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nt fingerprint #3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7초

Development of latent fingerprints contaminated with ethanol on paper surfaces

  • Park, Eun-Jung;Hong, Sungwook
    • 분석과학
    • /
    • 제32권3호
    • /
    • pp.105-112
    • /
    • 2019
  • Fingerprints may be contaminated with ethanol solutions. In order to solve the case, the law enforcement agency may need to visualize the fingerprint from these samples, but the development method has not been studied. The paper with latent fingerprint was contaminated with ethanol solution and then the blurring of ridge detail was observed. As a result, when the copy paper was contaminated with ethanol solutions of less than 75 % (v/v), the amino acid components of latent fingerprint residue blurred but lipid components of latent fingerprint residue didn't blur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paper was contaminated with ethanol solution of more than 80 % (v/v), the amino acid components of latent fingerprint didn't blurred but the lipid components of latent fingerprint blurred. Therefore, it is found that the paper contaminated with ethanol solutions of less than 75 % (v/v) should be treated by oil red O (ORO) enhancing lipid components, and the paper contaminated with ethanol solutions of 80 % (v/v) or more should be treated by 1,2-indandione/zinc (1,2-IND/Zn) enhancing amino acid components. The blurring of ridge detail was not observed when the fingerprints were deposited with fingers contaminated with ethanol solution. This fingerprints were treated with 1,2-IND/Zn or ORO to compare the latent fingerprint development ability, and using 1,2-IND/Zn was able to visualize the latent fingerprint more clearly than using ORO.

지질조성 개선을 통한 새로운 인공 잠재지문 수용액의 개발 (Development of a New Artificial Latent Fingerprint Aqueous Solution by Improving Lipid Composition)

  • 이상윤;임화선;이기종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99-103
    • /
    • 2024
  • 이전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인공 잠재지문 수용액은 실제 잠재지문 현출력에서 부족한 결과를 보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질 성분을 개선하여 실제 지문 조성과 유사한 인공 잠재지문 수용액을 개발하였다. 아미노산 수용액과 지질 수용액을 부피 비 3:2, 4:1, 5:1, 8:1, 10:1, 20:1로 혼합하여 일정량을 다공성 표면인 종이와 비다공성 표면인 슬라이드 글라스에 떨어뜨린 후 각각 Oil red O, Cyanoacrylate 기법 및 Basic yellow 40 염색을 적용하여 현출하였다. 지질의 농도가 감소할수록 현출력 또한 감소하였지만, 두 종류의 표면 및 모든 농도에서 충분히 육안으로 식별되었다. 또한 기존에 제시된 인공 잠재지문 수용액과 비교하였을 때 지질 반응성 지문 현출 시약에 대한 반응성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인공 잠재지문 수용액을 지문 융선대로 프린팅하여 실제 잠재지문과 조성이 유사한 인공 잠재지문을 제작하여 지문 연구에 대한 정량적인 샘플 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생체피부에서의 잠재지문 현출 (Developing of latent fingerprint on human skin)

  • 이희일;최미정;김재훈;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21권3호
    • /
    • pp.222-228
    • /
    • 2008
  • 생체피부에서의 잠재지문 현출에는 많은 제한점이 있다. 살아있는 피부는 계속적인 발한을 하고 지방친화성이 있어 흡수 및 확산에 의해 지문변화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사람피부에 존재하는 잠재지문의 효과적 현출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살아있는 생체피부와 피부유사 돼지피부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피부지문현출제로는 흑색, 형광 분말 및 자석분말 그리고 Cyanoacrylate fuming을 이용하였으며 전사법으로는 전사지(lifting paper), 유리, 사진현상용 glossy paper를 이용하여 피부로부터 전사한 후 현출하였다. 살아있는 피부에 존재하는 즉시지문일 경우에는 흑색분말인 S-powder, Cyanoacrylate fuming법 및 훈증후 흑색 또는 형광분말로의 재처리에 의해 현출이 가능하였고 자석분말로의 현출로는 지문이나 배경피부에 과도하게 흡착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으며 유류에 따라 지문이 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사체유사 돼지피부에서는 6시간 유류된 지문에서도 $25^{\circ}C$, 40%에서 1분간의 Cyanoacrylate fuming법 이후 흑색분말로의 재현출하였을 때 잠재지문의 현출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현출된 지문영상에 다양한 스펙트럼을 이용한 감식영상의 효과적 조사파장에 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사삼산화철 기반의 소립자시약(Small Particle Reagent)의 접착면 잠재지문 현출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Latent Fingermark Development on Adhesive Side of Iron Oxide Powder-based Small Particle Reagent)

