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guage translation

검색결과 560건 처리시간 0.028초

초등 고학년 교과서에 나타난 희곡교육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teaching drama in elementary and upper grade textbooks)

  • 이철우
    • 공연문화연구
    • /
    • 제43호
    • /
    • pp.203-228
    • /
    • 2021
  • 본 논문은 초등 고학년 교과서 '연극을 즐겨요'에 나타난 희곡교육 방법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희곡을 제외한 다른 교과과정의 교육방법은 '장르이해 - 작품감상 - 작품창작'의 순서로 제시되었다면, 희곡교육의 방법은 '장르이해 - 작품창작 - 작품감상'의 순서로 제시되고 있다. 이런 교육과정은 '연극'이 갖는 교과목과의 연계학습을 고려한다 하더라도 자칫 '창작'이 주는 '부담감'을 학생들이 안을 수 있고, '구어'에 대한 이해과정을 간략화함으로써 오히려 '우리말'의 특성이나 매력을 학생들이 체감하기 어렵게 만들 수도 있다. 이런 체계화는 초등 고학년 교과서의 과정을 통해 '연극'을 표현하는 문제에는 부합할 수 있지만, 학생들에게 '연극'을 통해 구체적으로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에 대한 생각을 이끄는 데에는 아쉬움이 남는다는 것이 본 연구결과다. 또한,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도록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학생들에게 자율적인 표현방법을 깨닫게 하는 표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한편으로는 감정의 공감을 먼저 공유하고 이 같은 감정에 대해 이해하며, 이를 근거로 감정의 표현방법을 통해 개성적인 표현법을 익히게 함으로써 표현과 감정을 유추할 수 있는 훈련과 공유되는 감정을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과정 역시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연극'을 통해 정서적인 감정의 공유와 표현, 공연하는 과정을 통한 협동과 분업을 통한 참여 등등 학생들이 학습해야 하는 학습뿐만 아니라 이 교육과정을 통해 '희곡'에 대한 이해와 '우리말'에 대한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수업과정으로 발전되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A Silk Road Hero: King Chashtana

  • ELMALI, MURAT
    • Acta Via Serica
    • /
    • 제3권2호
    • /
    • pp.91-106
    • /
    • 2018
  • During the Old Uighur period, many works were translated into Old Uighur under the influence of Buddhism. Among these works, literary works such as $Da{\acute{s}}akarmapath{\bar{a}}vad{\bar{a}}nam{\bar{a}}l{\bar{a}}$ hold an important place. These works were usually translated from Pali to Sanskrit, from Sanskrit to Sogdian, Tocharian and Chinese, and to Old Uighur from these languages. These works which were added to the Old Uighur repertoire by translation indicate that different peoples along the ancient Silk Road had deep linguistic interactions with one another. Aside from these works, other narratives that we have been so far unable to determine whether they were translations, adaptations or original works have also been discovered. The Tale of King Chashtana, which was found in the work titled $Da{\acute{s}}akarmapath{\bar{a}}vad{\bar{a}}nam{\bar{a}}l{\bar{a}}$, is one of the tales we have been unable to classify as a translation or an original work. This tale has never been discovered with this title or this content in the languages of any of the peoples that were exposed to Buddhism along the Silk Road. On the other hand, the person whom the protagonist of this tale was named after has a very important place in the history of India, one of the countries that the Silk Road goes through. Saka Mahakshatrapa Chashtana (or Cashtana), a contemporary of Nahapana, declared himself king in Gujarat. A short time later, Chashtana, having invaded Ujjain and Maharashtra, established a powerful Saka kingdom in the west of India. His descendants reigned in the region for a long time. Another important fact about Chashtana is that coinage minted in his name was used all along the Silk Road. Chashtana, who became a significant historical figure in north western India, inspired the name of the protagonist of a tale in Old Uighur. That it is probable that the tale of King Chashtana is an original Old Uighur tale and not found in any other languages of the Silk Road brings some questions to mind: Who is Chashtana, the hero of the story? Is he related to the Saka king Chashtana in any way? What sort of influence did Chashtana have on the Silk Road and its languages? If this tale which we have never encountered in any other language of the Silk Road is indeed an original tale, why did the Old Uighurs use the name of an important Saka ruler? Is Saka-Uighur contact in question, given tales of this kind? What can we say abou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geography of the Silk Road, given the fact that coinage was minted in his name and used along the Silk Road? In this study, I will attempt to answer these questions and share the information we have gleaned about Chashtana the hero of the tale and the Saka king Chashtana. One of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rrative hero Chashtana and the Saka king Chashtana according to this information. Another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Saka, the Uighur and the Silk Road an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hree important subjects of history. The importance of the Silk Road will be emphasized again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se relations. In this way, new information about Chashtana, who is an important name in the history of the India and the Silk Road, will be put forward. The history of the Sakas will be viewed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rough the Old Uighur Buddhist story.

