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al flow

검색결과 584건 처리시간 0.03초

핵 연료집합체 부수로 해석을 위한 횡 방향 압력손실계수의 수치적 결정 (Numerical Determination of Lateral Loss Coefficients for Subchannel Analysis in Nuclear Fuel Bundles)

  • Kim, Sin;Park, Goon-Cher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7권4호
    • /
    • pp.491-502
    • /
    • 1995
  • 핵연료집합체 부수로 유동장에 대한 상세한 정보에 기초해 교차류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핵연료의 성능을 해석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Reynolds 수 k-$\varepsilon$ 난류모형을 채택하여 인접한 두 부수로 사이에 발생하는 교차류를 해석하였다 또한, 2차유동을 정확히 모사하기 위해서 비등방성 대수응력모형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난류 모형은 유한요소법을 통해 해석되었으며 가용한 실험자료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그리고, 부수로 유동장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횡방향 합력손실계수의 상관식을 구성하였다. 상관식은 교차류를 제공하는 부수로의 축방향 속도에 대한 교차류의 속도비, 제공받는 부수로의 Reynolds 수 그리고 Pitch-to-diameter의 함수로 구성되었다.

  • PDF

철원분지 동막골응회암의 유향과 공급지 (Flow Directions and Source of the Dongmakgol Tuff in the Cheolwon Basin, Korea)

  • 황상구;김재호
    • 암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1-65
    • /
    • 2010
  • 동막골응회암은 철원분지에서 큰 용적의 화쇄류암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층서단위이다. 이 화쇄류암은 부석풍부 파리질응회암에 속하며, 부석편 혹은 피아메가 대부분 심하게 편평화되고 치밀 용결되어 있지만 평행 배열되고 신장되어 있다. 이들은 배열과/혹은 신장에 의한 유상선구조, 와상배열, 인장틈과 부딘구조 등과 같은 흐름지시자를 보여주고 평균최대 암편과 부석편들은 측방으로 입도변화를 나타낸다. 동막골응회암에서 유상선구조에 의한 유향도, 암편과 부석의 여러 비대칭 구조, 평균최대 암편과 부석 입경의 측방점이도 등에 따르면, 이 응회암을 집적시킨 화쇄류는 동막리 남부와 고문리 북부의 경계부 근처에서 공급되었다. 이 응회암을 집적시킨 화쇄류는 흐름의 마지막 단계에 층류로 이동하였으며, 유상선구조는 이때 화쇄류의 일차성 흐름으로 전단력에 의한 정치과정을 겪은 것으로 판단된다.

어류의 옆줄 감각기능 연구 및 옆줄 교구 개발 (Sensory Function Research of Ichthyic Lateral Line and Development of Lateral Line Teaching Aid.)

  • 권정현;김미정
    • 한국교육논총
    • /
    • 제39권1호
    • /
    • pp.15-3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류 옆줄(측선)이 수온, 수압, 수류 및 음파 등을 측정한다고 알려진 것을 직접 실험을 통해 확인하여, 어류 옆줄의 물리적 자극을 감지함을 확인하였다. 어류 옆줄 감각기능 실험연구 후 어류 옆줄이 물리적 자극을 감지하는 우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옆줄 조직을 확대 분석하였으며, 측공과 측공관의 형태를 3D프린터로 제작하여 옆줄 교구 제작을 실현하였다. 옆줄 교구를 수중에서 물리적 자극인 음파를 측정함으로써 증폭 효과를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어류 옆줄이 생명공학적으로 우수한 감각기관임을 증명하였다.

  • PDF

측방유입유량 및 유하시간을 고려한 Muskingum 최적 매개변수 도출 (Optimal parameter derivation for Muskingum method in consideration of lateral inflow and travel time)

  • 김상호;김지성;이창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12호
    • /
    • pp.827-836
    • /
    • 2017
  • 하도홍수추적 방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Muskingum 방법의 가장 중요한 매개변수는 저류상수와 가중인자이다. Muskingum 방법은 상류유입지점에서 하류 유출지점까지 측방유입량이 고려되지 않지만, 실제 유역에는 강우로 인하여 측방유입유량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상하류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저류상수 및 가중인자를 산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HEC-RAS 1차원 부정류 해석모형을 이용한 수리학적 홍수추적을 통해 측방유입유량이 제외된 상태에서의 하도에서 전파되는 유량을 산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저류상수 및 가중인자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저류상수가 유하시간과 관계있음을 감안하여 국내 하천기본계획 수립 시 사용되는 유하시간 경험 공식들을 저류상수로 적용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유량이 고려된 유하시간 산정 식을 개발하고, 유입량의 변화에 맞춰 유하시간을 업데이트하여 모의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유량을 고려한 유하시간을 저류상수로 적용한 경우, 유량의 상승 및 하강 과정, 첨두 유량, 그리고 첨두 시간에 대해서 잘 모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HELP 모형과 SWAT 모형의 지하수 함양량 비교 (Comparison of Groundwater Recharge between HELP Model and SWAT Model)