  • 김선민;고강석;이슬비;유제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209-216
    • /
    • 2016
  • 강력범죄사건에서 발견할 수 있는 증거물인 테이프는 접착면에 지문이 쉽게 유류될 수 있다. 청 테이프에 유류된 지문을 현출하고자 사삼산화철($Fe_3O_4$)기반의 Small Particle Reagents(SPR)를 사용하여 SPR의 제조비율 및 현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SPR이 지문현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제조시 첨가되는 분말의 양, 계면활성제의 양, 계면활성제의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증류수 100ml를 기준으로 분말의 양은 0.5g~1.0g일 때 융선에 적절한 양이 흡착되었으며 계면활성제의 양은 0.5ml이상이면 배경에 흡착된 분말들을 잘 씻어냈다. 또한 계면활성제의 HLB가 배경과 융선과의 대조비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유류된 지문의 지질 성분을 용해시키지 않는 11~18사이의 HLB가 뛰어난 현출력을 보였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진공 훈증법에 의한 잠재지문 현출 최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conditions for latent fingerprint development using cyanoacrylate fuming method in vacuum chamber)

  • 유제설;정진성;임승;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25권3호
    • /
    • pp.164-170
    • /
    • 2012
  •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훈증법은 비다공성 표면에 유류된 잠재지문을 현출할 때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진공챔버에서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훈증할 때 온도, 습도, 훈증 방법 등이 잠재지문 현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후 최적 반응 조건을 찾는데 있다. 진공챔버의 온도가 높을수록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증발량은 증가했지만, 지문 융선에서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중합반응은 $30^{\circ}C$에서 가장 잘 일어났다. 상대습도가 40%, 50% 조건에서는 좋은 상태의 지문이 현출되었지만, 30%보다 낮거나 60%보다 높은 조건에서는 지문 융선에서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중합반응 속도가 느려졌다. 진공챔버에서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자연적으로 증발시키는 방법보다는 $OMEGA-PRINT^{TM}$ dispersal pads와 수산화나트륨을 포함한 솜을 이용해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훈증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공챔버에서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처리시간은 상대습도에 비해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잠재지문 현출효율 평가에 대한 연구 (Evaluation of developing efficiency on latent fingerprint)

  • 김만기;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22권2호
    • /
    • pp.166-171
    • /
    • 2009
  • 잠재지문 현출방법 중 분말법을 이용한 현출법은 현장에서 간편하게 감식하여 개인식별이 가능한 장점으로 선호하는 현출법이다. 따라서 분말형태로의 현출제 개발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개발분말의 평가법으로는 유류된 지문이나 장문에 비교되는 현출제와 비교하고자 하는 현출제를 1/2씩 현출한 후 대조화면으로 제시하여 저자의 주관적인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잠재지문 분말현출제의 효율 평가법을 객관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1) 지문의 동일한 영역에서의 특징점 수 확인 (2) 현출제와 흡착정도(scattering) (3) 현출지문의 contrast 등을 제안하여 현 출효율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감열지에 남겨진 잠재지문 현출을 위한 1,2-Indanedione 시약 (Advanced Application of 1,2-Indanedione for Latent Fingerprint Development on Thermal Paper)

  • 남궁주영;배경희;유제설;장윤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964-971
    • /
    • 2014
  • 감열지는 열과 극성용매에 민감하여 검게 흑화하기 때문에 일반 종이에 사용하는 지문 현출 시약을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열지에 적용할 수 있는 1,2-Indanedione 용액의 제조비율을 제시하고 염화아연의 효과성에 대해 검증하였다. 0.06% 농도의 1,2-Indanedione 용액에서 극성용매의 비율이 3%이하인 경우, 감열지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좋은 지문 현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일반 종이용 1,2-Indanedione 용액에서 염화아연용액은 형광과 지속성을 증강시키는 데 사용되지만, 감열지에서는 염화아연용액을 넣지 않은 용액에서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지문 분말의 자착성(auto-adhesion)에 관한 연구 (The Auto-adhesion of Fingerprint Powders)

