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at TM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36초

방조제 건설에 의한 해수면 온도 변화 추정 (Estimating Sea Surface Temperature Change after Tide Embankment Construction using Landsat Data)

  • 신동훈;이규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24-232
    • /
    • 2006
  • 본 연구는 Landsat Thematic Mapper (TM) 영상의 열적외선 (Thermal Infrared: TIR) 밴드 자료를 이용하여 시화호와 그 주변지역의 해수면 온도 (SST: sea surface temperature)를 검출하고, 시화방조제 공사 후의 토지피복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해수면 온도의 측정은 해양체계 뿐만 아니라 해양과 대기 사이의 열적인 경계범위 연구에 있어 중요하다. 1970년대 이후, AVHRR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과 Landsat TM (Thematic Mapper)과 같은 인공위성 영상의 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한 해수면 온도의 추출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AVHRR 영상은 우리나라의 서해안 지역과 같은 매우 복잡한 해안선을 가지고 있는 지역에서는 조악한 공간 해상도로 인해 해수표면온도 추출에 한계가 있다. Landsat TM 위성영상은 본 연구지역과 같이 복잡하고 좁은 해안지역의 해수면 온도 추출에 유용하게 사용된다고 판단된다.

  • PDF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다중시기 원격탐사 자료분석 (Multi-temporal Remote Sensing Data Analysis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정종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71-80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하여 시화호로부터 황해로 방류되는 오염된 시화호물의 방류범위를 해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지역은 Case 2 water에 속하는 지역이기 때문에 엽록소와 부유사의 정량적인 해석을 위한 알고리듬을 적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초점은 다중시기의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하는데 있다. 즉, 시화호로부터 방류되는 방류수의 공간적인 확산범위를 관측하기 위해 주성분분석을 적용하였다. 주성분분석의 결과는 엽록소, 부유사, 투명도, 표층수온, SeaWiFS 채널의 수중광학 측정결과인 반사치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PRR-600에 의해 얻어진 수중 광학 반사치는 Landsat TM 자료에서 얻어진 주성분분석 결과와 함께 분석되었다. 이러한 현장관측자료를 바탕으로 비록 다른 현장관측 측정변수가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음에도 불구하고 투명도(Secchi Disk Depth)와 주성분분석의 제 1 성분이 $R^2$=0.7631의 좋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다중시기의 원격탐사자료를 사용하여 주성분분석을 할 때 나타나는 여러 문제를 토의하였다.

  • PDF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지형변화 관측을 위한 변화벡터법 적용연구 (Application of Change Vector Analysis for Monitoring Geomorphological Change Using Remote Sensing Data)

  • 원중선;유홍룡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4호
    • /
    • pp.405-414
    • /
    • 1995
  •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한 지형변화를 관측하는데 알맞은 알고리즘에 대한 고찰과 이 알고리즘을 1986년 4월 15일과 1992년 9월 22일 경기만에서 얻어진 LANDSAT TM 자료에 적용하여 타당성을 시험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변화벡터분석법과 tasseled cap 변환을 이용한 방법이다. 변화벡터분석법은 영상자료간의 변화를 관측하는데는 우수하지만 그 변화벡터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효율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tasseled cap 변환을 이용함으로서 원래 6개 밴드의 LANDSAT TM 자료를 두 개의 밴드 즉 Brightness와 Greenness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시험적용 결과 이 알고리즘은 해안선 일대에서의 대규모 지형변화뿐만 아니라 육안관측으로는 어려운 미세한 변화까지도 관측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의 변화벡터 영상에서는 인공적인 변화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에 사용된 두 LANDSAT TM 자료가 얻어진 시간 간격이 지질학적 작용에 의한 변화가 나타나기에는 비교적 짧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ethod of Integrating Landsat-5 and Landsat-7 Data to Retrieve Sea Surface Temperature in Coastal Waters on the Basis of Local Empirical Algorithm

  • Xing, Qianguo;Chen, Chu-Qun;Shi, Ping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1권2호
    • /
    • pp.97-104
    • /
    • 2006
  • A useful radiance-converting method was developed to convert the Landsat-7 ETM+thermal-infrared (TIR) band's radiance ($L_{{\lambda},L7/ETM+}$) to that of Landsat-5 TM TIR ($L_{{\lambda},L5/TM+})$ as: $L_{{\lambda},L5/TM}=0.9699{\times}L_{{\lambda},L7/ETM+}+0.1074\;(R^2=1)$. In addition, based on the radiance-converting equation and the linear relation between digital number (DN) and at-satellite radiance, a DN-converting equation can be established to convert DN value of the TIR band between Landsat-5 and Landsat-7. Via this method, it is easy to integrate Landsat-5 and Landsat-7 TIR data to retrieve th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n coastal waters on the basis of local empirical algorithms in which the radiance or DN of Lansat-5 and 7 TIR band is usually the only input independent variable. The method was employed in a local empirical algorithm in Daya Bay, China, to detect the thermal pollution of cooling water discharge from the Daya Bay nuclear power station (DNPS). This work demonstrates that radiance conversion is an effective approach to integration of Landsat-5 and Landsat-7 data in the process of a SST retrieval which is based on local empirical algorithms.

