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yering system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8초

Evaluation of the color reproducibility of all-ceramic restorations fabricated by the digital veneering method

  • Kim, Jae-Hong;Kim, Ki-Baek;Kim, Woong-Chul;Kim, Hae-Young;Kim, Ji-Hwa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6권2호
    • /
    • pp.71-78
    • /
    • 2014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acceptability of all-ceramic crowns fabricated by the digital veneering method vis-$\grave{a}$-vis the traditional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Zirconia specimens manufactures by two different manufacturing method, conventional vs digital veneering, with three different thickness (0.3 mm, 0.5 mm, 0.7 mm) were prepared for analysis. Color measurement was performed using a spectrophotometer for the prepared specimens. The differences in shade in relation to the build-up method were calculated by quantifying ${\Delta}E^*$ (mean color difference), with the use of color difference equations representing the distance from the measured values $L^*$, $a^*$, and $b^*$, to the three-dimensional space of two colors.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mbined with a Tukey multiple-range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lpha}$=0.05). RESULTS. In comparing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L^*$, $a^*$*, and $b^*$ color valu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zirconia core thickness according to a two-way ANOVA. The color differences between two manufacturing methods were in a clinically acceptable range less than or equal to 3.7 in all the specimen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carefully consideration is necessary while selecting upper porcelain materials, even if it is performed on a small scale. However, because the color reproducibility of the digital veneering system was within the clinically acceptable range when comparing with conventional layering system, it was possible to estimate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aesthetic prostheses in the latest technology.

도재층의 두께와 색이 도재수복물의 최종 색조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ORCELAIN LAYER THICKNESS AND COLOR ON THE FINAL SHADE OF CERAMIC RESTORATIONS)

  • 성동환;이임기;송진원;복원미;안승근;박찬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87-598
    • /
    • 2005
  • Statement of problem: Ceramic restorations should be made of porcelain layers of different opacity, shade, and thickness in order to provide a natural appearance.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 system has superior color reproducibility, because it uses the ceramic ingot which is similar to teeth shade and uses the staining technique and layering technique. However, staining technique has a fault of discoloration. Also, porcelain is divided core and dentin layer, it is not enough to study about the influence of porcelain layer thickness and shade on the shade of ceramic restoration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porcelain layer thickness and color on the final shade of ceramic restorations. Materials and method: The CIE $L^*a^*b^*$(CIELAB) values of 72 assembled specimens, each consisting of 3 discs (enamel porcelain 0.2 mm/dentin porcelain -1.2, 0.9, 0.7, 0.5 or 0.3 mm/ceramic core -0.3, 0.5, 0.7, 0.9 or 1.2 mm, diameter is 1.0 mm) were evaluated with a spectrophotometer (Model Chromaview 300, Spectron Tech Co, Korea) for the shade A1, A2, A3 and A4. Distilled water (refractive index: 1.7) was used to attain optical contact between the layers. White, white gray, and white brown backgrounds were us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the background on the final shade. And the mean color difference value$({\Delta}E)$ was calculated. Results and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hickness ratio of the ceramic core/dentin porcelain system and $L^*,\;a^*\;and\;b^*$ values when the total thickness of specimen combination was smaller than 1.4 mm(P<0.05). 2. The specimen which the ceramic core thickness was more than 0.7 mm had the best masking effect against background colors. 3. The mean color difference value$({\Delta}E)$ is smaller than 2 $({\Delta}E<2)$ when the ceramic core thickness was larger than 0.7 mm and the total thickness of specimen was more than 1.4 mm.

토양 코아 분석을 통한 화산 골프장의 조성된 그린에 대한 평가 (The Evaluation on the exiting greens of Hwasan Country Club by undisturbed Soil Core Analysis)

  • 이상재;허근영;심경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54-61
    • /
    • 1998
  • The subsurface environment of the root zone area can set the stae for "do or die" of the turfgrass plant. The good condition of the greens is verifi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to evaluate on the existing green of Hwasan C.C. by undisturbed soil Core Anaysis. We completed the ISTRC SYSTEM BenchMarking of the undisturbed core samples taken from Green #1, Green #5, Green #9-"Best" area, and Green #9-"Stressed" area for the Hwasan C.C.. It was also our understanding that the greens were in "good" to "very good" conditioni. THe exception might be Green #9-"Stress" area, which was the stressed area. The stressed area was confined to a ridge across Green #9. The organic content test results comfirmed the development of organic layering in depth 0-2.5cm. For the amount of compaction in the upper root zones and te development of the green's respective organic layers, the infiltration rates were high in Green #1, Green #5, and Green #9 "Stressed" area. The depicted aerificaton hole might be the probable cause of the relatively high infiltraton rate. Green #9-"Best" area had a tested infiltration rate of 18.75cm/hr. Either this area had not been aerified, or the undisturbed sample did not contain a aerification cavity.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of the undisturbed samples was good. When the greens were first constructed, the original root zone mix had been relatively low water retention properties. And the bulk density and the porosity of the undisturbed samples were good. In the result, all the greens were similar except for the infiltration. Thus, we supposed that Green #9-"Stressed" area might be ainly influenced by the amount of irrigation water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green's surface. There had been a reduction in the amount of irrigation water as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in the greens was promoted. Especially, it had gradually become more of a problem as the green had matured in Green #9-"Stressed" area. Because Green #9-"Stressed" area was a ridge area. The reduction in the amount of irrigation water might be the probable cause of the stress in Green #9-"Stressed" area. Our final observation related to the soil texture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sand. Though and sand contant of all the tested greens were good, the gravel content of them exceeded ISTRC Guidelines. In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sand, the very coarse and the coarse content of all the tested greens exceeded, but the rest was insufficient. The stability is a function of the material retained on the 0.25mm mesh screen. But, the content of all the tested greens was very insufficient. Though all the greens was serviceable, the coarse root zone sands, such as the sand in the tested greens, tended to be "unstable". Thus, we recommend using a topdressing/aerification sand which should be more in line with ISTRC/USGA Guidelines.;unstable". Thus, we recommend using a topdressing/aerification sand which should be more in line with ISTRC/USGA Guidelines.ines.

