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 maturing cultivar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6초

우량품종 선발을 위한 사초용 호밀의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 평가 (Evaluati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 of Forage Rye for High-Yielding)

  • 신정남;고기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1-206
    • /
    • 2004
  • 본 시험은 가을에 파종한 조, 만생품종 사초용 호밀의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을 알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2002년 10월 3일과 2003년 10월 8일에 조생품종인 Koolgrazer을 대조품종으로 조생품종 9909, Ol-homil 및 Jlee select와 중생품종인 Homil 22 그리고 만생품종인 Danko, Kior, Amilo 및 Spooner을 각각 파종하였으며, 2003년 4월 22일과 2004년 4월 23일에 각각 수확하였다. 내도 복성은 조중생품종이 만생품종보다 다소 낮았다. 초고는 조중생품종이 만생품종 보다 길었다. $50\%$ 출수일은 조생품종이 2년 평균 4월 14일이었던 반면에 만생품종이 4월 24일로서 조생품종이 10일이나 더 빨랐다. CP 함량은 만생품종이 조생품종보다 높았으며, ADF와 NDF 함량은 조생품종이 높았다. 건물수량은 1년차 시험에서 조생품종Jlee select가 가장 높았으며(p<0.05), 9909와 Koolgrazer는 유사하였고, 중만생품종 Homil 22, Danko, Kior, Amilo 및 Spooner는 조생품종 보다 낮았다. 2년차 시험에서는 조생품종인 9909가 가장 높았으며(p < 0.05), Koolgrazer와 Ol-homil은 비슷하였고 Jlee select는 낮았고, 만생품종 Danko, Kior, Amilo 및 Spooner는 조생품종 보다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2모작 작부체계에서 추파용 호밀은 조생품종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조.만생 Orchargrass 품종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및 사료가치 비교 연구 (Growth Characteristics , Yield , and Nutritive Value of Early- and Late Maturing Cultivars of Orchargrass ( Dactylis glomerate L. ))

  • 서성;신동은;정의수;강우성;양종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7-34
    • /
    • 1997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DM) yield, seasonal yield distribution and nutritive value of early- and late maturity orchardgrass, 1990 to 1992. The cultivars used in this study were Potomac, Hallmark (early maturing cultivar) and Lidacta, Rancho (late maturing cultivar), and a mixture plot (Potomac 25% + Hallmark 25% + Lidacta 25% + Rancho 25%) was involved. The seeding rate was 20 kgha in all treatments. Plant height of Potomac and Hallmark was longer than that of Lidacta and Rancho. The dates of initial heading and 50% heading of early maturing cultivars (Apr. 30 and May 10) were 10 days earlier than those of late matuing cultivars. Potomac and Hallmark were upright, and Lidacta and Rancho were semi-upright type, and severe disease and weeds (30 ~ 40%) were observed at Lidacta plot. On an average of three years, the DM yields of Potomac (10,549 kglna), Hallmark (10,435 kg) and mixture (10,356 kg)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Rancho (9,457 kg) and Lidacta (8,218 kg). However, seasonal yield distribution of late maturing cultivars was better than that of early maturing cultivars.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fiber, nitrogen %ee extract, aude ash, neutral detergent fiber, P, K, Ca, and M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ultivars, but higher aude protein yield was found at Potomac, Hallmark and mixture plo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may be concluded that early maturing cultivars for high productivity, late maturing cultivars for seasonal yield distribution, and seeding of mixture andlor separation of early- and late maturing cultivars are recommended. Also Lidacta was a not promising cultivar due to low productivity, severe disease, and high weeds development.