원격탐사기법에 의한 소양호의 표층수온과 엽록소 분포 (Distribution of Surface Temperature and Chlorophyll-a in Lake Soyang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s)

  • 정종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9권3호
    • /
    • pp.177-183
    • /
    • 2000
  • The Landsat Thematic Mapper (TM) has suggested that spatial and spectral characteristics would be suited to evaluate water quality of lake. But, TM has not been commonly used for the analysis of in-land water quality, such as surface water temperature, chlorophyll-a, suspended sediments, and Secchi depth in domestic research. This paper summarizes the analysis of Landsat 5 - TM image collected on 22 Feb 1996 for evaluation of chlorophyll-a and surface temperature in the Lake Soyang. And, field measurements collected in the Lake Soyang were used to obtain water optical algorithms for calibration of satellite data. It is concluded that we can assess chlorophyll-a with remote sensing reflectance and surface temperature with thermal band in lake Soyang. However, surface temperature calculated with thermal band of Landsat TM are underestimated. Relationship between remote sensing reflectance and chlorophyll-a using the ratio of TM band 1 and band 3 is as follows; Y = 17.206 - 6.4711 * (Rrs(band1) / Rrs(band3)) $R^2$=0.8762 and, using the ratio of TM band 1 and band 2 as follows; Y = 57.77 - 35.771 * (Rrs(band1) / Rrs(band2)) $R^2$=0.8317.

  • PDF

Landsat-5 TM 위성의 영상자료를 이용한 강원대학교 연습림의 임상분석 (Estimating the Forest Cover Types on Experimental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using Landsat-5 TM data)

  • 우종춘;김한수;원현규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65-70
    • /
    • 1999
  • 본 연구는 강원대학교 연습림의 산림자원에 대한 효율적인 조사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Landsat-5 TM 위성의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침엽수와 활엽수의 면적과 분포지역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위성자료 이용가능성, 위성판독 기술의 개발, 판독된 자료의 디지털 도변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분석도구로서 IMAGINE8.3와 ArcView3.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연습림의 전체면적 3,058ha에서 활엽수는 2,224ha로서 연습림 면적에 약 73%를 차지하였고, 침엽수는 834ha로서 약 27%를 차지하였다.

  • PDF

LANDSAT TM과 JERS-1 OPS 영상을 이용한 도시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검출 (Detecting Land Use Changes in an Urban Area using LANDSAT TM and JERS-1 OPS Imagery)

  • 이진덕;연상호;유재엽;김성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3-83
    • /
    • 1999
  • 위성영상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얻어지는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정보는 지표환경이 급변하는 도시지역의 변화를 검출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정보는 도시정보시스템에서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베이스맵으로서, 그리고 바람직한 도시계획 및 개발방향을 위한 의사결정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미시를 사례지로 하여 1991년과 1997년에 수집된 Landsat TM과 JERS-1 OPS 영상데이터로부터 토지이용에 대한 무감독 및 감독분류를 각각 행하고 토지이용 변화를 검출하였다.

  • PDF

시계열 수질 분석에 의한 제주도의 해저용출수 탐사 및 검증 (Exploration and Verific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on Jeju Island by Remotely Sensed Based Water Quality Analysis)

  • 백승균;박맹언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4호
    • /
    • pp.395-409
    • /
    • 2005
  • 새로운 수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이 대두되는 제주도 연안의 해저에 존재하는 용출수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원격탐사 자료와 GIS 기법을 적용하였다. 4월, 8월, 12월에 촬영된 Landsat TM자료를 이용하여 해수면 온도, 투명도, 클로로필-a 분포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제주도 연안 해저의 용출수와 관련된 이상대를 파악하였다. 또한 지질도, 수계분포도, 분석구 분포 밀도도, 선구조 분포 밀도도, 지하수위도 등의 주제도를 이용한 퍼지기반 공간통합분석을 실시하여 제주도 해안에 주로 분포하는 용천수의 분포 특징을 분석한 결과 Landsat TM 자료 분석 결과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Landsat TM 영상에서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산불 피해정도 분류 (Classification of Fire Damaged Degree Using the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from the Landsat TM Image)

  • 김성학;김열;최승필;최철순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1-214
    • /
    • 2007
  • After the forest fire, as access is not easy, forest damage degree are determined with Landsat TM image rather than visual inspe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damaged areas are extracted with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Secon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for areas suspicious as forest fire damage areas to evaluate accuracy after separating into strong, medium and light forest fire are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