과학기술전문정보서비스 품질평가 및 이용자 정보요구 분석 (Quality Evaluation of the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s and Its User Study)

  • 문성빈;최인숙;최상희;이성숙;장혜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33권1호
    • /
    • pp.31-47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전문정보 이용자들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이용자 중심 서비스에 대한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국내 과학기술전문정보에 대한 이용자 중심의 품질평가와 일반 과학기술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기대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품질평가 조사는 한국과학기술정보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과학기술전문정보 데이터베이스 검색서비스 BIST와 SATURN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검색결과의 정확성, 검색성, 사용자지원성은 BIST가 약간 높았으며 완전성에서는 SATURN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최신성 평가에서는 BIST가 신속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검색결과 평균건수는 SATURN이 더 많았다. 이용자 요구사항 분석은 일반 과학기술전문이용자에게 설문조사를 하여 전반적인 국내 과학기술전문정보 이용환경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자료유형은 국외 학술지로 나타났고 최신성, 원문입수방법, 정보서비스 선택기준 등에서는 모든 이용자 유형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외국어 정보검색시 번역 지원도와 필요로 하는 도움말의 유형 선호도에 있어서 이용자 유형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전문정보 품질평가와 전반적인 이용환경 조사를 병행하여 특정 서비스 품질평가가 내포하는 구체성과 과학기술이용 커뮤니티의 일반성을 동시에 수용하고자 하였다.

XQL-SQL 질의 변환을 통한 XQL 질의 처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XQL Query Processing System Using XQL-SQL Query Translation)

  • 김천식;김경원;이지훈;장복선;손기락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5호
    • /
    • pp.789-800
    • /
    • 2002
  • XML이 웹 문서의 표준이며, 문서교환용 언어로서 사용되고있다. 상업용 데이터는 대부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고 이들 문서를 교환용 문서로 만들어서 문서교환에 이용하거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XML데이터에 XQL로 질의하여 질의결과를 효율적으로 획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향후 많은 XML데이터의 보관 및 관리 그리고 XML데이터를 위한 질의어 처리는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XML데이터의 저장 및 검색과 관련한 연구 및 제품개발이 여러 업체에 의해 있어왔고, 지금도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효율적인 XML데이터의 저장 및 검색을 위한 시스템은 아직까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경로 질의를 위한 DFS-Numbering 방식을 사용하며, 효율적인 데이터 저장을 위해서 XML 데이터 저장을 위한 스키마를 설계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이용한 효율적인 XQL 질의수행 방법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즉, 사용자가 시스템에 XQL로 질의를 하면 XQL 처리기에 의해서 XQL이 SQL로 변환되고, SQL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질의를 수행하면, 결과로 레코드를 반환한다. 이때 XML 생성기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n문서를 반환한다.

간호결과분류체계(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s)의 한글 명명화에 대한 타당성 연구;260개 간호결과명을 중심으로 (Validation of Korean Nomenclature of NOC;Focused on 260 Outcomes)

  • 유형숙;장인순;전미순;김희걸;남혜경;박연숙;김옥현;박혜자;황윤영;이정희;이미자;최은희;이인순;이순희;염영희;지성애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21-238
    • /
    • 200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the validity of the standardized Korean nomenclature of 260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NOC) developed by Johnson and Mass at University of Iowa in 2000. Method: The four phases of the study were: (1) translation of the NOC into Korean by the Research Team, (2) nine nursing professors and nurses with various clinical backgrounds reviewed each nomenclature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definitions and outcome indicators. The modified Delphi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most appropriate nomenclature for each term, (3) 307 Clinical expert nurses more than three years field experiences were given a questionnaire to rate each Korean nomenclature using a 5 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very inappropriate to very appropriate, and (4) final accordance of Korean Nomenclature. Result: The team determined that 260 Korean nomenclature was appropriately named. because the mean validity score of 260 outcomes was 3.90 and each of 260 Korean nomenclature had a score more than 3.00. Conclusion: Korean nomenclature of NOC can be used as a standardized language of nursing result in a computerized nursing information system.

