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3초

위스타트(We Start)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수용.표현 언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We Start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in Multi-Cultural Families)

  • 방소영;황혜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7호
    • /
    • pp.51-6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language level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whether the language level of these children would be in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We Start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 The subjects were 30 36-75-month old children attending daycare centers in Ansan city, South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level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low compared to those of other children, and that their expressive language level was evaluated more negatively than their receptive language level. After participating in the 'We Start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 language test scores, language age and language percentile rank were all increased. It was also found that the developmental language level of multi-cultural children increased, and that of the children that had a language delay or language disorder decreased.

말 언어 지연을 보인 소아에서 원인에 따른 말 언어 치료의 효과 (The Efficac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or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Delays according to the Eiologies)

  • 김준범;서진순;김영훈;정승연;이인구;황경태;이병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9호
    • /
    • pp.924-928
    • /
    • 2005
  • 목 적 : 최근에 말 언어 지연 소아의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는 말 언어 지연을 보인 소아의 임상적인 특징과 6개월 동안의 언어 치료 후 원인질환에 따른 예후를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4년 3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정부 성모병원 소아과에 말 언어 지연을 보여 내원한 환아 중 6개월 동안 말 언어 치료를 받은 56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56명의 질환별 분포는 발달성 언어 장애가 66.1%로 가장 많았고 구조적 이상 19.6%, 정신 지체 12.5%, 청력 이상 1.8% 순이었다. 남녀 비는 4.6 : 1이었으며, 환아의 연령별 분포는 47개월 이상이 가장 많았다. 의미 있는 첫 단어의 평균 출현 시기는 15.9개월이었다. 평균 재태기간은 39.8주로 만삭아 96.4%, 미숙아 3.6%으로 만삭아가 많았다. 형제 순서는 첫째 51.8%, 둘째 24명, 셋째 7.1%으로 첫째가 가장 많았다. 6개월간의 언어 치료 후 추적 검사 결과, 발달성 언어 장애아의 경우 32.4%가 정상적인 언어 발달을 보였다. 정신 지체의 경우 추적검사 결과 모두에서 언어 지연이 지속되었다. 구조적 이상 11명 중 5명이 정상적인 언어 발달을 보였다. 결 론 : 언어 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소아의 연령이 늦은 것은 이 지역 언어 지연 소아를 대상으로 한 언어 발달 선별 검사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9번 염색체 전위를 지닌 환아들의 정신과적 특성 - 예비적 연구 - (PSYCHIATRIC CHARACTERISTICS OF CHILD PATIENTS WITH INVERSION OF CHROMOSOME 9 - A PRELIMINARY STUDY -)

  • 이준영;황준원;홍강의;김재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1호
    • /
    • pp.71-78
    • /
    • 2001
  • 연구 목적:본 연구는 이전의 연구들이 9번 염색체의 전위와 연관된 정신과적 특성이나 발달학적인 측면에 다루지 않았던 것에 주목, 정신과적인 문제 중 언어나 운동 발달의 지연, 지능저하, 성장지연 등과 같은 아동기의 발달학적인 문제와 행동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9번 염색체의 전위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였다. 방 법:1) 1984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인구의학연구소에 유전학적 검사가 의뢰된 환자들 중 9번 염색체 전위로 결과가 나온 증례들을 수집하였다. 검사를 의뢰한 진료과, 의뢰한 이유 등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2) 9번 염색체 전위를 지닌 소아 청소년 12명을 환아군으로 선정하고 성별, 나이 등이 일치하는 학생 45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부모에게 과거력조사설문지와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orean Child Behavior Check List, 이하 K-CBCL로 약칭)를 배부, 작성하도록 하였다. 결 과:1) 9번 염색체 전위로 결과가 나온 165례 중 검사 의뢰 진료과의 분포는 산부인과(47.3%), 소아과(23.6%), 소아정신과(17.0%)의 순으로 나타났고, 소아과와 소아정신과에서 검사가 의뢰된 경우(67례), 의뢰한 주 이유는 지능저하(35.8%), 언어 또는 운동발달지연(31.3%), Fragile X 증후군 의심(23.9%), 성장지연(20.9%)의 순이었다. 2) K-CBCL 결과상 사회적 미성숙 척도에서 임상범위에 해당된 비율이 환아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환아군이 대조군보다 언어나 운동 발달 영역에서 발달이 늦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본 연구는 9번 염색체의 전위와 연관된 발달학적인 측면을 다룬 최초의 연구로 아동기의 발달학적인 문제나 행동문제에 있어서 연관성을 시사하는 결과를 보였다. 정신과적인 문제와 연관된 유전자의 다양한 표현형을 밝혀 나가는 토대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 PDF

발달 지연아에서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와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의 비교 분석 (Assess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Korean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test (KICDT) and Korean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II (K-BSID-II))