  • 이도훈;김남원;정일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4호
    • /
    • pp.383-39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과 HELP 모형을 이용하여 보청천 유역의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SWAT 모형은 지표수 및 지하수 성분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물순환 모형이지만, 토양층에 대한 침루과정의 물리적 해석이 미흡하다. 반면에 HELP 모형은 중간유출 및 지하수 유출성분을 모의하지 못하지만, 토양층에서의 비포화흐름을 고려하여 침루과정을 해석할 수 있다. 국내유역에서 함양량 산정을 위해 SWAT 모형은 여러 유역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되어 왔지만, HELP 모형의 국내유역에 대한 적용은 매우 미흡하였다. HELP 모형의 적용을 위하여 중간유출계수를 제안하였고, 수정된 지수형감쇠 가중함수를 이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HELP 모형의 함양량은 중간유출계수 값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중간유출계수 값이 0.6인 경우에 HELP 모형과 SWAT 모형사이의 함양량 오차가 가장 작았으며 일, 월, 연단위 등 다양한 시간규모에 대하여 두 모형사이의 함양량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HELP 모형은 SWAT모형에 비하여 모형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입력변수가 적게 요구되므로 지하수 함양량 산정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SWAT 모형과 HELP 모형을 병행하여 적용하면 지하수 함양량 산정의 신뢰도가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단말 오수관거 에서의 퇴적특성과 퇴적방지를 위한 설계법 고찰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and a Design Method for Preventing Sediment in the beginning Lateral Sewer)

  • 황환국;김영진;한상종;정호찬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89-797
    • /
    • 2009
  • The flow in the beginning lateral sewer can be characterized as intermittent and unsteady, and a moment maximum flow energy is required to transport fecal solids in the sewer. It is thus difficult to design to satisfy a minimum velocity criteria (0.6m/s), because of the substantially lower discharge in the beginning lateral sewer. This study is the result of a field survey, and aims to determine a design criteria for the minimum slope to prevent sediment in a lateral sewer. The survey performed on the two flat small catchments in Goyang-si consisting of D400mm hume-pipe, aimed to understand the manner in which the scope of a sewer slope has an effect on sediment in the beginning lateral sewer. The survey showed that the sewer slope below 3‰ had sedimentation of 88.7%, while the sewer slope of 3~6‰ had sedimentation of 47.8%. In addition, the minimum design slope was estimated to refer to the result of hydraulic experiments from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 in Japan. Analysis showed that the D400mm hume pipe should be installed with a slope of 6.5‰ to prevent sediment in the beginning lateral sewer. For future installation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a D300mm plastic pipe requires a minimum slope of 3.5‰, and a D250mm plastic pipe requires a minimum slope of 3.3‰ in the beginning lateral sewer.

해안 연약지반상의 교량 구조물 변위 억제 (Method of Reducing Lateral Displacement of Abutment Constructed on Marine Clay Deposits)

  • 장용채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37-348
    • /
    • 1998
  • Since 1970s, though many effective construction methods have been established to solve soft ground problems which had occurred in the off shore land reclamation and on shore highway construction, lateral movement of structure on soft ground is still a big problem to engineers. In this study an applicability of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lateral movement of the structure in soft ground is examined and most measured data is obtained from 140 bridge abutments in highway construction sites.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of existing methods that used for deciding amount of lateral movements of abutment are analyzed using the obtained data. From the analysis, a proper method to prevent lateral movement is proposed. This method is confirmed on several case histories which were constructed on marine clay.

