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e speeds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7초

금속절삭시 CHIP 생성기구 및 절삭온도 예측을 위한 유한요소해석에 관한 연구

  • 황준;남궁석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27
    • /
    • 1993
  • The finite element method is applied to analyze the mechanism of metal cutting. This paper introduces some effects, such constitutive deformation laws of workpiece material, friction of tool-chip contact interfaces, tool rake angles and also simulate the cutting process, chip formation and geometry, tool-chip contact, reaction force of tool, cutting temperature. Under the usual [lane strain assumption, quasi-static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variation of tool-chip interface friction coefficients and rake angles. In this analysis, various cutting speeds and depth of cut are adopted. Some cutting parameters are affected to cutting force, plastic deformation of chip, shear plane angle, chip thickness and tool-chip contact length and reaction forces on tool. Cutting temperature and Thermal behavior. Several aspects of the metal cutting process predicted b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provide information about tool shape design and optimal cutting conditions.

Risk Assessment by Vehicle Speed Difference in Climbing Lanes

  • Oh, Heung-Un;Kang, Jin-Gu
    • International Journal of Safety
    • /
    • 제9권1호
    • /
    • pp.47-53
    • /
    • 2010
  • The speed difference in mountainous area is known causing traffic conflicts and accidents. Thus, climbing lanes have popularly been installed in mountainous roads around the world. In the present paper, vehicle speeds within and around climbing lanes of Ho-nam and Jung-ang expressway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The evaluation was performed in terms of coefficient of variations which represent dispersion of vehicle speed in climbing lanes. Results show that speed dispersion is more significant at segments before and after climbing lanes than those within climbing lanes. The estimated accident risk was evaluated using The Solomon's u-shaped curve. It was identified that the accident risk is also a lot significant at the same segments as much as 2.2 times greater than those of climbing lanes.

Towards a revised base wind speed map for the United Kingdom

  • Miller, Craig A.;Cook, Nicholas J.;Barnard, Richard H.
    • Wind and Structures
    • /
    • 제4권3호
    • /
    • pp.197-212
    • /
    • 2001
  • Observations of extreme wind speeds in the United Kingdom from 1970 to 1980, corrected for the influence of upwind ground roughness and topography, have been analysed using the recently-developed "Improved Method of Independent Storms" (IMIS). The results have been used to compile two new maps of base wind speed and to confirm the climatic factors in current use. One map is 'irrespective' of wind direction and the other is 'equally weighted' by direction. The 'equally weighted' map is expected to be more consistently reliable and appropriate for use with the climatic factors for the design of buildings and structures.

고속도로 지정차로제 위반과 교통사고 심각도와의 관계분석: 화물차량을 대상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ation of Designated Lane Usage and Accident Severity on Freeways)

  • 김주희;이수범;김다희;홍지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19-127
    • /
    • 2012
  • 도로에서의 안전한 주행을 위해서는 차량들의 전방 시야 확보와 주행속도가 비슷한 차량들의 동일차로 형성이 중요하다. 하지만, 화물차와 같은 대형차량은 승용차에 비해 주행속도가 낮고, 차체가 커서 승용차와 차로를 공유할 때에 사고의 위험을 높이게 된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고자 우리나라 도로교통법은 차로통행기준을 지정하고 있으나 잘 지켜지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화물차량의 교통사고 심각도 분석을 통해 지정차로제의 당위성을 제공하고, 고속도로 안전대책마련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고심각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지정차로 위반여부 등 18개 독립변수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고속도로 화물차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지정차로 위반여부, 날씨, 주야, 갓길주정차 관련여부 변수로 나타났다. Wald 값 비교 결과, 지정차로 위반변수가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정차로 통행방법의 철저한 준수가 요구되며, 효과적인 단속활동 등 대책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속도로 엇갈림구간 교통와해 발생 여건 분석 (Condition Analysis of Breakdown Occurrence at Freeway Weaving Section)

