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image

검색결과 561건 처리시간 0.027초

마을 만들기에 있어 주민에 의해 표현되는 풍경 공유성 - 광주광역시 북구 사례를 중심으로 - (Common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Cognition in Participatory Town Design Program - Focusing on the Case of Buk-gu District, Gwangju Metropolitan City -)

  • 김수란;조동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57-7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common characteristics in everyday landscape cognition that the residents share and to restore the resulting characteristics through citizen-participatory town design. Through the residents participatory workshop supported by the Gwangju Buk-gu District Autonomy and Citizen Academy of Gwangju YMCA, 304 people from eight administrative districts participated in three programs. In each program, photographed landscape images representing everyday conditions of the townscape were presented in several ways: in program 1, the residents' mental map was studied; in program 2, landscape images of real places were matched to locations on a map; and in program 3, the landscapes were scored on a scale from 1 to 5 according to five descriptive categories. The elements that were recognized as common landscape features were public facilities, pedestrian spaces, school areas, and parks and natural green spaces. Additional results including recognition of the participants affection for the village and a common landscape image shared by the people, as inhabitants looked around at the space of their own lives. It seems possible that more creative townscapes can be created by residents through participatory programs.

도시경관에 대한 주민의식 변화 연구 - 전라남도 영암군을 대상으로 - (A Study on Changes in Residents' Consciousness on Urban Landscape - Focused on Yeongam-gun in Jeollanam-do -)

  • 김윤학;유창균;박성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33-44
    • /
    • 2021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changes about the landscape consciousness of Yeongam-gun residents, in chronological order. As a result, the landscape consciousness of 10 years ago and the present has not changed significantly. Also, the residents' consciousness of the Yeongam-gun landscape image has not changed from 10 years ago, and we recognize that it is necessary to preserve and form the natural landscape. As for the problem of urban landscape, the needs of residents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infrastructure facilities and the development of tourist spots are higher than 10 years ago, and the problem of each landscape element is found as the formation and management of a road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Yeongam landscape is generally below average, compared to 10 years ago. Resident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landscape projects has changed as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do not want to participate has increased compared to 10 years ago, and the project method must be promoted by residents / administration / experts as one. The awareness is judged as administrative agencies need to change from the role of regulation-oriented in the past to the role of resident support and cooperation.

국립공원(國立公園) 개발(開發)에 따른 경관영향평가(景觀影響平價)에 관(關)한 연구(硏究) - 덕유산(德裕山) 국립공원(國立公園)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Landscape Impact Assessment of National Park Development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National Park Mountain Dukyu -)

  • 김세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195-209
    • /
    • 1996
  • 본 연구는 우리 나라 대표적인 산악형 국립공원이라 할 수 있는 덕유산 국립공원의 개발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전과 개발후로 나누어 S.D Scale 측정에 의한 공간의 이미지 구조를 인자분석, 알고리즘을 통하여 밝히며,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공간의 선호도 결정요인 추출과 각 요인 상호간의 상대적 중요성을 설명한다. 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덕유산 국립공원의 공간 이미지를 함축하는 변인(變因)은 종합평가차원, 공간적차원, 친근감차원, 자연성차원, 호감성차원, 물리적차원 등 6개의 인자군(因子群)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변인들은 덕유산 국립공원의 공간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인자수 제어방법에 의하여 전체변량은 45.46%와 45.45%로 나타났다. 국립공원 개발에 따른 경관관리를 위한 계량적 접근의 기능적차원에 반영되어야 할 주요 척도적 요소라고 생각된다. 각 지점별 공간 이미지의 차이에 따라 시각적 선호도를 결정짓는 변수가 달라지며 동일지점에서도 공간이미지의 주된 변수적 기능을 수행하는 변인의 차이에 의하여 선호도 결정 요인의 차이가 인정된다 할 수 있다.

  • PDF

전문가 인식에 따른 농촌경관 색채계획 방향 설정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Rural Landscape Color Plan according to the Expert Perceptions)

  • 김은자;한채원;임창수;박미정;최진아;권순찬
    • 농촌계획
    • /
    • 제23권1호
    • /
    • pp.31-40
    • /
    • 2017
  • People are making efforts multilaterally to create agricultural landscape beautifully. Still in farming villages, however, large-scale facilities or houses are disharmonized with natural environment because of their outer colors, mostly primary colors, not considering natural environment. The main study is done on experts' color perception. Investigation about perception of color experts ' view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energy business based on the color to set the direction of the rural landscape in the futur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image of the rural area is not reflected well, and the symbolic color of the rural landscape is the reverse image according to the energy business. The rural village's image in the future, "Harmonious", "Natural", "Rural" were higher Figure. There were the most important and harmony with nature. Based on such future harmony with nature in the color planning The colors match and is expected to be the color within the scope. Lack of awareness in the current farming town scenery is unsatisfactory. Awareness about the need for further improvement was higher. Therefore, color according to a harmony with nature image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farming model should be planned.

