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선호도 높은 이미지의 최적 파라미터 범위 연구: 다이내믹 레인지, 컬러, 콘트라스트를 중심으로

Optimum Parameter Ranges on Highly Preferred Images: Focus on Dynamic Range, Color, and Contrast

  • 박형주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
  • 하동환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 투고 : 2012.10.19
  • 심사 : 2012.12.10
  • 발행 : 2013.01.28

초록

본 연구는 감상자가 선호하는 화질의 파라미터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한 물리적인 화질 평가 항목과 인지적 특성을 반영한 화질 평가 항목을 다이내믹 레인지, 컬러, 콘트라스트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미지 감상자가 선호하는 콘텐츠별 화질의 재현 성능 범위를 구체화하였다. 그 결과 다이내믹 레인지를 의미하는 디지털 존시스템은 인물사진, 야경사진, 풍경사진이 6~10 stop의 범위를 나타냈다. 전체 RGB 평균은 인물사진(67.2~215.2), 야경사진(46~142), 풍경사진(52~185)으로 인물사진이 RGB 컬러 범위가 가장 넓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풍경사진, 야경사진의 순서대로 나타났다. 전체 콘트라스트의 범위는 인물사진(196~589), 야경사진(131~575), 풍경사진(104~767)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물사진의 경우, 노출의 기준이 되는 피부톤이 ZONE V로 나타났지만 실제로 감상자들이 선호하는 피부톤의 밝기는 ZONE IV에 해당하였다. 또한 인물사진 전체 장면과 메인 피사체의 콘트라스트 비율이 1:1.2를 나타내어 감상자가 아웃포커스 효과를 선호한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일반 감상자들이 선호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화질 재현 성능 범위를 수치화시킬 수 있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의 개발자에게 감상자가 선호하는 실제 다이내믹 레인지, 컬러, 콘트라스트의 구체적인 정보 범위를 제공하여 제품 개발에 반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order to measure the parameters of consumers' preferred image quality, this research suggests image quality assessment factors; dynamic range, color, and contrast. They have both physical image quality factor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We found out the specific ranges of preferred image quality metrics. As a result, Digital Zone System meant for dynamic range generally shows 6~10 stop ranges in portrait, nightscape, and landscape. Total RGB mean values represent in portrait (67.2~215.2), nightscape (46~142), and landscape (52~185). Portrait total RGB averages have the widest range, landscape, and nightscape, respectively. Total scene contrast ranges show in portrait (196~589), nightscape (131~575), and landscape (104~767). Especially in portrait, skin tone RGB mean values are in ZONE V as the exposure standard, but practically image consumers' preferred skin tone level is in ZONE IV. Also, total scene versus main subject contrast ratio represents 1:1.2; therefore, we conclude that image consumers prefer the out-of-focus effect in portrait. Throughout this research, we can measure the preferred image quality metrics ranges. Also, we expect the practical and specific dynamic range, color, and contrast information of preferred image quality to positively influence product 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D. Williams, P. Burns, and L. Scarff., Imaging Performance Taxonomy. SPIE-IS&T Electronic Imaging Symposium. San Joe: CA. 2009.
  2. N. E Dalal, R Rasmussen, F Nakaya., A. P. Crean., and M. Sato, "Evaluating the overall image quality of hardcopy output," IS&T PICS conference. 1998.
  3. 박형주, 하동환, "객관적 화질 평가와 주관적 화질 평가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1 권, 제8호, pp.68-76,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8.068
  4. 이승배, 정호균, 김상수, "OLED 화질 평가 기술", 전자공학회지, 제37권, 제2호, 2010.
  5. ISO 12233, Photography-Electronic Still-picture Cameras-Resolution measurements,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2000.
  6. ISO 15739, Photography-Electronic still-picture imaging-Noise measurements,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2003.
  7. 김선주, 디지털 카메라의 최적 화질 평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전자공학 전공 석사학위논문, 2006.
  8. CPIQ Initiative Phase 1 White Paper, Fundamentals and review of considered test methods, International Imaging Industry Association, 2007.
  9. ISO 14524, Photography-Electronic Still-picture Cameras-methods for measuring Opto- Electronic Conversion Fuctions (OECFs),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2005.
  10. 노연숙, 사진의 감성적 만족도에 근거한 주관적 화질 평가 방법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1. ITU-R Rec. BT. 500-11., Methodology for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television pictures,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2002.
  12. ISO 20462, Photography - Psychophysical experimental methods to estimate image quality,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04.
  13. 정우현, 한재현, 박수진, 신수진, "사진의 시각적 속성 평가와 감성 반응의 비교를 통한 감성모형 검증", 한국사진학회지, 제15호, pp.52-59, 2006.
  14. J. Radun, T. Leisti, J. Hikkinen, H. Ojanen, Jean-Luc Ilives, T. Vuori, and G.Nyman, "Content and Quality: Interpretation - Based Estimation of Image Quality," ACM Transactions on Applied Perception, Vol.4, No.4, p.21, 2008.
  15. 장은혜, 최상섭, 이경화, 손진훈, "TV 화질에 대한 감성평가 척도 개발", 감성과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21-12, 2009.
  16. 손영호, 디지털 사진을 위한 존시스템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7. B. Haynes and W. Crumpler, Photoshop CS Artistry, Indianapolis: NewRiders, 2004.
  18. A. Rizzi, G. Simone, and R. Cordone, "A modified algorithm for perceived contrast in digital images," CGIV 2008, Fourth European Conference on Color in Graphics, Imaging and Vision, IS&T, Terrassa, Spain, pp.249-252, 2008(6).
  19. G Simone, M Pedersen, and J. Y. Hardeberg, "Measuring perceptual contrast in digital images," Journal of Visual Communication and Image Representation, Vol.25, Issue1, pp.491-506, January 2012.
  20. 박형주, 하동환, "객관적 화질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2권, 제8호, pp.87-95,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