  • PDF

Salsola collina 엽육조직내 변형된 크란츠구조 (Modified Kranz Structure in Leaves of Salsola collina)

  • 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2호
    • /
    • pp.207-214
    • /
    • 2001
  • Salsola callina 엽육조직의 $C_4$ Kranz구조내 세포유형의 발달 및 미세구조 분화특성을 연구하였다. 선형의 다육질성 잎은 표피, 광합성 염육조직, 수분저장조직, 유관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층의 엽육조직은 변형된 Salsoloid Kranz구조를 나타내었다. 내부의 엽육조직층은 전형적인 $C_4$ 구조의 Kranz 유관속초세포의 특성을 보이고, 외부의 엽육세포층은 Kranz 엽육세포의 특성을 보였다. 세포소기관들은 유관속초 세포에서는 구심적으로 배열하였고 엽육세포에서는 세포벽 주위를 따라 분포하였다. 또한 이들 세포유형 사이에는 엽록체 이형현상이 뚜렷하여 유관속초세포의 엽록체는 전분입자가 잘 발달하고 그라나가 거의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 반면, 외부엽육세포의 엽록체에는 그라나와 proteinbody들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유관속초세포의 세포벽은 비후되어 있으나 엽육세포의 경우에는 얇고, 특히 이들 두 세포층은 복잡한 구조를 지니는 원형질연락사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러한 구조들은 $C_4$ 광합성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이 유관속초세포와 엽육세포 간에 원활하게 수송되고 이동됨을 암시한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Salsola 식물의 미세구조는 $C_4$ 식물의 NADP-ME유형의 구조적 특성과 거의 일치하는 것이며, 구조적 이형현상을 보이는 유관속초와 엽육세포 간의 특성은 엽육조직 분화시 $C_4$ 기능과 밀접하게 연계하여 적응한 결과로 나타난 현상으로 추정된다.

  • PDF

IEEE 802.11e에서 네트워크 적응적인 H.264 비디오 스트리밍 (Network-adaptive H.264 Video Streaming over IEEE 802.11e)

  • 이선헌;정광수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6-16
    • /
    • 2008
  • 무선 네트워크 환경의 불안정한 채널 상태는 패킷 손실과 패킷 재전송을 발생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 비디오 스트리밍과 같은 시간적 제약을 가지는 서비스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해 최근에 QoS 기능을 강화한 IEEE 802.11e가 표준화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e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적응적인 H.264 비디오 스트림 전송기법에 관해 기술한다. 향상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무선 네트워크 상태에 적응적인 스트림 전송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상태는 패킷 손실률이나 가용 대역폭 측정을 통해 예측할 수 있으며, 이렇게 측정된 네트워크 상태를 크로스-레이어 기법을 기반으로 응용계층에 알려줌으로써, 현재 네트워크가 전송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되는 데이터를 우선순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전송될 가능성이 없는 데이터를 미리 제거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시뮬레이션 및 시스템구현을 이용한 성능검증을 통하여 제안하는 기법이 사용자에게 끊김없이 부드럽게 재생되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메타모델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계층적 모델링 프로세스 (An User Interface hierarchical modeling process based on Metamodel)

  • 송치양;조은숙;김철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525-543
    • /
    • 2008
  • 최근 들어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급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스윙, MFC, Web 2.0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관련 기술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과 비즈니스 부분을 별도로 개발하는 프로세스로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통합 과정에서의 어려움, 개발 기간의 연장, 개발 모델의 재사용성의 저하등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즉, UI 모델링이 체계적이고 계층적이지 못하며, UI 모델링과 비즈니스 모델링간의 일관성있는 통합 기법을 제공치 않아, 구축 모델의 확장성과 재사용성의 저하를 초래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 단계의 추상화 수준에 따른 계층적 메타모델을 사용해서 단일화되고 체계적인 UML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델링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개발의 성숙도에 준거하여 PIM/PSM으로 UI 모델의 모델링 요소를 계층화하여 메타모델을 제시한다. 3 단계 모델링(개념/명세/상세)에 의해 UI 및 비즈니스 메타모델을 적용해서 UI 모델링과 비즈니스 모델링이 통합된 계층적인 모델링 프로세스를 정립한다. 제시한 프로세스를 인터넷 쇼핑몰에 적용해 봄으로써 실효성을 제시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계층적 UI 메타모델 및 프로세스가 체계적이고 계층적인 UI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이는 모델의 품질과 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2급 와동 수복 시 한국 치과 지사들의 복합레진 사용 실태 연구 (A SURVEY ON THE USE OF COMPOSITE RESIN IN CLASS II RESTORATION IN KOREA)