  • 김상구;김영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57-66
    • /
    • 2007
  • 엇갈림 현상은 고속도로에서 동일 방향을 진행하는 두 교통류가 연결로에 의해 다른 도로와 연결됨으로써 교통류간에 합류 또는 분류가 일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교차현상을 말한다. 엇갈림 현상은 짧은 구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운영 특성 때문에 다른 도로구간에서 발생하는 교통혼란보다 더 과도한 혼란이 생기기 쉬우며 이는 도로 전체 서비스수준 저하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개별차량에 대한 미시적 분석이 가능한 고속도로의 항공사진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교통와해 발생시 고속도로 엇갈림구간의 교통류 특성을 차로별로 미시적인 방법을 통하여 관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엇갈림구간의 진출입교통량으로 인한 본선 교통류의 정체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고속도로의 엇갈림구간에서 수집한 항공사진 원시 자료를 차로별 30초 단위의 교통량, 속도, 밀도자료로 생성하고, 이 자료를 토대로 차로별 안정류에서 정체류로 변화하는 시간대와 구간을 파악하여 교통와해 특성을 분석하며, 또한, 개별차량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과 거리에 따른 시공간도를 작성하여 엇갈림구간의 특성에 대해 해석하여 교통와해 발생 여건을 분석하고 차로 별 교통류 전파과정을 면밀히 관찰한다. 본 연구는 혼잡교통류 상태의 고속도로 엇갈림 구간에 대한 미시적 분석을 수행하여 교통와해 현상을 실제 자료를 토대로 확인하고,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개발 가능한 개별차량들의 교통특성과 알고리즘개발에 대한 기초이론을 제공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PDF

주행속도를 달리했을 때 운전 중 휴대 전화 사용이 운전 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ellular-phone use on driving performance under various driving speed conditions)

  • 최시환;이재식
    • 감성과학
    • /
    • 제6권3호
    • /
    • pp.1-11
    • /
    • 2003
  • 본 연구는 운전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운전 중 휴대 전화 사용이 운전 속도의 변화에 따라 운전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토로 상황을 모사하기 위해 직선 도로와 곡선 도로가 모두 제시되었으며, 운전자는 60, 80, 100및 120km/h의 주행 속도를 체계적으로 변화시킨 조건에서 운전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운전 조건에 따라 운전자들은 핸즈-프리 장치 조건과 핸즈-헬드 장치조건 중 한 조건에 할당되었으며, 각각의 휴대전화 유형에서 전화를 사용하는 조건(실험 조건)과 사용하지 않는 조건(통제 조건)을 모두 수행하였다 이러한 조건에 대해 운전자들이 보인 차량의 종적 통제와 횡적 통제를 측정하여 운전 수행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체적인 분석에서 전화를 사용하는 조건과 사용하지 않는 조건에서 운전 수행의 차이가 관찰되었고, (2) 전화 사용의 유형(즉, 핸즈-프리와 핸즈-헬드 조건)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3) 일반적으로, 운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화를 사용하면서 운전을 하는 조건에서 속도의 변산성과 차선 내 횡적 위치, 그리고 차간 거리의 변산성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운전 중에 어떠한 유형의 휴대폰을 사용하는 것이 더 운전 수행에 손상을 주는지의 여부보다 단순히 전화를 사용하는 것 자체가 운전 수행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특히 운전 수행과 휴대폰 사용의 관계를 고려할 때 다른 운전 조건(예를 들면, 운전 속도)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차량 주행속도를 반영한 도로 평면선형설계 기법 연구 (Development of a Vehicle Operating Speed Model and its Application for Designing Consistent Horizontal Alignment)

  • 최재성;김상엽;이점호;황경성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57-67
    • /
    • 2008
  • 현재 우리나라에서 도로 평면선형 설계를 위해 도로설계속도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도로설계속도 개념은 단 한 개 도로 설계속도를 사용하기 때문에 도로 기하구조 수준이 일정해진다는 강점을 갖고 있으나, 도로 건설 후 그 도로를 주행하는 실제 차량 속도가 설계속도와 달리 나타날 수 있다는 약점을 갖고 있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미 여러 나라에서 사용 중인 주행속도 예측모형에 근거한 평면 선형설계기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우리나라 전역에서 표본을 선택하여 차량 속도조사를 수행했고,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도로설계요소를 통계분석을 통해 선정하여 양방향 2차로와 4차로 일반국도에 대한 차량 주행속도 모형을 제시했으며, 그 모형을 도로 평면선형설계에 적용하는 과정을 제시했다. 한편 새로운 기법에 대한 유효성을 밝히기 위한 실제 사례분석에서 새로운 기법은 기존 기법이 갖고 있는 약점을 해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향후 우리나라 도로 건설 사업에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면선형 설계기법을 적용하면 도로 투자 효율성이 높아지고, 더 높은 설계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PDF

