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acidity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5초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uilding Blocks in Shinseoncho and Kale Green Vegetable Juices

  • Kim, Seong Ye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4호
    • /
    • pp.269-273
    • /
    • 2012
  • Shinseoncho and kale were divided into stem [shinseoncho stems (SS) and kale stems (KS)] and leaf parts [shinseoncho leaves (SL) and kale leaves (KL)] and made into green vegetable juices for analyse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ies. Higher values of total acidity were observed in SL (0.736%) and KL (0.841%) than in SS (0.417%) and KS (0.335%) (p<0.05). Neutral sugar content showed higher values in SS (21.740 mg/mL) and SL (18.657 mg/mL) when compared with KS (1.497 mg/mL) and KL (1.452 mg/mL) (p<0.05). Protein content showed the highest value in SL (7.610 mg/mL) (p<0.05), while SS (0.403 mg/mL) and KS (0.403 mg/mL) showed similar lower values.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SL (423.139 ${\mu}g/mL$) was significantly higher value (p<0.05) than those of other samples, which occurred in the following order: SL>KL (218.494 ${\mu}g/mL$) KS (107.269 ${\mu}g/mL$)>SS (75.894 ${\mu}g/mL$). KL exert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84.834%) (p<0.05), which occurred in the following order: KL>SL (63.473%)>KS (52.894%)>SS (35.443%).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that SL (66.088%) and KL (38.511%) had higher scavenging activities, whereas SS (7.695%) and KS (9.609%) demonstrated to be lower activities (p<0.05). In general, leaf parts had much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as well as total polyphenol contents than those of the stem parts. In conclusion, shinseoncho and kale, particularly their leaf parts, offer antioxidant properties in green vegetable juices and the consumption of them may be beneficial as a nutrition source and in health protection.

'거봉' 포도의 전정강도와 결과모지 굵기가 생육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uning intensity and diameter of bearing mother branches on the growth and berry quality in 'Kyoho' grapevines)

  • 송기철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7권1호
    • /
    • pp.167-173
    • /
    • 2000
  • '거봉' 포도재배시 발생하는 결실불량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전정방법과 결과모지 선별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안성의 농가 포장과 원예연구소의 포장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약전정은 강전정에 비해 발아율, 신초수, 과방중, 착립률을 증가시킨 반면, 신초장, 신초당 엽수와 마디수, 단위 엽면적, 그리고 단위 엽생체중은 감소시켰다. 과실의 당도, 산함량 및 안토시아닌 함량은 약전정구와 강전정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평균신초장은 결과모지의 굵기가 굵을수록 뚜렷이 길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엽면적과 엽록소함량은 결과모지의 굵기가 굵을수록 넓어지거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탄수화물 및 N, P, K, Ca 및 Mg 등 무기성분 할량은 결과모지 굵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총탄수화물과 Ca함량은 결과모지 굵기가 가늘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과방당유핵과립수는 결과모지가 가늘수록 적어지고 착립률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과방중, 과립중, 과방당 과립수, 당도, 안토시아닌 함량은 결과모지 굵기가 1cm 전후인 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 PDF

민들레 (Traxancum platycarpum D.) 추출물이 젖산균의 생육과 김치의 가스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ndelion (Traxancum platycarpum D.) Extract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Gas Formation from Kimchi)

  • 김순동;김미향;김덕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21-325
    • /
    • 2000
  • 민들레 추출물의 4 종의 젖산균 즉,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plantarum 및 Lactobacillus acidophilus에 대한 항균력과 김치의 가스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H, 산도, 탁도 및 clear zone으로 평가한 결과, 민들레 물추출물과 70% methanol 추출물 (0.5%)은 4종 젖산균의 생육을 저해시키지 않았으나 ethyl acetate 추출물은 L. acidophilus와 Leuc. mesenteroides의 생육은 1/2로 L.brevis의 탁도는 1/3로 감소시켰다. 그러나 L. plantarum에 대하여는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민들레 잎과 뿌리추출물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김치의 가스발생은 담금후 1일째부터 5-6일 사이에 발생하였으며 추출물의 경우 첨가물이 높아짐에 따라 가스 발생량은 무첨가 경우 80 ml/100 g, 0.5% 첨가시는 30 ml/100 g, 1.0% 첨가시는 8 ml/100 g를 나타내었다.

