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al jet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8초

측 추력 제트가 미사일의 공력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Part I. 제트 유동특성 영향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Lateral Jet Effect on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Missile: Part I. Jet Flow Condition Effect)

  • 민병영;이재우;변영환;현재수;김상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64-71
    • /
    • 2004
  • 측 추력(Lateral Jet)을 이용하여 자세를 제어하는 미사일 주위의 초음속 유동장 해석을 위하여 삼차원 Navier-Stokes 코드 (AADL3D)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수치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출 제트 압력, 분출 마하수 등을 포함하는 제트의 유동특성이 미사일에 미치는 수직력 및 피칭모멘트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공력 해석 결과 제트의 분출 압력과 분출 마하수 변화에 따른 서로 다른 수직력과 모멘트 변화 양상 및 그 원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수직력 손실과 피칭모멘트 발생은 노즐 후방의 저압영역에 의한 것이며, 동일한 제트 추력일지라도 분출 마하수가 큰 경우가 분출 압력이 큰 경우보다 모멘트 발생 최소화에 유리함을 확인하였다.

측추력 제어 유도탄의 공력모델링시 CFD의 적용 (Use of CFD for Aerodynamic Interference Modelling of Jet-Controlled Missile)

  • 성웅제;홍승규;안창수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대회논문집
    • /
    • pp.120-125
    • /
    • 2003
  • Recently, lateral jet has been adopted as an effective control device for high maneuverable tactical missiles in supersonic regime. Aerodynamic interference caused by the lateral jet can be categorized into two phenomena : local interaction redistributing surface pressure near the jet exit region and downstream interaction affecting tail control effectiveness. As part of on-going research, this paper deals with the aerodynamic modeling to predict the variation of force and moment when lateral jet of is activated on the missile body. For this purpose, a series of numerical simulation has been performed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by CFD, aerodynamic model of preliminary level has been constructed and is reviewed. Some relevant comparison with wind tunnel tests are presented.

  • PDF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Shock Interaction Effect on the Lateral Jet Controlled Missile

  • Min, Byung-Young;Lee, Jae-Woo;Byun, Yung-Hwan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4년도 제22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57-364
    • /
    • 2004
  • A computational study on the supersonic flow around the lateral jet controlled missile has been performed. Case studies have been performed by comparing the normal force coefficient and the moment coefficient of a missile body for several different jet flow conditions, angle of attacks, circumferential jet locations, and spouting jet angles. For the several different jet flow conditions, which include the jet pressure, the jet Mach number, and the corresponding jet mass flow rate, the results show that the normal force coefficient is almost proportional to the jet thrust but the moment coefficient is not. Distinctly different flow phenomena can be noticed as the pressure ratio and the jet Mach number increase. By investigating the angle of attack effect to the normal force and the pitching moment,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normal force and the pitching moment show nonlinearity with respect to the angle of attack. From the detailed flow field analyses with respect to the jet flow conditions and the angle of attacks, it is verified that most of the normal force loss and the pitching moment generation are taken place at the low-pressure region behind the jet nozzle. Furthermore, the normal force and the pitching moment characteristics of the missile have been identified by comparing different circumferential jet locations and spouting jet angles.

  • PDF

중고도에서 운용되는 측 추력 제어 요격체에 대한 제트 간섭 유동 분석 (Jet Interaction Flow Analysis of Lateral Jet Controlled Interceptor Operating at Medium Altitude)

  • 최경준;이성욱;오광석;김종암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6권12호
    • /
    • pp.986-993
    • /
    • 2018
  • 측 추력 제트는 유도무기의 자세제어 및 궤도 천이 기동을 하는 데 있어 기존의 핀과 같이 제어 면을 이용한 방식보다 우수한 기동성을 갖는다. 하지만 초음속 영역에서 비행 시 측 추력 제트로 인한 제트 간섭 유동이 발생하며 충격파와 경계층 유동, 와류 유동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매우 복잡한 유동 구조를 나타낸다. 특히 직격 파괴(hit-to-kill) 방식의 요격체의 경우 정밀한 제어 및 기동이 요구되기 때문에 제트 간섭 유동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기존의 제트 간섭 해석은 저고도 운용 조건에서 주로 수행되었으나 중고도 운용 조건의 경우 해석 사례가 많지 않으며 대기 조건으로 인해 분사 제트 유동이 상대적으로 크게 발달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중고도에서 비행하는 요격체 형상에 대해 받음각 조건에 따라 제트 간섭 유동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유동장의 구조적인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공력 계수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측 추력 제어 미사일 주위의 초음속 유동현상 연구 (A Study of Supersonic Flow Around Lateral Jet Controlled Missile)

