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lide mechanism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4초

A Long-Runout Landslide Triggered by Extreme Rainfall in Gokseong, South Korea on 7 August 2020

  • Nam, Kounghoon;Wang, Fawu;Dai, Zili;Kim, Jongtae;Choo, Chang Oh;Jeong, Gyo-Cheol
    • 지질공학
    • /
    • 제32권4호
    • /
    • pp.571-583
    • /
    • 2022
  • On 7 August 2020, a large-scale catastrophic landslide was triggered by extreme rainfall at Osan village, Gokseong County, South Jeolla Province, South Korea. The initiation mechanism of the Gokseong landslide was different from those typical landslides that occurred in South Korea. Despite the relatively low elevation and slope degree, the landslide had a long runout distance of about 640 m over a total vertical distance of 90 m. A detailed field investigation and chem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ossible mechanisms for the high-speed and long-runout behavior of the landslide. The terrain controlled the motion behavior of the landslide and the seepage was observed at the whole landslide body. The clay-rich soils covered on granite bedrock of the landslide deposition area from the rice paddy field to the landslide crow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 on the mechanisms for landslide initiation and propagation.

Numerical validation of Multiplex Acceleration Model for earthquake induced landslides

  • Zheng, Lu;Chen, Guangqi;Zen, Kouki;Kasama, Kiyonobu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4권1호
    • /
    • pp.39-53
    • /
    • 2012
  • Due to strong ground motion of earthquake, the material in the landslide can travel a significant distance from the source. A new landslide model called Multiplex Acceleration Model (MAM) has been proposed to interpret the mechanism of long run-out movement of this type of landslide, considering earthquake behaviors on slope and landslide materials. In previous study, this model was verified by a shaking table test. However, there is a scale limitation of shaking table test to investigate MAM in detail. Thus, numerical simulation was carried out in this study to validate MAM under full scale. A huge rock ejected and A truck threw upwards by seismic force during Wenchuan Earthquake (Ms. 8.0) was discussed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collisions in P-phase of earthquake and trampoline effect are important behaviors to interpret the mechanism of long run-out and high velocity. The results show that MAM is acceptable and applicable.

초기 산사태 위험도 구축을 위한 지형요소의 활용 (Application of Geomorphological Features for Establishing the Preliminary Landslide Hazard)

  • 차아름;김태훈;강석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29
    • /
    • 2015
  • 토석류를 포함하는 산사태 재해는 빠른 이동속도로 인한 대응 및 대피가 어려운 특성으로 인해 발생 초기에 그 위험성을 파악, 예방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다양한 방법들이 초기 산사태 재해의 발생 및 위험도를 파악하기 위해 활용되었으나, 분석과정과 입력변수의 복잡함, 그리고 이로 인한 모델의 단순화로 인해 산정된 산사태 위험도의 정확성에는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산사태 재해예방을 목적으로 실제 지형의 특성을 파악, 이를 초기 산사태 위험도 평가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형특성 분석을 위해 방향성 벡터의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벡터분산(vector dispersion)과 평면도(planarity) 기법을 이용, 지형특성과 산사태 위험도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제안한 두 방법 모두 초기 산사태 위험도 분석에 있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지형특성은 산사태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보다 객관적인 산사태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개별 모형보다는 다수의 모형을 이용, 각각의 장점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이는 결국 산사태의 발생이 단순한 특정 요소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며, 내 외부적인 요인들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발되는 복합적인 자연현상임을 인지하고 보다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산사태 발생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산사태예측도에 의한 석조문화재 주변의 산사태재해 가능성 분석 (Analysis of Landslide Hazard Probability for Cultural Heritage Site using Landslide Prediction Map)

  • 김경수;이춘오;송영석;조용찬;김만일;채병곤
    • 지질공학
    • /
    • 제17권3호
    • /
    • pp.411-418
    • /
    • 2007
  • 산사태가 일어날 지점을 예측한다든지 사태물질로 인한 피해 예상지역을 알아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는 산사태를 발생시키는 요인들이 여러가지가 있고 개개의 요인들이 산사태를 발생시키는데 기여하는 중요도도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산사태자료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발생 메커니즘 규명과 통계적 해석기법을 통해 산사태 발생가능성의 예측과 위험지역의 분류가 가능해졌다. 석조문화재가 산사면 또는 그 직하부에 인접해 있는 경우는 산사태가 발생되면 재해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여름철의 집중호우 등에 의해 석조문화재 및 그 주변지역에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그로 인한 석조문화재의 피해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002년 8월 산사태재해로 인해 피해가 발생된 바 있으며 중요 석조문화재가 위치해 있는 실상사 백장암지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산사태 예측도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산사태재해 가능성을 발생확률로 표현하여 등급별로 구분함으로써 석조문화재 및 그 주변지역이 산사태에 취약한지의 여부를 평가하였다. 또한, 이러한 조사 및 해석기법을 앞으로 석조문화재 주변의 산사태재해 예측 및 평가를 위해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Measurements of dielectric constants of soil to develop a landslide prediction system

  • Rhim, Hong Chul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7권4호
    • /
    • pp.319-328
    • /
    • 2011
  •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s of the dielectric constants of soil at 900 MHz and 1 GHz were made to relate those properties to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This study's intention was to u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electric constant and the moisture content to develop a landslide prediction system. By monitoring the change of the moisture content within the soil using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systems in the field, the possibility of a landslide is expected to be detected. To establish a database for the dielectric constants and the moisture content, the measurements of soil samples were made using both an open-ended dielectric coaxial probe and the GPR.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s, correlations between the GPR and reflector for each frequency at 900 MHz and 1 GHz were found for the dielectric constants and the moisture content. Finally, the mechanism of the measurement device to be implemented in the field is suggested.

