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nt fingerprint #3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73초

케모메트릭 방법과 결합된 레이저 유도 플라즈마 분광법을 적용한 유류 지문의 법의학적 분류 연구 (Forensic Classification of Latent Fingerprints Applying Laser-induced Plasma Spectroscopy Combined with Chemometric Methods)

  • 양준호;여재익
    • 한국광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25-13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다변량 분석법과 결합된 레이저 유도 플라즈마 분광법을 사용하여 겹친 유류 지문을 분리하는 혁신적인 방법을 연구하였다. LIPS는 겹친 유류 지문의 화학 성분에 대한 데이터뿐 아니라 실시간 분석 및 고속 스캐닝이 가능한 분광법이다. 레이저 유도 플라즈마 분광법을 통해 도출된 스펙트럼은 적절한 다변량 분석이 적용되어 법의학적 분류와 겹친 유류 지문의 재구성에 유용한 화학적 성분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LIPS 스펙트럼에서 4가지의 유류 지문을 분류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 방식과 부분 최소 제곱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SIMCA 및 PLS-DA와 같은 구별 방식을 사용하여 4개의 유류 지문의 분류를 성공적으로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략 85% 이상의 정확도를 가졌으며, external validation 실험에서도 분류의 가능함을 보였다. 최종적으로, 125 ㎛의 공간 간격으로 레이저 스캐닝 분석을 통한 겹친 유류 지문의 2차원 형태의 분리가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다공성 표면에서 현출된 지문의 정량적인 평가방법 개발을 위한 농도계 이미지 분석을 이용한 선행연구 및 응용 (A preliminary study and its ap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of developed fingerprints on porous surfaces using densitometric image analysis)

  • 조재현;김효원;김민선;최성운
    • 분석과학
    • /
    • 제29권3호
    • /
    • pp.142-153
    • /
    • 2016
  • 범죄수사에서 지문인식은 개인 식별을 위한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그러나 다양한 방법으로 각각 현출된 지문을 비교하는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방법의 개발을 위하여 농도계 이미지 분석(densitometric image analysis) 프로그램(CP Atlas 2.0)과 Automated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AFIS)을 이용하여 다공성 표면에서 현출된 지문을 비교, 평가하였다. 먼저 시료지문 채취 상 최적의 압력과 유류시간 조건을 찾기 위하여 두 가지 조건을 변화시켜 날인을 한 비교적 균일한 품질을 가진 잉크지문(Inked fingerprint)을 분석하였다. AFIS 분석을 통해 얻은 특징점(minutia)수와 이미지 분석을 통해 얻은 융선 peaks의 면적 결과를 계산하여 비교한 결과 1.0 kg.f 의 압력으로 5초(sec.) 동안 유류 한 잉크지문이 육안 상 가장 선명한 융선을 보였으며 가장 많은 수의 특징점 수, 가장 넓은 융선의 peaks 면적을 갖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잠재지문 현출에 응용하기 위하여 감열지에 날인 된 잠재재문을 iodine fuming법으로 현출시켜 분석한 결과 1.0 kg.f/5 sec의 조건에서 특징점 수가 가장 많고 융선의 peaks 면적도 가장 넓게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프린트 용지에 날인한 잠재지문을 0.5 %와 5 %의 ninhydrin용액으로 현출하여 비교한 결과 2.0 kg.f/5 sec의 조건으로 날인하여 5 %의 ninhydrin용액으로 현출하였을 때 가장 좋은 결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이미지분석을 통하여 얻은 peaks의 평균면적이 클수록 AFIS를 통해 확인되는 특징점수가 많아진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농도계 이미지 분석을 이용한 지문 평가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본 방법은 지문 현출 평가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새로운 시험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열지상 잠재지문의 남겨진 순서결정에 대한 예비적 연구 - 단기연구 - (A preliminary study to determine the order of the latent fingerprint deposition on thermal paper - A short term study -)

  • 임동아;옥윤석;허보름;최성운
    • 분석과학
    • /
    • 제30권5호
    • /
    • pp.279-286
    • /
    • 2017
  • 범죄현장에서 자주 발견되는 감열지의 표면에 남겨진 잠재지문의 압인순서 결정은 지문의 경시 변화 및 지문 나이의 연구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수사에 있어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예비실험으로 2가지의 압인 압력과 시간(second)으로 감열지(일반 영수증과 팩스종이)상에 유류한 시료지문을 1~7일의 경과 후에 일(day)별로 iodine fuming법으로 현출하였다. 가시화된 지문의 이미지를 농도계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압인순서와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는 융선의 평균 면적값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감열지 용지의 종류에 따른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3일차까지는 지문 융선의 면적값은 점점 증가하거나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4일에서 7일차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6일과 7일차 지문의 면적값은 1일차의 대략 1/2 이하였다. 또한 겹 지문을 실험 한 경우 6일차, 7일차 경우에는 1~3일차의 지문과의 큰 선명도 차이를 보여 육안 구별가능성을 보였다. 추후 압인 조건에 대한 추가적인 실험은 현재의 방법이 지문의 감열지상 압인순서 결정에 가치 있는 방법임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다.