  • PDF

적갓김치의 발효특성 및 항산화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Red Mustard Leaf Kimchi)

  • 황정희;송영옥;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09-101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적갓김치의 발효과정에 따른 발효특성과 항산화성을 규명하기 위해 갓김치와 가열 쇠고기를 이용한 model system을 만들어 쇠고기 지방질에 대한 항산화성을 살펴보았고 용매별로 추출한 김치성분의 항산화성을 살펴보았다. 적 갓김치는 15$^{\circ}C$에서 발효가 진행되면서 6일째 김치의 pH가 4.5에 도달하였다. 발효진행에 따라서 산도는 증가하였고 환원당은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이때 젖산균수 역시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또한 a-scorbic acid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감소하였다가 발효 6일째에 다시 다소 증가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생 시료에서보다는 갓김치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총 페놀함량은 증가하였다. 적 갓김치를 가열쇠고기와의 model system을 조제하여 TBA가를 통해 항산화성을 살펴본 결과 첨가한 김치의 양이 많을수록 항산화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생시료일 때보다는 김치의 항산화성이 우수하였으며 발효가 진행된 숙성상태일 때 더 항산화성이 우수하였다. 동결건조시킨 적 갓김치를 물, 메탄올, 핵산 세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항산화성을 살펴보았을 때 메탄을 추출물의 항산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담금직후보다는 숙성된 상태의 갓김치가 항산화성이 높았다.

  • PDF

유산균으로 발효한 황기 잎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fro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Leaf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 송빛나;이다빈;이성현;박보람;최지호;김용석;박신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428-434
    • /
    • 2020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leaf (AMBL)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applicability of its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Methods and Results: An assessment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pH, total acidity, free sugars, and isoflavonoid (calycosin-7-o-β-d-glucoside, ononin, calycosin, and formononetin) was conducted. Furthermore, the levels of antioxidant compounds, including polyphenols and flavonoid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xtracts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hydrate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were investigated. The calycosin content in the water extract of AMBL fermented with Leuconostoc mesenteroides increased by approximately twice as much as the control.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 mesenteroides can be used to improve biological activity through fermentation, and that AMBL can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s and edible resource in industrial areas.

아까시나무 황화현상 발생임분의 토양 이화학적 특성 (Soil Physiochemical Properties in Leaf-yellowing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Stands)

  • 이승우;변재경;지동훈;권영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409-414
    • /
    • 2009
  • 아까시나무는 척박지에서 적응력이 뛰어나 과거 산림녹화와 사방조림 등에 많이 이용된 수종이다. 그러나 2000년 이후 황화현상이 국지적으로 빈번히 발생해 오다가 2006년에는 전국적으로 확산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도 오산시 3개 지역에서 아까시나무의 황화현상 피해지와 미피해지 내에서 산림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그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지 일대 토양은 사방지토양, 갈색건조산림토양 및 갈색약건산림토양이 주를 이루었다. 피해지의 유효토심(16cm)과 전토심(25cm)은 미피해지(30cm, 56cm)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또한 미피해지에 비해 피해지 토양에서 고상률은 높은 반면 기상률은 낮고, 가비중도 높은 결과를 보여 근계부내 공기와 수분 이동성의 상대적 저하를 반영하였다. 또한 전체 조사지가 산성도가 매우 높은 강산성 토양이지만 피해지의 토양산도는 평균 pH 4.42로 미피해지의 pH 4.54보다 다소 낮았으며, 토양 내 유효인산, 칼슘, 마그네슘 함량과 염기포화율의 결과 역시 피해지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미피해지에 비해 열악한 황화현상 피해지의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은 양분과 수분에 대한 보유 및 공급능력의 상대적 저하로 아까시나무 임분이 다른 환경 스트레스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음을 반영한다.

땅두릅 잎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Leaf-Kimchi as Affected by Storage Time)

  • 한귀정;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202-120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땅두릅잎을 이용하여 전래되어온 제조 방법으로 잎김치를 제조하여 적합가능성을 알아보고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땅두릅 잎김치의 이화학적 특성에서 pH 및 총산의 변화는 pH가 감소하면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양념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염도의 경우 저장초기 급격히 증가하였고 그 이후부터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미미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미생물학적 특성에서 총균수와 젖산 균수의 변화는 비슷한 양상으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저장 4개월에 최고치에 이른 후 감소하여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물리화학 특성에서 색도는 저장초기 서서히 증가하다가 저장 4개월에 명도는 급격히 감소 경향을 보인 반면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으며 총색차 ${\Delta}E$는 저장초기에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다가 발효가 진행된 저장 4개월에 완만하게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하였다. 경도변화의 경우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적 특성은 간장, 고춧가루, 젓갈양념 등 3가지 종류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5점 이상을 받아 우수하게 평가되어 땅두릅 잎김치로서의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였다. 위와 같이 땅두릅잎이 잎김치로서 적합함이 확인되었으며 우리 농산물의 농가 소득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일환으로 땅두릅잎을 다양하게 활용한다면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온 재배 시 '피오네' 포도(Vitis vinifera × V. labrusca)의 엽과비에 따른 과실 특성 (Fruit Characteristics Based on Leaf to Fruit Ratio in 'Pione' Grapevine (Vitis vinifera × V. labrusca) during Cultivation with Heating)