  • PDF

간호진단의 임상적용 현황, 문제점 및 개선방안 (The Use of Nursing Diagnosis in Practice)

  • 박신애;강현숙;문희자;김광주;이향련;조미영;조결자;김윤희;김귀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4-39
    • /
    • 198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related to the use of nursing diagnosis in practice. The data were obtained from 332 subjects (27 director of nursing service, 302 staff nurses) who worked in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from July through August 1988 using a mail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X$^2$ test and t-tes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1, Clinical use of nursing diagnosis by directors of nursing service and staff nurses. 1) The majority of the nursing departments (88.9%) conducted group education on nursing diagnosis during the last 5 years and 81.5% of them kept a record format for nursing diagnosis : 88.9% of them had had prior experience with the nursing diagnosis. 2) Most of nurses (97.0%) had received education on nursing diagnosis. 2. Factors related to the clinical use of nursing diagnosis in nursing service departments and by staff nurses. 1) The one factor related to the use of nursing diagnosis in the nursing service department was the existence of a record. 2) Factors related to the use of nursing diagnosis by the staff nurses were the organization style of the nursing service department, group education during the last 5 years, existence of a record, the attitude of the director of nursing service, and prior experience of the use of the nursing diagnosis as characteristics of nursing service department and educational experience of nursing diagnosis as a character of nurse. 3. Problems with the use of nursing diagnosis. 1) The primary problem was the lack of time and personnel (mean : 3.757) ; the second problem was the lack of knowledge and will to use nursing diagnosis in practice by the staff nurses(mean : 3.546).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s expressed by the director of nursing services and the nurses. The majority of nurses who worked in the university hospitals expressed interest in and concern about the use of nursing diagnosis. Most of the nurses had had education about on nursing diagnosis but use in practice was limited. The primary problem was lack of time and manpower. Strategies for improving use of the nursing diagnosis in practice : 1) Strengthening the education about nursing diagnosis and a holistic approach to understanding human beings. 2) Develop protocols for the use of nursing diagnosis. 3) Eliminate the language barrier regarding nursing diagnosis by translation into in Korean. 4) Decentralization of the nursing service to promote accountability by individual nurses for use of nursing diagnosis.

  • PDF

한국판 농인 문화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for Korean Version of Deaf Acculturation Scale)

  • 음영지;박지은;손선주;엄진섭;손진훈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3호
    • /
    • pp.55-7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농인 문화적응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Maxwell-McCaw와 Zea(2011)의 농인 문화적응 척도(Deaf Acculturation Scale)를 국내 농인에 적절하게 번안하여 예비문항을 만들었다. 척도는 농문화적응과 청인문화적응, 두 가지 하위척도로 구분하여 농인들의 문화적응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었다. 최종적으로 농문화적응 하위척도 25문항, 청인문화적응 하위척도 25문항으로 구성된 한국판 농인 문화적응 척도가 개발되었다. 농문화적응 하위척도 4개의 요인, 청인문화적응 하위척도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척도의 내적 일관성 계수인 Cronbach's ${\alpha}$는 농문화적응 하위척도가 .93이었고, 청인문화적응 하위척도가 .93로 높은 값을 보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농문화적응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 연령, 청각장애 시기와 장애 급수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공존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집단 자아존중감 척도(Collective Self-Esteem Scale)와의 상관분석으로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논의에는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동물실험에서 인삼의 항비만 효과: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을 위한 연구 프로토콜 (Anti-Obesity Effect of Panax Ginseng in Animal Models: Study Protocol fo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조재흥;김고운;박혜성;윤예지;송미연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7-45
    • /
    • 2017
  • 최근 비만이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면서 임상 연구의 해석에 필요한 중요 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는 동물 모델을 이용한 생리학적 기전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삼은 많은 동물 실험에서 항비만 또는 항당뇨 효과가 보고되었으나 인체의 임상에서 비만을 연구한 논문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신체계측치수와 대사지표를 활용한 동물 모델에서의 인삼의 항비만 효과의 근거수준을 평가하고자 한다. 전임상 단계에서 비만에 대한 인삼의 효과를 연구한 대조군 연구, 비교 연구를 포함시키고자 한다. 실험적으로 비만을 유도하는 도중 혹은 이후에 인삼을 투여하고, 일차평가변수는 신체계측치수, 이차평가변수는 지방조직의 무게, 섭취음식의 총량, 대사지표 등을 포함한다. 언어, 출판일 등 특별한 제한 없이 MEDLINE, Embase, PubMed, Web of Science, Scopus를 통해 논문 검색을 시행한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 수집은 개인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며,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없으므로 윤리적 승인 대상에서 제외된다. 연구의 전체과정을 수행한 후 연구결과는 연관 저널에 출간하거나 관련 학회에 발표할 예정이다. 본 연구 프로토콜은 the Collaborative Approach to Meta-Analysis and Review of Animal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CAMARADES) website (http://www.camarades.info)에 등록되었다.