  • 민병영;이재우;변영환;현재수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대회논문집
    • /
    • pp.28-34
    • /
    • 2002
  • A computational study of supersonic flow around lateral jet controlled missile has been performed. For this study, three dimensional Navier-Stokes code(AADL3D) has been developed. Spalart-Allmaras one equation turbulence model has been implemented on the AADL3D code for relatively rapid computational time. For the validation of developed code, AADL3D, pressure distributions on an ogive-cylinder body has been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Also, the shock structure of sonic jet on the flat plate in the supersonic flow field has been compared with experimental flow visualization result to see the analysis capability of freestream-jet interaction case. A case study has been performed through comparing the normal force coefficient and the moment coefficient of missile body for several jet flow conditions. Current results will be used to the optimum design of a lateral jet controlled missile.

  • PDF

측 추력 제트가 미사일의 공력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Part II. 자유류-제트 각 영향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Lateral Jet Effect on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Missile: Part II. Freestream-Jet Angle Effect)

  • 민병영;이재우;변영환;현재수;김상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27-34
    • /
    • 2004
  • 측 추력(Lateral Jet) 제어 시스템에 의해 자세제어를 하는 미사일 주위의 초음속 유동장 해석을 위하여 삼차원 Navier-Stokes 코드 (AADL3D)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수치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미사일의 받음각, 제트 노즐의 위치, 그리고 제트의 분출 각 등의 Parameter가 미사일에 미치는 수직력 및 피칭모멘트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미사일은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4개 영역으로 나뉘어 각 부분에서의 수직력과 모멘트에 대한 기여도를 비교하였다. 공력해석 결과, 각 Parameter 변화에 대한 서로 다른 수직력과 모멘트 변화양상 및 그 원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Parameter 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모멘트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분석SHS를 이용한 W/Jet 추진기 유형별 횡이동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for lateral movement each type of W/jet propeller using SHS)

  • 윤청금;박재홍;정창현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17년도 공동학술발표회
    • /
    • pp.89-89
    • /
    • 2017
  • 해양경찰 소형 경비정에 주로 장착되었던 물분사(water jet type) propeller가 중대형 경비함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축 형식은 2~4축, 유동을 제어하는 bucket 유형도 DRB, CSU(SRB) 방식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러나, W/Jet 추진기 고유의 운동 특성이 반영된 조함법의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여기서는 함정에 장착된 W/Jet 유형별 SHS를 통하여 직접 구현해 보고, SHS 구현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함정은 해양경찰 함정장들의 면담을 통하여 습득한 것을 이론적으로 구현 제시하여, 함정 조함시 지식적인 인적오류를 최소화하여 W/jet 추진기가 장착된 함정 승조원의 조함 능력 향상 및 안전운항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이중분사 막냉각 홀의 측면 분사각 및 홀 사이의 거리가 막냉각 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Lateral Ejection Angles and Distances of Double-Jet Holes on Flim Cooling Effectiveness)

  • 최대웅;이기돈;김광용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33-41
    • /
    • 2012
  • In the present work, a parametric study on double-jet film-cooling has been carried out to enhance the film-cooling effectiveness using three-dimensional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analysis. The shear stress transport turbulence model is used as the turbulence closure. The lateral ejection angles and the lateral and streamwis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cooling holes are chosen as the geometric parameters. The spatially averaged film-cooling effectiveness averaged over an area of 8 hole diameters in width and 30 hole diameters in streamwise length is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film-cooling. The parameter of the lateral distance has the largest impact on the film cooling effectiveness compared to the others. On the other hand, the parameter of streamwise distance gives the least influence on the film cooling effectiveness.

램프를 이용한 측 추력기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Performance Enhancement of Side Jet using a Ramp)

  • 변영환;배기준;;이재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3-79
    • /
    • 2004
  • 초음속 유동하에서 측 추력기의 후방에 램프를 설치하였을 경우의 유통 현상을 실험 및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실험적인 방법으로, 가시화방법으로는 쉴리렌, 압력 측정을 위한 방법으로 압력 탭 (Pressure Tap), Pressure Sensitive Paint를 이용하였으며, 수치해석을 위하여 AeroSoft사의 GASP ver. 4.0을 사용하였다. 실험조건은 자유류의 흐름이 마하수 4 측 추력기와 자유류의 압력비가 532 이었으며 GASP을 사용하여 3D 램프형상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위의 모든 결과들은 후방의 램프가 없을 경우와 비교를 통하여 램프를 장착하였을 경우 수직력의 감소없이 피칭다운 모멘트가 70% 정도 감소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