광양역사 조경설계 (Landscape Design for Kwangyang Station)

  • 김신원;이시영;조광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9-48
    • /
    • 2003
  • The Office of Korean National Railroads announced a design competition for Kwangyang Station and sought design proposals in October of 2002. The authors collaborated on a landscape design for Kwangyang Station and earned first prize in the competition. The Office decided to construct outdoor public spaces of Kwangyang Station for railroad users, visitors and staff, and local residents. The landscape design covers the following: site inventory and analysis; integration of design program and site analysis; evaluation of design concept; selecting a winning design alternative; schematic design including circulation form and spatial form; and design development including subarea design. In the design process, the authors focused on the integration and interpretation of site conditions as related to the Kwangyang Station building. They also collectively analyzed and considered the physical development of the outdoor spaces of Kwangyang Station. The following are some of the major areas in the design of the outdoor spaces of Kwangyang Station: 1) a plaza for waiting, 2) an entry area for passengers, 3) a train cafeteria, 4) a cultural plaza, 5) an image wall, and 6) a symbolic pond. The plaza for waiting is created as a place for users to wait and rest. The entry area for passengers provides an area for pedestrians approaching, passing and strolling. The train cafeteria features trains, lawns, grasses and trees. The cultural plaza is a main area represen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Kwangyang. This plaza also provides an area for various public events. The image wall is meant to be an exhibition space for displaying the advancements of Korean National Railroads in sculptural image forms. The symbolic pond consists of an area with symbolic water features and several sculptures with artistic value. In the authors' design, the outdoor spaces of Kwangyang station are created as a new type of public realm with function, regional quality, original identity, cultural context, symbolic meaning and images, and beauty. The designed spaces would be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places of interest and attraction in Kwangyang.

슈퍼 그래픽의 이미지와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시각디자인 요 소를 중심으로- (Studies on the Analysis of Super Graphic Image and Preference -with Visual Design Element-)

  • 나성숙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4-75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objective basic data for the super graphics in the urban landscape through the quantitative visual quality analysis. For this, the image structure of super graphics have been measured mainly by questionnaries and semantic differential scle method and analyzed by the method of factor analysis, means and multiple regression. Degree of visual preference have been measured mainly by questionnaries and likert attitude scale method and finaly these data have been analyzed by using the stepwise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by presenting 12 super graphics photographs-4 each sample pictures from the 3 each selected districts representing typical urban landscape style(central business district, shopping district, apartment complex). Observer groups were categorized as professionals, students, the others. Result of this thesis can be summarized as fallows: 1. From all 12(3${\times}$4) sample super graphics, the value of each semantic differential scale among the observer groups were presente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S.D. scale value were observed among central business district, shopping district and apartment complex super graphics. 2. For all experimental points, 4 types of factor have been observed. Factors covering the image of super graphics were found to be the evaluation, the intimacy, the potentiality and the tidiness. 3. Main factors of the super graphics image and factors indicating the group variations yielded high significance between areas. 4. The harmony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the proper selection of super graphics subject yielded high values for all groups. Especially, the good color sense with building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determining the degree of visual preference. 5. The urban C.B.D. super graphics obtained 5∼12 ranks of regional visual preference and the shopping district super graphics obtained 2∼11 ranks, and apartment complex super graphics obtained 1∼7 ranks.

  • PDF

지오태그 이미지를 활용한 북한산국립공원의 경관미 평가 및 맵핑 (Assessing and Mapping the Aesthetic Value of Bukhansan National Park Using Geotagged Images)