잠재지문 검출제로서 Ninhydrin 유도체들과 Glycine과의 반응성에 관한 분자 홀로그래픽적인 QSPR 분석 (Molecular holographic QSPR analysis on the reactivity between glycine and ninhydrin analogues as latent fingerprints detector)

  • 김세곤;장석찬;조윤기;황태연;박성우;성낙도
    • 분석과학
    • /
    • 제20권4호
    • /
    • pp.339-346
    • /
    • 2007
  • 높은 염색성과 형광성을 나타내는 ninhydrin 유도체를 탐색하기 위하여 잠재지문 검출제로서 ninhydrin 유도체들과 glycine 분자와의 반응성에 관한 분자 홀로그래피적인 HQSPR 모델을 유도하고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Ninhydrin의 반응성은 ${\varepsilon}LUMO$ 에너지가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ninhydrin 유도체들과 glycine 분자 사이의 경계분자궤도(FMO) 상호작용으로부터 궤도조절반응에 의한 친핵성 반응이 전하조절반응에 의한 친전자성 반응보다 우세하였다. 기여도 분석결과, benzo 고리상 강한 전자끌게로서 meta-치환체가 ninhydrin의 반응성을 증가시켰으며 HQSPR 및 QSPR 모델에 의하여 5,6-dinitroninhydrin 분자는 비 치환체보다 3배 이상의 반응성을 향상시킬것으로 예측되었다.

Assembly of Magnetic Nano-Fe3O4@GSH-Au NCs Core-Shell Microspheres for the Visualization of Latent Fingerprints

  • Huang, Rui;Tang, Tingting
    • Nano
    • /
    • 제13권11호
    • /
    • pp.1850128.1-1850128.10
    • /
    • 2018
  • Glutathione (GSH), the protective agent and reducing agent, has been widely used to prepare gold nanoclusters (GSH-Au NCs) with stable fluorescence properties and negative charge of the surface. Meanwhile, polyethyleneimine (PEI) was used as the modification agent to synthesize magnetic ferroferric oxide nanoparticles ($Fe_3O_4$) with fantastic dispersibility and positive charge of the surface. Based on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force, magnetic nano-$Fe_3O_4@GSH-Au$ NCs core-shell microspheres composed of magnetic $Fe_3O_4$ nanoparticles modified by PEI as the core and GSH-Au NCs as the shell were assembled. The prepared $Fe_3O_4@GSH-Au$ NCs microspheres harbored a uniform size (88.6 nm), high magnetization (29.2 emu/g) and excellent fluorescence. Due to the coordination bond action between Au atom and sulfhydryl (-SH), amino ($-NH_2$), carboxyl (-COOH) in sweat, $Fe_3O_4@GSH-Au$ NCs could combine with latent fingerprints. In addition, $Fe_3O_4@GSH-Au$ NCs with good fluorescence and magnetism could detect fingerprints on various objects. Significantly, the powders were not easy to suspend in the air, which avoided the damage to the health of forensic experts and the fingerprints by only powder contacting. Above all, $Fe_3O_4@GSH-Au$ NCs was successfully applied to the latent fingerprint visualization, which has great potential in forensic science.

플라스틱 봉투 표면에서 지문을 현출하기 위한 Vacuum Metal Deposition (VMD)과 분말법의 비교 (Comparison of vacuum metal deposition (VMD) and powder method for developing latent fingerprint on plastic envelope surface)

  • 김채원;이나래;김태원;유제설
    • 분석과학
    • /
    • 제33권3호
    • /
    • pp.159-166
    • /
    • 2020
  • 진공금속증착법(vacuum metal deposition, 이하 VMD)는 비다공성과 반다공성 표면의 잠재지문을 현출하는데 효과적이다. VMD는 일반적인 기법으로 현출할 수 없거나 어려운 표면에 유류된 지문을 현출하는 경우에서 활용할 수 있다. VMD 기법이 권장되는 표면은 비닐, 폴리머 지폐, 마그네틱 코팅 처리가 된 티켓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택배 봉투로 주로 사용되는 분홍색 고밀도 폴리에틸렌 봉투(HDPE)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봉투(LDPE)에 지문을 유류한 뒤 최소 12시간부터 최대 28일이 경과한 지문을 현출하기 위한 금의 최소 투입량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흑색분말, 형광분말의 효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실제로 배송에 사용된 택배 봉투를 수거한 다음 HDPE와 LDPE로 분류하고 pseudo-operation test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VMD는 HDPE와 LDPE 표면에서 비교적 일관된 지문 현출 결과를 보여주었다.