  • 신동호;박세은;양인석;장주혜;이인복;조병훈;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2호
    • /
    • pp.87-94
    • /
    • 2009
  • 본 연구는 2008년 1월 현재 한국 치과의사들의 복합레진 사용 실태에 관한 설문 조사로서, 2급 와동을 수복하는 증례에서 치과의사의 면허 년도, 교육 배경 및 진료환경 등에 따라 수복재료의 선택, 복합레진의 사용여부 및 사용방법, 문제점 등을 비교하였다. 한국 치과의사들을 대상으로 2급 와동 수복에 관한 17 문항의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이 설문지는 시술자 정보, 2급 와동의 수복으로 크게 2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이 설문지는 대한치과의사협회를 통해 12,193명의 치과의사들에게 E-메일로 발송되었다. 이 중 2,612개의 메일이 수신 확인되었고 840 개의 설문지가 작성되어 회신되었다 수신 확인된 메일 수에 대한 회신된 메일 수의 비율 (회신율)은 32.2%이었고, 이 자료는 SPSS 프로그램에서 카이제곱 분석을 이용하여 교차 분석하였다. 답변자의 비율은 면허년도를 기준으로 $1998{\sim}2007$년에 면허를 취득한 그룹 (한국 전체 치과의사의 33.3%, 추정년령 26-35세)이 60.3%로 1997년 이전에 면허 취득한 그룹 (한국 전체 치과의사의 66.7%, 추정 년령 36세 이상)의 39.7%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이 근무하는 병원은 개인의원 (77%)이 가장 많았고, 남자 치과의사 (79%)가 많았다. 복합레진 수복에 대한 지식은 학생 때 수업이나 학회 세미나를 통하여 (83.4%)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2급 와동 수복 시 재료 선호도를 살펴보면 금인레이가 65.7%를 차지하고 있고 복합레진 직접 수복은 12.1%로 낮게 나타났다. 2급 와동의 복합레진 직접 수복 시 시술 방법에 있어서는 러버댐을 사용하지 않거나 잘 사용하지 않는 그룹의 비율 (74.4%)이 더 많았고, 격벽법으로는 mylar strip (53.4%)이나 metal matrix (33.8%), Palodent system (6.5%)를 사용하였다. 충전은 적층법 (99.6%)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술 시 인접면 형성을 가장 어려워하였다(57.2%). 2-step 접착시스템 (76%)이 3-step 접착시스템 (16%)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사용하는 레진 제품으로는 Z250 (20%)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열-가압을 이용한 금속 도재관과 전통적인 금속 도재관의 변연 적합도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in marginal fit of a pressed ceramic and feldspathic porcelain fused to metal restoration)

  • 김윤영;박윈희;유동엽;이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73-279
    • /
    • 2010
  •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금속 도재관과 열-가압을 이용한 금속-도재관의 변연 적합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상악 제1소구치 레진 치아를 교합면 2.0 mm, 협, 설면과 인접면을 1.0 mm 두께로 삭제하였으며, 변연 형태는 chamfer margin으로 그리고 축면 경사는 6도 taper로 삭제하였다. 삭제한 레진치를 복제하여 금속 다이 20개를 제작하였고, 이 금속 다이를 인상 채득하여 작업을 위한 석고 다이를 제작하였다. 금속 도재관과 $PoM^{(R)}$ 시스템 (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금속 코핑을 각각 10개씩 총 20개를 제작하였으며,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변연 간격을 측정하였다. 도재 축성 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변연 간격을 측정하였다. 통계 처리는 Wilcoxon Signed Ranks test와 Mann 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금속 도재관은 코핑 상태 ($64.93{\pm}12.48\;{\mu}m$)와 도재 축성 후 ($63.43{\pm}12.86\;{\mu}m$)의 변연 간격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PoM^{(R)}$ 시스템은 코핑 상태 ($50.00{\pm}12.28\;{\mu}m$)와도재축성후($56.72{\pm}13.80\;{\mu}m$)의 변연 간격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금속 도재관과 $PoM^{(R)}$ 시스템 변연 간격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PoM^{(R)}$시스템은 왁스 소결법을 이용해 변화가 적은 기술적인 이점이 있으며, 세밀한 기술을 요구하는 축성 방법과는 대조적으로 왁스 성형으로 도재의 완전한 형태를 만들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 결과와 이런 장점을 토대로 앞으로 임상적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