산사태 재해 관련 학술동향 분석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Landslide Hazards)

  • 김종헌;김원영
    • 지질공학
    • /
    • 제23권3호
    • /
    • pp.305-314
    • /
    • 2013
  • 국내외의 산사태 재해 학술정보를 검색하여 관련 학술동향을 분석하였다. 국내 학술정보는 환경지질연구정보센터(IEG)에 수록되어 있는 17개 학술지를 이용하였다. 검색된 논문은 2000-2012년 사이 게재된 총 54편이다. 검색된 논문의 성격을 분류하면 산사태 예측 또는 취약성 분석 논문이 29편이고, 산사태 메커니즘 관련 논문이 20편, 나머지 5편은 산사태 모니터링 또는 경보 시스템과 관련되어 있다. 국외 학술정보는 2003년 이후 현재까지 수록된 'Web of Science'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곳에서 검색된 관련 논문 1,851 건을 이용하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개발한 '수요자 맞춤형 연구개발 조기경보체제 구축'이란 정보 분석 프로그램으로 논문의 연도별, 국가별, 연구기관별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산사태 재해 연구는 이태리가 주도하고 미국과 중국이 뒤를 잇고 있다. 한국은 논문 수에서는 15위에 머물고 있으나 국가별 논문수준은 전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산사태 모형실험에서의 Scale Effect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ale Effect of Landslide Model Tests)

  • 정지수;지영환;김유태;이승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8호
    • /
    • pp.5-12
    • /
    • 2011
  • 본 연구는 강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 시 강우강도, 강우지속시간, 비탈면 경사, 지반조건등에 따른 파괴 원인을 분석하여 산사태를 사전에 예측하기 위해 산사태 붕괴특성을 알아보고자 인공강우장치를 이용한 실제사면 크기에 근접한 대대형모형토조와 소형모형토조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육안상의 붕괴 형태 및 간극수압, 토압, 함수비, 지중변위 등의 계측결과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모형토조연구에 있어 크기에 따른 산사태 메커니즘 분석과 소형모형토조 실험에 대한 산사태 모형실험으로서의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The July 2, 2017, Lantian landslide in Leibo, China: mechanisms and mitigation measures

  • He, Kun;Ma, Guotao;Hu, Xiewen;Liu, Bo;Han, Me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8권3호
    • /
    • pp.283-298
    • /
    • 2022
  • Landslides triggered by the combination of heavy precipitation and anthropological disturbance in hilly areas cause severe damage to human lives, properties, and infrastructure constructions.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ing factors and failure mechanisms of landslides are significant for disaster mitigation and prevention. This paper utilized the combination of detailed geological investigation, physical experimental testing as well as numerical modelling to determine the failure mechanism, and proposed a countermeasures of the Lantian landslide occurred on 2, July 2017. The results reveal that the Lantian landslide is a catastrophic reactivated slide which occurred in an active tectonic region in Southwest China. Because of the unique geological settings, the fully to highly weathered basalts in the study area with well-developed fractures favored the rainwater infiltration, which is the beneficial to slide reactivation. Engineering excavation and heavy precipitation are the main triggering factors to activate the slide motion. Two failure stage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landslide. The first phase involves a shallow mass collapse originated at the upper slopes, which extends from the road to platform at rear part, which is triggered by excavation in the landslide region. Subjected to the following prolonged rainfall from 19 June to 2 July, 2017, the pore water pressure of the slope continually increased, and the groundwater table successively rise, resulting in a significant decrease of soil strength which leads to successive large-scale deep slide. Thereinto, the shallow collaps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deep slide. Based on the formation mechanisms of the landslide, detailed engineering mitigation measures, involving slope cutting, anchor cable frame, shotcrete and anchorage, retaining wall and intercepting ditch were suggested to reduce the future failure risk of the landslide.

AHP 분석기법을 이용한 급경사지재해 취약성 평가표 개발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Chart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using the AHP Analysis Method)

  • 채병곤;조용찬;송영석;서용석
    • 지질공학
    • /
    • 제19권1호
    • /
    • pp.99-108
    • /
    • 2009
  • 기존의 급경사지재해 평가방법은 현장조사를 기반으로 하여 일정 과정의 실내분석이 실시된 후 그 결과를 도출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즉각적인 평가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과 기존의 주관적 평가방법에서 발생하는 평가결과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직접 관련요소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급경사지재해 취약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응용통계기법의 하나인 AHP 분석을 이용하여 급경사지재해 취약성 평가표를 개발하였는데, 이는 전문가 설문을 통한 AHP분석 방법의 결과를 이용해 수행한 것으로서, 각 평가항목과 평가항목별 세부등급에 대한 가중치를 각각 설정하였다. 평가항목들의 가중치를 100점으로 환산하여 점수화 한 결과 사면경사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이고, 투수계수, 함수비, 공극율, 암질, 그리고 고도의 순서로 결정되었다. 이렇게 결정된 평가항목별 점수를 기준으로 평가항목 각각의 세부등급에 대한 점수를 할당하여 급경사지재해 취약성 평가표를 개발하였다. 급경사지재해 취약성 평가표를 이용하여 평가자는 평가대상 지점에 대해 각 평가항목별 해당 속성, 즉 세부등급을 선택하고, 선택된 각 속성별 평가점수를 더하면 급경사지재해 취약성을 점수로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