다양한 개시제(initiator)분말 전처리(pre-treatment)를 통한 노화된 지문의 Cyanoacrylate Fuming법 현출 증강 비교 (Comparison of aging fingerprint enhancement by pre-treatment of various initiator powders in the cyanoacrylate fuming method)

  • 김수경;이윤정;서경숙
    • 분석과학
    • /
    • 제35권3호
    • /
    • pp.129-135
    • /
    • 2022
  • 본 연구는 alumina, leucine, alumina와 leucine을 9:1로 혼합한 분말(이하 Al-Leu (9:1)), alumina와 leucine을 5:1로 혼합한 분말(이하 Al-Leu (5:1)), alumina와 sodium lactate를 5:1로 혼합한 분말(이하 Al-Lac (5:1))을 자연상태 시료지문을 남긴 후 1, 7, 14, 30일로 노화시킨 잠재지문에 전처리한 후 cyanoacrylate fuming(이하 CA 훈증법)으로 현출 증강을 시도하였다. 전체적으로 미처리한 후 CA 훈증한 잠재지문보다 alumina, leucine, Al-Leu (9:1), Al-Leu (5:1), Al-Lac (5:1) 분말로 전처리한 잠재지문의 면적값과 특징점 개수가 향상되었다. 따라서 5종류의 개시제가 CA 훈증 시 현출 증강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Polyvinylpyrrolidone과 1,2-indanedione 혼합물을 이용한 감열지에 부착된 혈흔지문의 증강 (Enhancement of fingerprint in blood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rmal paper by using the mixture of polyvinylpyrrolidone and 1,2-indanedione)

  • 김동만;류혜연;정승훈;주인선;홍성욱
    • 분석과학
    • /
    • 제34권3호
    • /
    • pp.122-127
    • /
    • 2021
  • Polyvinylpyrrolidone과 1,2-indanedione 혼합물(PVP-IND)은 감열지에 부착된 잠재지문을 현출하는데 가장 좋은 시약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PVP-IND가 감열지에 부착된 혈흔지문을 증강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PVP-IND의 혈흔지문 증강 능력을 연구하였다. 비교 대상으로는 감열지에 부착된 혈흔지문을 증강할 때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고 알려진 amido black 수용액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물에 희석된 혈액이 묻은 손가락으로 만든 혈흔지문을 증강할 경우에는 PVP-IND가 amido black 수용액보다 증강 능력이 우수했다. 반면 희석되지 않은 혈흔지문을 PVP-IND로 처리하면 융선이 번져 나타나서 amido black 수용액의 증강 능력이 우수했다. PVP-IND로 처리했을 때 융선이 번져서 나타나는 것은 PVP와 혈액에 포함된 amino acid가 반응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VMD와 1,2-indanedione(SOON-100)의 감열지 잠재지문 현출 효과 비교 (Comparison of VMD and 1,2-indanedione(SOON-100) for the Development of Latent Fingerprints on Thermal Paper)

  • 조현진;이선민;유제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333-341
    • /
    • 2020
  • 감열지는 편의점 영수증, 로또, ATM 영수증 등 일상생활에 널리 이용되어 범죄와 관련된 현장에서 쉽게 발견될 수 있기 때문에 감열지에서 지문을 현출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문헌에서 감열지에서의 지문 현출이 효과적이라고 주장하는 vacuum metal deposition(VMD) 기법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감열지의 잠재지문 현출용 시약인 1,2-indanedione(SOON-100)과 VMD 기법 간의 지문 현출력을 비교하였다. 지문을 유류한 검체를 직사광선이 없는 평균온도 20 ℃의 환경에서 1, 3, 6, 12, 24 시간동안 보관하였다. SOON-100과 VMD 기법을 적용한 결과, SOON-100의 경우 신선한 지문의 융선은 흐리게 나타났지만 유류한 지 1시간이 지난 후부터는 개인 식별이 가능할 정도의 선명한 지문이 관찰되었다. VMD의 경우 유류한지 6시간이 경과한 이후부터는 지문이 점차 번져 융선의 품질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VMD의 지문 현출 원리에 부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VMD의 현출 원리와 감열지 표면의 특성을 고려해보면 VMD가 감열지 잠재지문 현출 기법으로는 적절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법과학 단파자외선이 DNA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rensic short wavelength UV on DNA)

  • 김아람;김우중;박희연;임시근
    • 분석과학
    • /
    • 제27권3호
    • /
    • pp.147-152
    • /
    • 2014
  • 범죄 현장에서 눈으로 보이지 않는 지문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254 nm의 단파자외선과 루비스(RUVIS;Reflective Ultraviolet Imaging System, 반사자외선이미징시스템)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최근 유전자 감식 기술의 발전으로 지문과 같은 극미량의 생체시료에서도 성공적으로 DNA 프로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지만, 지문 탐색에 사용되는 단파자외선에 의해 DNA가 파괴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4 종류의 자외선 광원을 대상으로 자외선 조사 시간과 조사 거리에 따른 DNA 손상 정도를 비교하였다. 단파 자외선을 사용하는 경찰 루비스, SIRCHIE 미니라이트 및 SIRCHIE 루비스의 경우에는 10 cm 거리에서 10초간 조사할 경우 약 50% 정도의 DNA가 손상되었고, 시료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처리 시간이 길수록 DNA 손상 정도가 증가하였다. 이 장비들을 사건 현장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유전자 감식 시료의 DNA에 많은 손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1 m 이상의 거리에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350 nm의 장파자외선을 사용하는 폴리라이트 장비는 단파 자외선 장비에 비해 DNA 손상 정도가 크지 않았다. 지문 탐색과 유전자감식을 모두 고려한다면, 자외선 광원의 종류에 따라 조사 거리와 조사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