  • 김지훈;염미선;정수진;고태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7호
    • /
    • pp.772-777
    • /
    • 2009
  • 목 적 : 발달 지연이 있는 환아들을 대상으로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와 K-BSID-II를 병행하여 서로 간의 상관 관계와 일치도를 분석함으로써 유사한 발달 영역에서 동일한 판정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7년 2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서울 아산 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발달 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월령 42개월 이하의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 및 K-BSID-II를 시행하였다. 월령별로 12개월 이하와 13-24, 25-42개월 대상자로, 기질적 뇌병변이 두부 자기 공명 단층 촬영에 의해 확인되었던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 결과와 K-BSID-II 결과를 비교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SAS를 사용하여 급내 상관 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여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상관 관계 면에서 K-BSID-II의 인지 척도는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의 전 영역과, 동작 척도는 조대 운동, 개인-사회성, 언어, 인지-적응 영역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P<0.01). 일치도 면에서 K-BSID-II의 인지 척도는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의 조대 운동, 미세운동, 언어 영역과, 동작 척도는 조대 운동과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P<0.05). 결 론 : 발달 지연이 있는 환아에서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는 조대 운동을 비롯한 여러 하위 영역에서 K-BSID-II와 유의한 상관 관계 및 일치도를 보였으며 한국 영유아의 발달 정도를 파악하는 비교적 정확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Diagnostic exome sequencing을 통한 KBG 증후군의 조기 진단 (Early Diagnosis of KBG Syndrome Using Diagnostic Exome Sequencing)

  • 홍준호;김세희;이승태;최종락;강훈철;이준수;김흥동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2-275
    • /
    • 2018
  • KBG 증후군은 특징적인 얼굴 기형 및 발달 장애, 저 신장 등을 보이는 희귀한 질환이며, ANKRD11유전자의 변이가 KBG 증후군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그 임상 양상의 스펙트럼은 넓은 편이며, 발달 장애와 신경학적 이상의 경우 개인마다 다양한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의 환자들 역시 서로 다른 정도의 발달 장애를 보였으며, 그 중 더 심한 정도의 발달 장애를 가진 환자에서는 뇌전증이 동반되었다. 기존의 KBG증후군의 진단 기준에서 macrodontia는 매우 중요한 요소였으며, 대부분의 KBG 증후군 환자에서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다. 본 증례의 환자들은 발달장애를 보여 시행한 diagnostic exome sequencing을 통해 ANKRD11 유전자 이상을 확인하였지만 macrodontia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KBG 증후군이 현재까지 밝혀진 것 보다 더 흔할 수 있으며, 특징적인 얼굴 기형이 없는 경우에도 발달장애가 있는 환자들에서는 더욱 적극적인 유전자 검사를 시행하여 KBG 증후군을 진단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일 지역 시설 영.유아의 신체 성장과 발달 평가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in Orphanage)

  • 김태임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7-190
    • /
    • 2002
  • This study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al status of infants in orphanage in order to provide an empirical data.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4 infants and toddlers who were reared in an orphanage in D Metropolitan city.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ere anthropometric assessment and DDST for normative data of development.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September 1st, 1998 to August 31st, 2000 and were analyzed using SPSS/PC(Version 10.0) with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30.8% of infants in orphanage had abnormal weight, 26.9% had abnormal length, and 22.1% had abnormal head circumference and most of them were distributed below 50 percentile of growth chart. 2. 53.8% of infants in orphanage had normal, 27.9% had qustionable, and 18.3% had abnormal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results, especially, 31.5% of infants in orphanage ages 3 to 5 years had abnormal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results, according to the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DDST). There was a significant developmental delay noted in the language and fine motor-adaptive sector. 3. It is anticipated that developmental delays would increase in severity by older the mean age of orphanage infants and longer the time being raised in orphanage. It would be concluded that the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al status of orphaned infants were very vulnerable and serious and it is suggested that there needed an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omote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in orphanage.

  • PDF

Herbal Medicine Treatment of Refractory Epilepsy in Tuberous Sclerosis Complex : A Case Report

  • Son, Kwanghyun;Lee, Jinsoo;Kim, Moonju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50-55
    • /
    • 2015
  • Infants with tuberous sclerosis complex (TSC) have a higher chance of experiencing seizures before the age of 1 year; in particular, they commonly accompany infantile spasms. In cases where infantile spasms resulting from TSC are drug-resistant, more severe neuro-developmental and cognitive impairments occur. This particular case dealt with an infant with TSC who continued to experience partial seizures and infantile spasms despite using two different kinds of antiepileptic drugs (AEDs). His spasms ceased on the seventh day of taking modified Yukmijihwang-tang (YMJ), at which point he stopped the use of all AEDs. He became seizure-free after a month of the treatment and modified hypsarrythmia was found to have been resolved in the electroencephalogram test. Until now, the infant has been taking YMJ for 16 months and is maintaining the seizure-free state without side effects. Moreover, his developmental status is continually improving, with a significant progress in language and cognitive-adaptive abilities. Such results suggest that YMJ can serve as an alternative treatment option for refractory epilepsy.

