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acterial Blight-Resistant Medium Maturing Rice Cultivar 'Haepum' with High Grain Quality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고품질 중생 벼 '해품'

  • 남정권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박현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백만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조영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우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정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보경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기영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
  • 신운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고종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이건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박슬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이창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춘송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서정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이점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Received : 2019.06.03
  • Accepted : 2019.07.15
  • Published : 2019.09.01

Abstract

'Haepum' is a bacterial blight-resistant, medium maturing rice cultivar with high grain quality. It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Iksan493' (cultivar name 'Jinbaek') and the F1 cross between 'Iksan495' ('Dacheong') and 'Iksan496' ('Jungmo1005'). Of these three cultivars, 'Jinbaek' is a bacterial blight-resistant mid-late maturing rice cultivar with high grain quality, 'Dacheong' is a mid-late maturing rice cultivar with multiple resistance to disease and insects, and 'Jungmo1005' is a mid-late maturing rice cultivar with lodging tolerance. To develop fixed lines, the anther culture method was applied to F1 plants. The cultivar 'Haepum' was selected using the pedigree method, yield trials, and local adaptability tests. The heading date of 'Haepum' was August 11th, three days earlier than that of 'Nampyeong' cultivar. Haepum' is a cultivar tolerant to lodging and it has short culms. Due to its low rate of viviparous germination, 'Haepum' could be useful for preventing pre-harvest sprouting in cultivation of medium maturing rice in the southern plain area of Korea. 'Haepum' carries two bacterial blight resistance genes (Xa3 and xa5), and in our study, it exhibited high-level and broad-spectrum resistance against bacterial blight, including K3a, the most virulent race in Korea. 'Haepum' is also resistant to the rice stripe virus and moderately resistant to rice blast. The yield of 'Haepum' was similar to that of 'Nampyeong'. 'Haepum' showed excellent grain appearance and good taste of cooked rice, and therefore it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acterial blight-resistant rice cultivars of improved quality. 'Haepum' would be suitable for cultivation in the southern plain area of Korea as well as in bacterial blight-prone areas. (Registration No. 6068)

'해품'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우리나라 중만생종에 편중된 벼 농사의 문제점을 완화하여 수확기 노동력 분산, 수확 후 관리의 유연성 확보, 이모작 재배의 확대를 위해 품질, 수량, 재배안정성이 향상된 중생종 벼 품종을 개발하고자 육성되었다.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고품질 '익산493호'(품종명 '진백')를 모본으로 하고 복합내병충성 '익산495호'('다청')와 단간 내 도복 직파적응성 '익산496호'('중모1005')를 교배한 F1을 부본으로 삼원교배한 F1을 약배양하여 계통육성과정, 생산력 검정시험 및 지역적응성 검정시험을 거쳐 육성되었다. '해품'은 보통기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 8월 11일로 '남평'에 비해 3일 정도 빠른 중생종이다. '해품'은 간장이 73 cm로 '남평'보다 8 cm 작은 단간 품종으로 도복에 안정적인 특성을 나타내며, '남평'과 비슷한 내수발아성을 갖추고 있어 중생종 품종의 남부평야지 재배 시 수발아 피해를 경감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해품'은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 Xa3과 xa5 두 개가 집적되어 있어 병원성이 강한 벼흰잎마름병균 K3a균계까지 저항성이며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하고 도열병에 중도저항성을 나타내는 복합 내병성 품종이다. '해품'은 중만생종에 비해 수확기가 빠른 중생종임에도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남평'과 비슷한 수량성을 나타냈으며, 이모작 재배시험에 적용 가능한 수량성을 나타냈다. '해품'은 쌀의 외관품위가 좋고 밥맛이 우수하여 최고품질 품종에 선정되는 등 중생종 품종 및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품종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였다. '해품'은 최고품질에 적정수량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내수발아성,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등 재배안정성이 향상된 중생종 품종으로 남부평야지 및 벼흰잎마름병 발병상습지 재배에 적합하다(품종보호권 등록번호: 제6068호, 2016. 5. 3.).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연구사업(세부과제명: 남부평야지 적응 중만생 고품질 벼 품종개발, 세부과제번호: PJ011872012019)의 지원으로 수행된 결과의 일부입니다. 품종을 육성함에 있어 협력하여 주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연구정책국, 농촌지원국 및 각도 농업기술원 관계관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