  • 윤석규;박서준;정성민;김정배;윤익구;남은영;유덕준;이희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7-62
    • /
    • 2014
  • BACKGROUND: Defoliation in grapevine cultivation is practically used to improve light environment within the canopy and thereby fruit quality. Effects of defoliation in five-year-old 'Pione' grapevine during cultivation with heating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optimum ratio of leaf area to fruit cluster weight (L/F). METHODS AND RESULTS: The grapevines were defoliated with berry-thinning 20 days after full bloom to provide various levels of L/F. At harvest, total leaf area values of fruit bearing branches were between 0.23 and $0.60m^2$. With increasing L/F, soluble solids and anthocyanin contents curvilinearly increased ($R^2=0.76^{**}$). At L/F over $0.6m^2/kg$, soluble solids content (SSC) leveled off. With increasing L/F, titratable acidity (TA) linearly decreased ($R^2=0.87^{**}$), but the ratio of SSC to TA linearly increased ($R^2=0.86^{**}$). Anthocyanin cont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SC and the ratio of SSC to TA ($R^2=0.80^{**}$ and $0.82^{**}$, respectively). When total leaf area per fruit bearing branch was maintained $0.40m^2$, soluble solids and anthocyanin contents linearly decreased ($R^2=0.79^{**}$ and $0.85^{**}$, respectively), but TA linearly increased with increasing fruit cluster weight ($R^2=0.70^{**}$). Fruit was low in quality when the L/F was below $0.6m^2/kg$. CONCLUSION: L/F is recommended to be maintained at least $0.6m^2/kg$ in 'Pione' grapevine during cultivation with heating to produce higher-quality fruits.

백련차 분말을 대체한 우리밀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Wheat White Bread with Substituted Nelumbo nucifera G. Tea Powder)

  • 김영숙;김문용;전순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48-456
    • /
    • 2008
  • In this study, domestic wheat white breads were prepared with the substitution of 1.5, 3.0, 4.5, and 6.0% Nelumbo nucifera G. tea powder(NNTP). The samples and a control were then compared with regard to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pH, total titratable acidity, fermentation power of dough expansion, specific volume, baking loss, moisture content, color, textural characteristics, external and internal surface appearances, and sensory qualities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al ratio of NNTP in the formulation. As the NNTP contents increased, the pH of dough and bread, baking loss, and lightness decreased, whereas the total titratable acidity of dough and bread increased. The fermentation power of dough expans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incubation time. The NNTP samples evidenced significantly higher specific volume, greenness, yellowness, resilience, and crumb consistency than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hardness and fracturability evidenced the opposite effect. The water content and uniformity of the crumb pores were highest at a substitution level of 1.5%, and were lowest at a level of 4.5%. Crumb color, flavor, and delicious taste decreased with increasing NNTP contents, whereas lotus leaf flavor, astringency, bitterness, and off-flavor increased. Density of the crumb pore and crumb springi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Softness,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maximal with the 1.5% substitution, and were minimal in the 6.0% group. In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1.5{\sim}3.0%$ NNTP may prove quite useful as a substitute for domestic wheat flour in the production of white bread, and may evidence favorable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개량머루(Vitis sp.)의 생육기에 따른 과실 품질 및 형태학적 관찰 (Evaluation of Fruit Quality and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Gaeryangmeoru (Vitis sp.) Grapes Depending on the Growth Stage)

  • 권용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5-70
    • /
    • 2014
  • 개량머루의 시기별 생육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액아 발달, 과실 품질, 과실 조직의 해부학적 발달과정을 관찰하였다. 액아는 신초 발생부터 낙엽기까지 가지에서 마디 위치에 관계없이 괴사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모두 충실하였다. 성숙기 과실 특성은 과립중 1.2g, 과립수 98개 및 과방중 128.8g이었고, 당도 $16.9^{\circ}Brix$, 적정산도 1.57%이었다. 당의 조성은 과당과 포도당이었고 성숙기의 과당과 포도당의 비는 1:1에 도달하였다. 사과산이 유기산 중에서 가장 많았으며 시기별 적정 산도의 변화가 일치하였다. 당과 산은 변색 1주전부터 급격하게 변화하였다. 배주의 퇴화는 수정 전후에 모두 발견되었고 성숙기의 과피는 1층의 epidermis와 7~10층의 hypodermis로 구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