0-8세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과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 보령 베이비패널 자료를 중심으로 (0-8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Mothers' Psychological States : Based on Boryung Baby Panel Data)

  • 박혜준;한경혜;박새롬;장미나;전을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1호
    • /
    • pp.11-2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ages 0 to 8, and then explore specifically how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al levels are related to mothers' psychological states. This study was part of newly launched Boryung Baby Panel Study using web-based survey in 2011. The subjects were all mothers of 940 infants(0-2 years), 654 toddlers(3-5 years), and 484 school-age children(6-8 years) The mothers were asked to administer the web-based standardized developmental checklist for their child and fill out the questionnaires of psychological variables(life satisfaction, depression, parenting attitude,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for SPSS 20.0 window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fants(0 to 2) showed higher developmental level in cognition and fine motor skill domain compared to other domains. 2. Most toddlers(3 to 5) showed normal development in the most domain such as gross motor skill, fine motor skill, language, letter, number, self-help behavior. 3. In socio-emotional development domain, the ratio of risk or delay group were highest at both infant and toddler. 4. The 6-8 years old children that belong to risk group by the result of SDQ(emotion and behavior assessment) were also relatively high. 5. The relation of the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al level and the mother's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reciprocal.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Denver II 발달검사를 이용한 한국과 미국의 아동 발달 비교 연구 (Denver II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A Cross Cultural Comparison)

  • 신희선;한경자;오가실;오진주;하미나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9-97
    • /
    • 200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idity of the application of the Denver II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to Korean children. This screening test. which was developed and standardized in United States. was designed to screen for developmental delay in Korea. and to compare the levels of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with th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the U.S. Method: Quota sampling. NP To facilitate field sampling. the age range used from 0 to 6 years old. was split into 10 different age groups. Sample size was estimated according to residence. 1.054 children were recruited from Seoul's metropolitan. urban and rural areas. NP To fill the quota established. the Recruitment and testing of children was done at public health centers, pediatric outpatient clinics of general hospitals and a child care center. The 25, 50, 75 and 90 percentiles were identified by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were calculated as norms. The items in which the ages of both 50 and 90 percent passing differed more than 20 percent by the calculation was identified for comparison. NP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45 items between Korean children and the children from the City of Denver as it relates to age differences. 90% of the sample passed items among 125 items from 4 sectors, e.g., personal- social. fine motor adaptive, language, and gross motor sectors. Korean children were found to be advanced in 9 items, wherea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38 items in our comparison of the two countries for age differences when 50% of sample pass items. Korean children were found to be advanced in 16 items. NP Conclus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discrepancy in the developmental norms. It could be explained by the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al environment. including child rearing patterns and ethnicity. Therefore, a restandardization of the Denver Screening Test is necessary as it relates to its application on Korean children. This restandardiza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avoid both under and over-referra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abnormality. The modification of items in the language sector is especially suggested.

  • PDF

언어 발달지연 환아에서 진단적 검사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diagnostic tests in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 오승택;이은실;문한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3호
    • /
    • pp.289-294
    • /
    • 2009
  • 목 적 : 언어 발달 지연아들에게 흔히 시행되는 검사들로서 뇌 자기공명 영상, 염색체 핵형분석, 뇌 전위 유발검사, 뇌파, Tandem mass 선별검사 및 6종 선천성 대사질환 선별검사가 원인 질환의 진단에 유용한 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언어 발달 지연을 주소로 영남대학교 부속병원 소아신경클리닉에서 신경심리검사와 원인 질환에 대한 검사를 받았던 122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검토하여 증례별로 현상학적 질환의 범주로 나누고 원인/연관 추정 소견 여부를 확인한 후 검사의 양성률과 원인 질환의 진단에서의 유용성을 분석하는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122예에서 정신지체 47예(38.5%), 발달성 언어장애 40예(32.8%), 경계선 지능이 23예(18.9%) 그리고 자폐 범주 질환이 12예(9.8%)였다. 원인/연관 추정 소견은 26예(21.3 %)에서 찾을 수 있었으며 이형 증후군이 5예, 소두증이 4예, 미숙아 분만 및 신생아 가사의 병력을 가진 경우가 3예, 저출생 체중아가 3예, 양육된 환경적인 요인이 문제였던 경우가 3예 등의 순으로 많았다. 검사 소견으로 자기공명 영상 77예 중 8예(10.4%), 뇌파 75예 중 6예(8.0%)에서 이상 소견이 관찰되었고 뇌 전위 유발검사 80예 중 양측 이상을 보인 경우가 4예(5%)있었으나 2예에서는 추적 관찰시 정상화되었다. 염색체 핵형분석 80예, Tandem mass 선별검사 67예와 대사질환에 대한 신생아 선별검사 15예에서 이상 소견이 관찰된 경우는 없었다. 검사 소견 중 뇌 자기공명 영상은 대뇌 겉질 형성 이상 1예의 확진과 뇌량 형성 부전 3예와 뇌연화증 1예의 원인 질환 추정에, 그리고 뇌 전위 유발검사는 청각 장애 2예의 확진에 도움이 되었다. 결 론 : 언어 발달 지연의 원인 질환의 진단 시 흔히 시행되는 검사들은 유용성이 크지 않으며 검사의 시행은 증례의 특징에 따라 선별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원인 질환의 진단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관찰되는 경우가 적지 않으므로 언어 발달 지연의 전체적인 평가에는 이들 검사의 의미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