  • 김채원;조형우;이상아;송동하;유제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579-585
    • /
    • 2017
  • 비다공성 표면에 유류된 지문을 현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분말법은 실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기법 중 하나이다. 하지만 분말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각각의 분말마다 권장되는 붓질(stroke) 횟수가 정해져 있지 않아 숙련된 과학수사요원이 잠재지문의 현출정도를 파악하면서 붓질을 해야 하며 현출한 결과물 또한 개개인마다 다르다. 지문 분말은 원료배합과 제조방법에 따라 분말 입자간 서로 붙는 성질이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성질을 자착성(auto-adhesion)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지문 분말의 자착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슬라이드 글라스에 지문을 유류한 후 분말을 각각 1회, 3회, 5회, 10회 적용하여 현출된 지문을 광학현미경으로 배율을 달리하여 관찰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일부 분말은 붓질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지문 융선이 더 진하게 현출되는 결과를 보였고 반대로 일부 분말은 약한 자착성으로 인해 붓질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지문이 흐려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각 분말들이 갖는 자착성의 다양함은 분말마다 브러쉬의 사용방법이 달라져야 한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유류된 잠재지문의 지방산조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fatty acids composition by latent fingerprint deposition)

  • 최미정;하재호;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21권3호
    • /
    • pp.212-221
    • /
    • 2008
  • 사건현장에 잔류하는 잠재지문의 효과적인 탐색 및 감식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비다공성 증거물에 잔류된 잠재지문의 지방산 조성분석을 실시하고 7개월간의 지문유류에 따른 조성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문시료는 한국인 29-50 세 남성 8인과 여성(36 세) 1명으로부터 제공받았다. 모든 지문에서는 lauric acid (C12:0), myristic acid (C14:0), palmitic acid (C16:0), stearic acid (C18:0), elaidic acid (C18:1n9t), oleic acid (C18:1n9c), linoleic acid (C18:2n6c), arachidic acid (C20:0), linolenic acid (C18:3n3), erucic acid (C22:1n9)와 docosadienoic acid (C22:2)의 11종의 지방산이 검출됨을 확인하였고, palmitic acid (35.45-48.37%), oleic acid (14.84-28.49%), stearic acid (9.71-24.96%)와 linoleic acid (7.68-18.85%)가 확인된 지방산조성의 75%이상을 차지하여 주요 구성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7개월간 온도 $20-25^{\circ}C$, 습도 40-50%의암실환경에서의장기간유류에따라총지방산의함량이 12-25% 감소하였으며, 이는 elaidic acid (C18:1n9t), arachidic acid (C20:0), linolenic acid (C18:3n3), erucic acid (C22:1n9), docosadienoic acid (C22:2)의 장쇄지방산들의 소실과 단쇄지방산인 myristic acid (C14:0), myristoleic acid (C14:1), pentadecanoic acid (C15:0)의 생성에 따른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Latent fingerprint development from rubber gloves using MMD I (Multimetal deposition I)

  • An, Jaeyoung;Kim, Heesu;Oh, Jungmin;Han, Sooyong;Yu, Jeseol
    • 분석과학
    • /
    • 제33권2호
    • /
    • pp.108-114
    • /
    • 2020
  • Gloves are very important evidence at a crime scene; specifically, rubber gloves can be found easily at homes. Therefore, crime scene investigators attempt to develop fingerprints inside the rubber gloves that are discovered, for identifying unknown suspects.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three different methods that are used for developing latent prints on gloves with aging time. These were the powder, cyanoacrylate fuming, and multi-metal deposition I methods. The powder method achieved good results for 1-3 days of aged prints, and the cyanoacrylate fuming method worked well on 2-week-old prints. In comparison, multi-metal deposition I method developed good quality fingerprints for 6 weeks of aging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