  • PDF

품종 및 반전횟수가 추계수확 연맥건초의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ivar and Tedding Frequency on the Quality of Fall Harvest Oat Hay)

  • 한건준;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9-176
    • /
    • 1996
  •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cultivar and tedding frequency on changes of moisture content of oat(Avena sativa L.) hay during field drying and on quality of baled oat hay after storage.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 split-plot with the four oat cultivm such as 'Magnum', 'Cayuse', 'West' and 'Murray' as main plots and the two tedding frequencies such as 1 or 3 times a day as subplots in three replications. Moisture content of fresh cut oat cultivar was higher in the order of 'Magnum', 'Cayuse', 'West', and 'Murray' and the moisture content difference among the cultivm was maintained to the final curing day(P< 0.05). Moisture loss from the oat hay during the last 3 curing days was greater with 3 tedding a day than I tedding a day. Temperature of baled oat hay began to rise critically from the 6th day of storage and wa5 highest in 'Magnum' oat cultivar($45.3^{\circ}C$). Total nitrogen and ADIN contents of late maturing oat hay 'Magnum' and 'Cayuse' were higher than those of early maturing 'Murray' and 'West'. Tedding frequency did not influence total nitrogen and ADIN contents. ADF and NDF contents of early maturing oat hay were higher than those of late maturing oat hay. Relative feed value (RFV) of 'Magnum' oat hay was the highest(l06) and classified as Grade 2 in forage quality standard. Quality grade difference between early and late maturing oat cultivan was only 1 or 2.

  • PDF

춘계 파종시기가 조.만생 연맥의 생장 , 사초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ring Seeding Dates on Growth , Forage Yield and Quality of Early and Late Maturing Oat Cultivars)

  • 김종림;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1-122
    • /
    • 1992
  • 본 시험은 조.만생 사초용 봄연맥의 봄파종시기가 생장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1년 3월부터 6월까지 서울 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실험목장의 사초시험포장에서 실시 되었으며, 만생 Cayuse 품종과 조생 Speed oat 품종을 주구로 하고, 파종시기(3월 15일.22일,29일, 4월 5일 ,12일)를 세굴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으며 겨고는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파종기가 7일씩 늦어짐에 따라서 출수시작일은 3일에서 8일까지 빨라졌으며 조생 Speed oat 품종이 만생 Cayuse 품종에 비해서 14일이 빨랐다. 2. 수확시 사료가치는 조단백질(CP) 및 산성세제불용 섬유소(ADF),중성세제 불용 섬유소(NDF) 및 in vitro 가소화 건물(IVDMD)이 각각 Cayuse 품종이 19.6, 30.0, 44.9, 82.7%를 기록하였고, Speed oat 품종이 14.8, 33.3, 52.3, 71.2%를 기록하였다. 조단백질 함량과 in vitro 건물소화율은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증가하였던 반면. 조섬유 함량은 감소하였다. 3. 5월 29일에 수확한 결과 평균 건물 수량과 IVDDM 그리고 조단백질 수량은 각각 만생품종인 Cayuse가 2,960kg. 2,2435kg, 572kg이었고, 저생품종인 Speed oat가 3,255kg,2298kg,475kg이었다. 파종기별로는 3월 15일 ,22일, 29일까지의 파종시 건물술량에 있어서 유의성이 없었고 그 이후에는 ha당 약1 ton의 수량감소가 있었다. 또한 연맥품종과 파종기간에 있어서 교효작용은 유의 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4. 최대 엽면적 지수 (LAI)와 엽적(LAID)은 파종시기가 이를수록 높았고 생육상태가 진행될수록 만생 Cayuse 품종이 소생 Speed oat 품종에 비해소 2~3배가 높게 나타났다. 5. 파종시기가 이를수록 작물생장률 (CGR)은 만생 Cayuse품종의 경우 계속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조생 Speed oat 품종은 5월 29일 이후에 감소함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Speed oat 품종의 순동화률 (NAR)에서도 나타났다. 이상에서 얻어진 시험결과를 종합하면 봄연맥은 조생품종을 선택하여 3월 중에 파종하는 것이 사초로서의 생산에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태풍에 의한 벼 잎 파열의 품종간 차이 및 잎 파열이 수량과 미질에 미치는 영향 (Variation in Leaf Mechanical Damage by Typhoon among Rice Cultivars: Effects on Yield and Rice Quality)