  • PDF

Experimental characterization of the lateral and near-wake flow for the BARC configuration

  • Pasqualetto, Elena;Lunghi, Gianmarco;Rocchio, Benedetto;Mariotti, Alessandro;Salvetti, Maria Vittoria
    • Wind and Structures
    • /
    • 제34권1호
    • /
    • pp.101-113
    • /
    • 2022
  • We experimentally investigate the high-Reynolds flow around a rectangular cylinder of aspect ratio 5:1. This configuration is the object of the international BARC benchmark. Wind tunnel tests have been carried out for the flow at zero angle of attack and a Reynolds number, based on the crossflow cylinder length and on the freestream velocity, equal, to 40 000. Velocity measurements are obtained by using hot-wire anemometry along 50 different cross-flow traverses on the cylinder side and in the near wake. Differential pressure measurements are acquired on multiple streamwise sections of the model. The obtained measurements are in a good agreement with the state-of-the-art experiments. For the first time among the several contributions to the BARC benchmark, detailed flow measurements are acquired in the region near the cylinder side and in the near-wake flow. The edges and the thickness of the shear layers detaching from the upstream edges are derived from velocity measurements. Furthermore, we compute the flow frequencies characterizing the roll-up of the shear layers, the evolution of vortical structures near the cylinder side and the vortex shedding in the wake.

연직배수재가 설치된 연약지반 상에 도로성토로 인한 측방유동 발생 예측 (Prediction of Lateral Flow due to Embankments for Road Construction on Soft Grounds with Vertical Drains)

  • 홍원표;김정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C호
    • /
    • pp.239-247
    • /
    • 2012
  • 연직배수재가 설치된 연약지반 상에 도로성토를 실시할 경우 연약지반에 측방유동이 발생될 지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측방유동예측법을 조사하기위해 연직배수공법을 적용하여 지반개량공사가 실시된 연약지반 상에 도로성토가 시공된 우리나라 서해안과 남해안 지역 연약지반에서 계측관리가 실시된 13개 현장 200개 측점의 현장계측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수평배수재를 설치한 연약지반에서 수평변위와 사면안전율과의 관계를 조사할 경우는 연약지반의 지표면수평변위량 보다는 지중최대수평변위량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성토사면의 사면안전율이 1.4 이상이면 대부분의 연약지반 최대수평변위는 50mm 이하로 발생되었고 사면안전율이 1.2 이하이면 대부분의 최대수평변위는 100mm 이상으로 발생되었다. 최대수평변위량이 50mm 이하로 발생하면 전단변형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측방유동이 발생할 우려가 없는 안전한 현장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최대수평변위량이 100mm 이상으로 크게 발생하는 현장에서는 전단파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이런 현장에서는 즉각 대책을 강구한 후 성토를 계속함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연직배수재를 설치한 연약지반에서 안정수가 3.0이하이고 지지안전율이 1.7 이상이면 안전한 성토시공이 가능하며 안정수가 4.3 이상이고 지지안전율이 1.2 이하이면 연약지반에 전단변형의 발생은 물론이고 전단파괴의 가능성까지도 예상된다.

연직배수공법이 적용된 연약지반 상에 도로성토로 인한 측방유동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Lateral Flow due to Embankments for Road Construction on Soft Grounds Using Vertical Drain Methods)

  • 홍원표;김정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9호
    • /
    • pp.5-15
    • /
    • 2012
  • 연직배수공법이 적용된 연약지반의 측방유동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우리나라 해안지역에서 계측관리가 실시된 13개 연약지반 현장의 자료를 수집하여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성토규모가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약층의 두께와 상대적 도로성토규모가 클수록 연약지반 속의 수평변위는 크게 발생하였다. 특히 연약지반이 두꺼우면 도로성토저면폭에 대한 연약층의 두께의 비인 상대적 성토규모도 자연 커지므로 수평변위량은 크게 발생하였다. 또한 도로성토속도가 빠르면 연약지반의 수평변위량이 크게 발생하였다. 그 밖에도 연약지반의 두께와 비배수전단강도, 지반계수 및 안정수는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즉 연약지반의 비배수전단강도와 지반계수가 작을수록 그리고 안정수가 클수록 연약지반의 최대수평변위량은 크게 발생하였다. 도로성토로 인하여 연약지반 속에 전단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안전한 상태에서는 안정수가 3이하가 되고 지지 안전율이 1.7이상이 되었다. 그러나 연약지반 속에 전단파괴가 발생되는 불안전한 상태에서는 안정수가 5.14이상이 되고 지지안전율이 1.0이하가 되었다. 도로성토로 인하여 연약지반 속에 전단변형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허용최대수평변위량의 기준은 50mm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약지반에 전단파괴가 발생됨이 없이 도로성토를 실시할 수 있는 연약지반의 수평변위량 기준은 100mm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