level.

Characteristics of inorganic nutrient absorption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plants grown under drought condition

  • Bak, Gyeryeong;Lee, Gyejun;Kim, Taeyoung;Lee, Yonggyu;Kim, Juil;Ji, Samnye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81-181
    • /
    • 2017
  •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have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last 2 decades. Global warming is known to cause abnormal climate and influence ecology, food production and human health. According to climate change model global warming is causing expansion of drought and increase of evaporation. Therefore, securing water in agriculture has been an important issue for crop cultivation. As potato is susceptible to drought, water shortage generally results in decrease of yield and decrease of biomass.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inorganic nutrient absorption and growth of plants grown under drought condition. Plants were sampled in sites of Cheong-ju and Gangneung, where the severity of drought stress were different. During the growth period in Gangneung, total rainfall in 2016 decreased by 50% compared with those in last 5 years average. Especially, there was almost no rain in tuber enlargement period (from mid-May to mid-June). On the other hand, the total rainfall in of Cheong-ju was is similar to those in last 5 years average. Inorganic components including K, Ca and Mg and plant growth factors such as plant length, stem length, leaf area index and plant biomass were investigated. Tuber yields in both areas were investigated at harvest. Growth period of plants was is longer in Cheong-ju than that in Gangneung. Contents of all inorganic components were higher in plants grown in Cheong-ju than in Gangneung. The results were attributed to higher production of plant biomass in Cheong-ju. Considering the results, severe drought stress conditions in Gangneung accelerated plant aging and resulted in low plant growth. Although total yield was greatly reduced under drought stress the rate of commercial yield wa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non-drought conditions.

  • PDF

대나무잎 추출물에 의한 삼베와 모시섬유의 염색성 (Dyeing Property of Bamboo Leaves Extract on Hemp and Ramie Fiber)

  • 민경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38-444
    • /
    • 2011
  • Bamboo leaves, as natural dye provide unartificial fresh green, are known for expert property at anti-bacterial, anti-aging, anti-oxidation, skin whitening, moisturizing, peeling of horny, deodorizing and some skin disease like as eczema and inflammation without any allergic response. Also, It is quite common to obtain bamboo leaves from our surrounding but most of them were not in use. On purpose of development the way of recycle with common material to dye, bamboo leaves were used to dye on ramie fiber which is valuable for both of apparel and industrial field and investigated their dyeing property. Using extract from bamboo leaves, dyeing property was examined with dyeability, colorimetric property, light fastness and wash fastness under different conditions by extract density, dyeing time, dyeing method and mordants. As results, dyeing was generally colored in yellowish, K/S Value was shown more higher on hemp fiber than ramie. The most optimum dyeing condition was investigated on pre-mordant treatment, dyeing temperature $60^{\circ}C$, dyeing time 30min and extract density 400%. On the treatment with mordant(Al, Fe, Cu), dyebility on both of hemp and ramie fiber were increased by mordant. Especially with Copper(Cu) as mordant, dyebility was highly increased than any other mordants and dyeings showed in deep color. Also on the fastness tes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o natural dyeing, wash-fastness showed good performance with 4-5 grade but light-fastness was above 4 grade on both of hemp and ramie fiber, lower than wash-fastness over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