통사화용의 접합면에서 본 영어 헤지표현의 유형과 기능 (Types and Functions of English Hedges at a syntax-pragmatics Interface)

  • 홍성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381-388
    • /
    • 2020
  • 본 논문의 목적은 주로 사회언어학과 화용론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영어 '헤지(Hedges)' 혹은 헤지표현을 형태통사적 관점과 화용적 관점을 연관지어 논의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지표현이 없는 자연언어는 없다'는 추론이 가능한데, 그것은 어떤 자연언어에나 공손성, 혹은 화자가 청자보다 낮은 자세로 말하고자 하는 문법기제가 있음이 널리 인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헤지에 대한 기존의 이론적 연구는 주로 화용적 관점에서 헤지의 유형 분류와 화용적 기능, 그리고 출현빈도 비교 등의 수준에 그치고 있다. 즉, 헤지표현을 형태통사적 개념인 자질로 나타내려는 시도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언어현상으로서의 헤지는 유무에 따라, 화용부와 통사부의 접합면에서 [+hedged]와 [-hedged]로 이분지화 가능하며, 이 화용자질은 형태통사부와 상호작용 하므로 협의의 통사부에서 분리될 수 없다. 본 논문에서, 헤지는 공손성이 표현되는 화용자질로서, 그 자질이 표시되는 접합면 영역이 구조적으로 있음을 지적하였다. 즉, CP+층위가 화용자질인 헤지자질이 인코딩되는 영역임을 제안하였다. 최근에는 범언어적 관점에서 혹은 영어교육의 학술적 EFL/ESL 글쓰기, 또는 담화분석 등에 헤지 표현의 식별 여부나 용례를 연구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은 그동안 간과되어온 동등접속문, 병렬종속문, 부분사 구문 등을 헤지에 포함시키고, 보다 구조적이고 이분지적(±)인 방식을 제안함으로서, 제2언어습득의 이해,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혹은 인공지능 자연언어 알고리즘에 화용 자질을 도입할 수 있는 구조적이고 이론적인 기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병렬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위한 시각 환경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sual Environment for Parallel Object-Oriented Programming)

  • 최숙영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485-496
    • /
    • 1999
  • 병렬 프로그래밍은 프로세스간의 통신과 동기화 문제, 병렬 시스템의 구성 형태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순차 프로그래밍에 ?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 효율적인 병렬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와 컴파일러간의 상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로써 병렬 객체지향 표기언어 POOSL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사용자 입장에서 볼 때 병렬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해 POOSL의 문법 구조를 염두에 두고 텍스트 중심의 프로그램을 작성한다면 여전히 부담스러운 작업이 될 것이다.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텍스트보다는 시각적인 프로그래밍 환경이 더욱 효율적이고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OOSL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좀더 쉽고, 편리하게 병렬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시각 환경으로써 VEPO(Visual Environment for Parallel Object-Oriented Programing)를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사용자가 병렬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있어 문제에 내재된 병렬성을 객체지향 개념에 입각하여 시각적으로 자연스럽게 표현하도록 하고, 병렬 프로그램 개발에 관련된 과정들을 하나의 환경을 통합시킴으로써 편리한 프로그램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VEPO는 병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단계들로써 프로그램 기술 단계, 실행 단계, 실행 과정의 시각화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시각 프로그래밍의 장점을 충분히 살릴 수 있도록 여러 개념들이 지원되고 있다. 특히, 병렬 프로그램에서 복잡하고 까다로운 통신과 동기화에 관련된 코드 등은 번역 과정에서 여러 개념들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병렬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따르는 부담감을 줄 일 수 있도록 한다. 본 시스템은 PC를 호스트로 연결한 트랜스퓨터들로 구성된 병렬 컴퓨터 MC-3에서 구현되었다. VEP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Visual C++로 구현되었고, VEPO에서 작성된 시각 프로그램은 Inmos C 코드로 번역되어 MC-3에서 수행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