  • 홍광표;김영광;정완규;손길만;송근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99-206
    • /
    • 2004
  • Typhoon "MAEMI", happened in September 2003, hit the great damage to Gyeongnam province area. Especially, rice plant was lodged or severe leaf damage was caus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xtents of leaf damage among different rice cultivars, and to evaluate rice yield and eating quality due to leaf damage after typhoon. Rice cultivars torn off over half of the flag leaf length (FLL) were one medium-late maturing cultivar (Donginl), medium maturing cultivar (Yeonganbyeo), eight early maturing cultivars (Samcheonbyeo, Jounghwnbyeo, Munjangbyeo, Taebongbyeo, Odaebyeo, Samhaegbyeo, Sobaegbyeo, Sinunbongbyeo), two long-il type cultivars (Samgangbyeo, Namcheonbyeo), and three special use cultivars (Heukseonchalbyeo, Jinbuchalbyeo, Yangjobyeo). Cultivars torn off below 1/10 FLL were eight medium-late maturing cultivars (Chucheongbyeo, Daecheongbyeo, Saechu cheongbyeo, Donganbyeo, Daeyabyeo, Hwamyeongbyeo, 방eongsanbyeo, Dongjinbyeo) and two medium maturing cultivays (Donghaebyeo, Gumobyeo2). The rest cultivars were tore off by 1/10∼1/2 ELL. In yield components, the longer was flag leaf damage, the lower was ripened grain ratio, grain weight and brown/rough rice ratio, which was severly impacted to late than to ordinary season cultivation. However, rice yield did not decrease up to tearing by 1/10 ELL. Head rice ratio decreased from flag leaf tearing over 1/10 ELL in late season cultivation. The longer was flag leaf damage, the lower was eating quality, which could not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Rice cultivars adaptable for rice based cropping systems in a paddy field in the Yeongnam plain area of Korea

  • Kim, Sang-Yeol;Seo, Jong-Ho;Bae, Hyun-Kyung;Hwang, Chung-Dong;Ko, Jong-Min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3호
    • /
    • pp.355-363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uitable rice cultivars for various rice based cropping systems in a paddy field in the Yeongnam plain area. Thirteen rice cultivars (5 early, 3 medium and 5 mid-late maturing cultivars) and three transplanting dates (June 5, June 25 and July 5)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The mid-late and early maturing cultivars for the July 5 and June 25 transplanting headed before August 30 which is the safe heading date in the Yeongnam plain area, ranging from Aug. 26 - 28 and Aug. 18 - 23, respectively. The safe harvest time of rice for double and triple cropping systems should be before the middle of October for the cultivation of the succeeding winter crops. The rice yield was the highest for the June 5 transplanting regardless of the rice cultivars, and it gradually decreased as the transplanting date was delayed from June 5 to July 5 due to a decrease in the spikelet numbers per panicle number and in the ripened grain rate. In contrast, the other yield parameters that include the panicle number per $m^2$, the 1,000-brown rice weight, and the ripened grain ratio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The result indicates that based on the milled rice, heading time and harvest time, a medium maturing cultivar (Haiami and Samdeog) would be applicable to a winter barley/wheat, garlic/onion-summer rice double cropping, while a mid-late cultivar (Saeilmi, Saenuri and Hyunpoom) would be suitable for a spring potato/waxy corn-summer rice double cropping in the Yeongnam plain area. On the other hand, an early maturing cultivar (Unkwang, Jokwang and Haedamssal) would be preferable for a triple cropping because of the short growth period of rice.