Computational study of a small scale vertical axis wind turbine (VAWT): comparative performance of various turbulence models

  • Aresti, Lazaros;Tutar, Mustafa;Chen, Yong;Calay, Rajnish K.
    • Wind and Structures
    • /
    • 제17권6호
    • /
    • pp.647-670
    • /
    • 2013
  • The paper presents a numerical approach to study of fluid flow characteristics and to predict performance of wind turbines. The numerical model is based on Finite-volume method (FVM) discretization of unsteady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URANS) equations. The movement of turbine blades is modeled using moving mesh technique. The turbulence is modeled using commonly used turbulence models: Renormalization Group (RNG) k-${\varepsilon}$ turbulence model and the standard k-${\varepsilon}$ and k-${\omega}$ turbulence models. The model is validat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over a large range of tip-speed to wind ratio (TSR) and blade pitch angle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use of numerical method as a tool for designing wind turbines, two dimensional (2-D) and three-dimensional (3-D) simulations are carried out to study the flow through a small scale Darrieus type H-rotor Vertical Axis Wind Turbine (VAWT). The flows predictions are used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the turbine. The turbine consists of 3-symmetrical NACA0022 blades. A number of simulations are performed for a range of approaching angles and wind speeds. This numerical study highlights the concerns with the self-starting capabilities of the present VAWT turbine. However results also indicate that self-starting capabilities of the turbine can be increased when the mounted angle of attack of the blades is increased. The 2-D simulations using the presented model can successfully be used at preliminary stage of turbine design to compare performance of the turbine for different design and operating parameters, whereas 3-D studies are preferred for the final design.

도시부 주행 차로수 일치에 따른 효과 분석 - 국도32호선 대전광역시 통과구간 대상 - (Effectiveness Analysis of Lane Balancing in Urban Areas)

  • 장일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2D호
    • /
    • pp.203-208
    • /
    • 2011
  • 우리나라 대부분의 도시는 지속적인 개발에 따라 교통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로용량 증대를 위한 도로 확장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동일 교통 특성을 지니는 구간 내에서 일부 구간만의 확장으로 전체적인 주행 차로 수 균형이 유지되고 있지 않아 차량 소통 및 교통안전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도 32호선 대전광역시 통과 구간 중 직진 주행 차로 수가 일치하지 않는 구간을 중심으로 차로 수 불일치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고 차로 수를 일치하였을 경우의 효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마이크로 시뮬레이션인 VISSIM을 활용하였으며 개선 전후의 평균 통행속도, 지체도, 상충 수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행 차로 수 일치에 따라 지체도가 감소하고 평균 통행속도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주행 차로 수 일치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향후 도로확장 등 개선 공사 시행에서 병목현상 개선 및 차량 상충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그룹방법을 이용한 고속도로 추월차로형 오르막차로 안전성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of Passing-type Climbing Lanes in Expressways using C-G Method)

  • 김봉수;김상구;윤일수;오영태;홍두표;이강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99-109
    • /
    • 2014
  • PURPOSES : Climbing lanes on expressways managed by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KEC) have been hot potatoes due to conflicts between slow-moving vehicles such as trucks and other vehicles at the merging section as well as the less popularity with the slow-moving vehicles. In order to resolve such problems, KEC has altered existing climbing lanes to passing-type climbing lanes in 1999. The new type of climbing lanes showed an apparent improvement in mobility. For example, the speeds of vehicles using both climbing lane and other lanes improved a lot. However, there has been no clear evidence about improved safety. METHODS : This research effort was initiated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new passing-type climbing lanes using the comparison-group(CG) method based on three-year-long traffic accident data sets before and after the change, respectively. RESULTS : The passing-type climbing lanes showed twice increased traffic accidents even though the traffic accidents on old type climbing lanes increased 1.1% during the same periods. In addition, in-depth study, the merging area of the passing-type climbing lanes was found out to be the weakest section where 43.8% traffic accidents out of total traffic accidents happened. It is noted that the merging area of the old type climbing showed only 25.0% traffic accidents. CONCLUSIONS : The new passing-type climbing lanes were found to be weak in terms of safety when compared with the old type climbing lanes. Especially, the merging area should be improved to reduce the risk of traffic conflicts between slow-moving vehicles and other veh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