  • 김지영;손용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64-7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미디어에서 공유되는 지오태그 이미지를 활용하여 이용자가 인지하는 북한산국립공원의 경관미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 방법은 크게 지오태그 이미지 데이터의 수집, 경관 이미지 식별, 조망대상 확률 지수를 적용한 누적가시도 분석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데이터로 사용한 램블러(Ramblr)는 국내에서 많은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아웃도어 활동 지원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로부터 북한산국립공원에 대한 총 110,954장의 지오태그 이미지를 수집하여 경관미 평가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지오태그 이미지들은 Google Vision API를 활용해 이미지의 내용을 해석하였으며, 이후 군집분석을 통해서 전체 수집한 사진을 총 11개의 경관이미지 유형과 9개의 비경관이미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추출한 경관이미지를 바탕으로 북한산국립공원의 경관 유형을 분석한 결과, 봉우리나 산맥과 같은 지형적 특성과 관련한 이미지 유형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외 임내 경관, 단풍경관, 수경관이 주요한 경관 유형으로 발견되었다. 도출된 경관미 평가맵에서는 이러한 주요 경관 유형의 비중과 특성에 따라 표고 및 경사가 높을수록 전반적으로 높은 경관미를 보였다. 그러나 일부 저지대 및 완경사를 지닌 진입지역에서도 높은 경관미가 확인되었다. 또한 북한산 지역이 도봉산 지역보다 경관미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도봉산 지역의 경우에는 표고 및 경사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경관미가 확인되었다. 이는 경관미가 물리적인 환경 조건뿐만 아니라, 경관을 조망하는 탐방객들의 휴양 활동과도 크게 관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지오태그 이미지의 누적 가시도를 활용한 경관미 평가는 사람들의 인식에 기반한 경관적 가치를 지리적으로 이해하고, 그 편차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향후 북한산국립공원의 경관 계획 및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선호도 높은 이미지의 최적 파라미터 범위 연구: 다이내믹 레인지, 컬러, 콘트라스트를 중심으로 (Optimum Parameter Ranges on Highly Preferred Images: Focus on Dynamic Range, Color, and Contrast)

  • 박형주;하동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9-18
    • /
    • 2013
  • 본 연구는 감상자가 선호하는 화질의 파라미터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한 물리적인 화질 평가 항목과 인지적 특성을 반영한 화질 평가 항목을 다이내믹 레인지, 컬러, 콘트라스트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미지 감상자가 선호하는 콘텐츠별 화질의 재현 성능 범위를 구체화하였다. 그 결과 다이내믹 레인지를 의미하는 디지털 존시스템은 인물사진, 야경사진, 풍경사진이 6~10 stop의 범위를 나타냈다. 전체 RGB 평균은 인물사진(67.2~215.2), 야경사진(46~142), 풍경사진(52~185)으로 인물사진이 RGB 컬러 범위가 가장 넓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풍경사진, 야경사진의 순서대로 나타났다. 전체 콘트라스트의 범위는 인물사진(196~589), 야경사진(131~575), 풍경사진(104~767)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물사진의 경우, 노출의 기준이 되는 피부톤이 ZONE V로 나타났지만 실제로 감상자들이 선호하는 피부톤의 밝기는 ZONE IV에 해당하였다. 또한 인물사진 전체 장면과 메인 피사체의 콘트라스트 비율이 1:1.2를 나타내어 감상자가 아웃포커스 효과를 선호한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일반 감상자들이 선호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화질 재현 성능 범위를 수치화시킬 수 있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의 개발자에게 감상자가 선호하는 실제 다이내믹 레인지, 컬러, 콘트라스트의 구체적인 정보 범위를 제공하여 제품 개발에 반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자동화된 수묵담채화 생성 기법 (Automatic Method for Generating Oriental Color Ink Painting)

  • 이기정;황보택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0-104
    • /
    • 2005
  • 수묵담채화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브러시, 종이, 잉크 번짐 효과 등과 같은 물리적인 모델링에 집중되어 왔다. 이 모델들은 그림을 잘 그리거나 타블릿 펜을 잘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는 효과적이지만 툴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는 만족감을 주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수묵담채화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수묵담채화에서 주로 사용하는 테마인 풍경이미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이미지 처리 기법들을 이용하여 수묵담채화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Virtual Walkthrough를 이용한 경주 대릉원지구의 경관이미지 및 시각적 특성 분석 (An Image and Visua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Gyeongju Daereungwon Area Using Virtual Walkthrough)

  • 덩베이지아;김영훈;정재현;허상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8-117
    • /
    • 2020
  • 본 연구는 경주시 역사유적지구 대릉원지구를 대상으로 Virtual Walkthrough 기법을 이용하여 가상체험한 후 평가를 통해 경관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미지 요인과 시각적 선호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릉원지구에 대한 선호도 분석으로 노서리 고분군 서쪽 경계에 위치하는 경관3이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릉원 서쪽 경계에 위치하는 경관5는 3점 미만의 낮은 점수로 분석되었다. 시각적 특성에 관한 요인분석 결과로 특이성, 공간성, 역사성 3가지의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요인점수와 시각적 선호도에 대한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특이성이 역사문화경관 대릉원지구의 시각적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Virtual Walkthrough 기법은 입체성이 강하고 실재 경관에 대한 재현 정도가 높으며, 경관분석에 효율적인 기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로 역사문화경관 시각적 질의 향상에 자료 및 정보를 제공하고 앞으로 경관계획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