Effect of Rice Transplanting Date and Optimal Transplanting Dates for Mid-Plain Area in South Korea

  • Shingu Kang;Woonho Yang;Dae-Woo Lee;Jong-Seo Cho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59
    • /
    • 2022
  • The transplanting date of rice affects grain yield and quality, and it is changed by the environment during cultivation. Thus, it is important to provide the optimal transplanting dates for rice growers under global warming environment. In this study, transplanting date experiments with thirty-day-old seedlings of three cultivars (early, mid, and mid-late maturity) were conducted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in Suwon from 2018 to 2021 to determine the optimal transplanting dates for and quantify the effect of planting dates on yield and quality. Transplanting date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culitvar across every year. Clear relationships between transplanting date and head rice yield in early and mid-late maturing rice varieties were observed, and the highest head rice yields were observed during transplantings in mid and late June for early maturing cultivar and mid June for mid-late maturing cultivar. It is obvious that the optimal rice transplanting dates have been shifted and are better later than the optimal transplanting dates in 2002-2004. Days to heading was also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transplanting date and cultivar with 89% of the variation explained. Days to heading was reduced in the later transplanting dates. Grain yield was strongly associate with biomass production during ripening(R2=0.85), however translocated biomass from leaf and stem showed little association with grain yiel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reconfirmed the importance of shifting optimal transplanting dates to maximize head rice yield for the Mid-plain area in South Korea.

  • PDF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고품질 중생 벼 '해품' (Bacterial Blight-Resistant Medium Maturing Rice Cultivar 'Haepum' with High Grain Quality)

  • 남정권;박현수;백만기;조영찬;김우재;김정주;김보경;김기영;신운철;고종철;이건미;박슬기;이창민;김춘송;서정필;이점호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22-233
    • /
    • 2019
  • '해품'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우리나라 중만생종에 편중된 벼 농사의 문제점을 완화하여 수확기 노동력 분산, 수확 후 관리의 유연성 확보, 이모작 재배의 확대를 위해 품질, 수량, 재배안정성이 향상된 중생종 벼 품종을 개발하고자 육성되었다.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고품질 '익산493호'(품종명 '진백')를 모본으로 하고 복합내병충성 '익산495호'('다청')와 단간 내 도복 직파적응성 '익산496호'('중모1005')를 교배한 F1을 부본으로 삼원교배한 F1을 약배양하여 계통육성과정, 생산력 검정시험 및 지역적응성 검정시험을 거쳐 육성되었다. '해품'은 보통기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 8월 11일로 '남평'에 비해 3일 정도 빠른 중생종이다. '해품'은 간장이 73 cm로 '남평'보다 8 cm 작은 단간 품종으로 도복에 안정적인 특성을 나타내며, '남평'과 비슷한 내수발아성을 갖추고 있어 중생종 품종의 남부평야지 재배 시 수발아 피해를 경감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해품'은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 Xa3과 xa5 두 개가 집적되어 있어 병원성이 강한 벼흰잎마름병균 K3a균계까지 저항성이며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하고 도열병에 중도저항성을 나타내는 복합 내병성 품종이다. '해품'은 중만생종에 비해 수확기가 빠른 중생종임에도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남평'과 비슷한 수량성을 나타냈으며, 이모작 재배시험에 적용 가능한 수량성을 나타냈다. '해품'은 쌀의 외관품위가 좋고 밥맛이 우수하여 최고품질 품종에 선정되는 등 중생종 품종 및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품종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였다. '해품'은 최고품질에 적정수량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내수발아성,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등 재배안정성이 향상된 중생종 품종으로 남부평야지 및 벼흰잎마름병 발병상습지 재배에 적합하다(품종보호권 등록번호: 제6068호, 2016. 5. 3.).

수확시기와 품종이 추파연맥의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Harvest Date and Cultivar Effects on Forage Yield and Quality of Fall Sown Oat)

  • 이강세;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9-346
    • /
    • 1999
  • 본 시험은 수확시기 및 품종이 추파 인맥(Avena sativa L.)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3년 8월 26일부터 11월 1일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실험목장의 사초시험포장에서 실시되었으며, 수확시기로서 조기(10월 11일), 중기(10월 21일) 및 만기(11월 1일)를 주구로 하고, 품종('west', 'Cayuse' 및 'Magnum')을 세구로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배치 하였다. West 품종만이 10월 10일에 첫 출수를 하였으며, 만기수확시기에는 30%의 출수율을 보였다. 건물 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12,8%에서 15.9%로 증가하였으며(p<0.01), West, Cayuse 및 Magnum 품종이 각각 15.4, 13.4 및 13.5%의 건물률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20.1%에서 13.3%로 감소하였으며(P<0.01), 중생종과 만생종인 Cayuse와 Magnum이 조생종인 West보다 2% 더 높은 조단백질 함량을 나타내었다(p<0.01). ADF와 NDF 함량은 중기수확기에 가장 높았으며, 조생종인 West가 중생종과 만생종인 Cayuse나 Magnum에 비해서 더 높은 ADF, NDF 함량을 나타내었다. West의 in vitro 건물소화율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감소하였으며, Cayuse와 Magnum은 중기수확기까지만 감소하였다. Cayue와 Magnum 품종이 West에 비해서 3~4% 더 높은 in vitro 건물소화율을 나타내었다. in vitro 소화율과 ADF 함량간에는 -0.86의 높은 부(負)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매수확시기별 ha당 평균 건물수량은 2,901kg에서 5,901kg로 증가하였으며(p<0.01), 품종간의 유의성은 없었다(p<0.05). 건물수량과 유효적산온도(GDD)간의 상관관계는 +0.86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할 때 추파연맥을 재배시 건물수량의 증수를 위해서 수확시기를 늦추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중생종과 만생종인 Cayuse와 Magnum은 수확시기를 늦추어도 사료가치의 큰 변화없이 건물수량 증수가 가능할 것이다.

  • PDF

내도복 복합내병 최고품질 중만생 벼 '예찬' (High Grain Quality Mid-late Maturing Rice Cultivar 'Yechan' with Lodging Tolerance and Multiple Disease Resistance)

  • 백만기;박현수;남정권;조영찬;김기영;김정주;김우재;신운철;정지웅;김춘송;정종민;이건미;박슬기;이창민;서정필;이점호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504-514
    • /
    • 2019
  • '예찬'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재배안정성이 확대된 최고품질 중만생 벼 품종을 개발하고자 육성되었다. 단간 내도복이면서 밥맛이 좋은 최고품질 중만생 벼 '호품'을 모본으로 하고 복합내병성으로 내수발아성을 갖춘 최고품질 중생 벼 '해품'을 부본으로 단교잡 인공교배하여 육성되었다. 조기에 고정계통을 확보하고자 F1 식물체를 약배양하여 계통육성과정 중 최고품질 벼 선정 기준에 선발압을 두고 우량계통을 선발하여 생산력 검정시험과 지역적응성 검정시험을 거쳐 육성되었다. '예찬'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 8월 14일로 '남평'에 비해 1일 늦은 중만생종이다. '예찬'은 간장이 66 cm로 '남평'보다 9 cm 작은 단간 품종으로 도복에 안정적인 특성을 나타냈다. '예찬'은 도열병, 벼흰잎마름병 및 줄무늬잎마름병 등 벼의 삼대병에 모두 강한 복합내병성 품종이며, 특히 병원성이 강한 벼흰잎 마름병 K3a 균계까지 저항성을 갖추고 있어 최고품질 중만생벼 품종의 내병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량성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중만생 벼 표준품종인 '남평'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 적정 수량성을 갖추고 있다. '예찬'은 쌀의 외관품위와 도정 특성이 좋고 밥맛이 우수하여 최고품질 품종에 선정되었다. '예찬'은 내도복성과 복합내병성을 갖춘 최고품질 벼 품종으로 남부평야지 재배에 적합하며 우리나라 밥쌀용 벼 품종의 품질 향상과 재배안정성 확대를 위한 육종사업에 활용되고 있다(품종보호권 등록번호: 제7647호; 2019.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