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fill stabilization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9초

사용종료 매립지 선별토양의 메탄 발생 분석 및 토양경작기술 적용 효과 연구 (Analysis of Methane from Screened Soil of Closed Landfill and Application of Landfarming for the Reduction of the Methane)

  • 김경;양재규;장윤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5권5호
    • /
    • pp.40-45
    • /
    • 2010
  • In this study, methane production by reuse of screened soil of landfill was estimated and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landfarming for the reduction of methane was investigated. The study soil sampled from S closed landfill contains VS 9.8~12.8% and its BOD/COD is 0.31~0.33 which is more than three times over 0.1, the BOD/COD stabilization criteria of Ministry of Environment. The effective remediation technology for the reduction of organics of soil, landfarming was applied to the screened soil for 60 days. VS and TPH removal showed 5.2~8.3% and 67~74% respectively, and the reduction of VS until 30 day charged 70% of the total reduction. BMP test showed 27.77~30.46 mL $CH_4$/g VS and total methane production from total screened soil for remediation is expected about 260.4 $CH_4$ ton. Expected amount of methane production of the screened soil by landfarming application is 12.9 $CH_4$ ton, which shows 95% gas reduction effect and landfarming is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methane production from screened soil of landfill.

Feasibility Study on the Landfill Monitoring and Leakage Detection System

  • Park, Jun-Boum;Kwon, Ki-Bum;Oh, Myoung-Hak;Mishra, Anil Kumar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7년 가을학술발표회
    • /
    • pp.558-569
    • /
    • 2007
  • It is important to obtain real-time data from long-term monitoring of landfills and develop leachate leakage detection system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landfills. A novel real time monitoring system and early leakage detection system wa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suggested monitoring system is composed of two parts; (1) a set of moisture sensors which monitor the areas surrounding the landfill, and (2) a set of moisture and temperature sensors which monitor the landfill inside. For the assessment for landfills stabilization, real-time monitoring system was evaluated in dry and wet cell of pilot-site. In addition, the grid-net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ement system was also suggested as early leakage detection system. In this study, the field applicability of suggested systems was evaluated through pilot-scale field tests. The results of pilot-scale field model tests indicate that the grid-net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ement method can be applicable to the detection of landfill leachate at the initial stage of intrusion, and thus has a potential for monitoring leachate leakage at waste landfills.

  • PDF

폐기물매립장의 사면차수체계 안정화 연구 (The Slope Stabilization of Solid Waste Landfill Liner System)

  • 신은철;김종인;박정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21-28
    • /
    • 2009
  • 폐기물매립장에서 토목합성재료의 사용은 점토, 모래 등 자연골재 수급의 어려움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폐기물매립지는 곡간지형이나 해안매립지에 건설하는 경우가 많아 지반공학적으로 매우 불리한 조건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폐기물매립장에 사용되는 토목합성재료의 마찰특성을 평가하였고, 현장모형실험, 수치해석을 통해 토목합성재료가 사용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안정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현장실대형 실험을 통한 토목합성재료와 사면의 파괴 거동을 분석한 결과 일체형과 분리형 지오컴포지트는 자체의 변형 뿐만아니라 하부 지오멤브레인의 응력 및 변형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체형이 설치된 사면이 분리형이 설치된 사면에 비해 약 50% 적은 변형을 나타내었다. 사면의 전방변위와 침하량은 분리형이 설치된 사면이 일체형이 설치된 사면이 비해 약 3배 이상의 침하량과 변위를 나타내었다. 토목합성재료와 지반, 토목합성재료와 쓰레기, 토목합성재료사이의 불연속면을 인터페이스요소로 모델링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한 결과, 현장 실대형실험 결과와 잘 부합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는 토목합성재료의 상호간 변위를 확인할 수 있어 인터페이스요소로 모델링하는 것이 토목합성재료가 사용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안정해석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사용종료된 유사비위생 매립지들의 환경인자 분석 (Analysis by Environmental Factor of Similar Closed Non-sanitary Landfills)

  • 이병찬;이민희;박상찬;정선기;한양수;연익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27-3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사용 종료 생활폐기물 매립지의 10년 경과 후를 중심으로 하여 매립폐기물의 물리적 특성, TS, 수분, C/N비,용출실험, 원소분석을 하였으며, 매립지의 주변 토양을 분석하였다. 매립 폐기물의 유기성 물질은 7.2%~23.5%를 차지하였으며, 무기성 물질의 대부분은 토사류로서 54.1%~71.0%를 차지하고 있었다. TS는 51.5%~68.1%, VS 23.6%~56.1%, 수분은 32.0%~48.4%로 나타났다. 유해물질의 분석결과 수은, 6가 크롬, 시안, 유기인,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용출물질 중 Pb가 0.023~0.092mg/L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원소분석 결과 C는 47.74%~56.72%, N는 4.09%~9.92%, C/N비는 5.76~12.57이었고, 매립장 주변의 토양 분석 결과 Pb이 2.465mg/kg~10.251mg/kg으로 가장 많았다. 사용종료 매립장 폐기물의 환경현황 분석을 통하여 매립장에 대한 시간에 따른 특성, 안정화도, 주변 토양의 오염도를 평가하고자 하며, 매립지 특성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Reuse and Remediation of Closed Landfill in Korea

  • Shin, Chan-ki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2년도 춘계 국제 학술대회
    • /
    • pp.91-99
    • /
    • 2002
  • A recent survey investigated that there were over one thousand un-controlled closed landfills(1,072 sites) in Republic of Korea. Most of these landfills were constructed before 1986. Waste management act were not promulgated at that time, so they usually do not have dranage system and leachate treatment facility. Also, considerable attention has been received to landfill leachate pollution, leachate has an adverse impact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soil, groundwater, and water supply sour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survey for closed landfill management, it was reported that 875 sites out of 1,072sites(81.6%) have no leachate treatment facility and 630 sites out of 1,072sites(58.7%) have been used for farm lands and residence. Consequently it is hard to do postclosure care continuously in most of cases and these uncontrolled landfills have contaminated farm lands and residence. The average age of these landfills are ranged mostly between 2 to 15 years. Much time and advanced technology are needed to remediate these uncontrolled landfills, therefore the survey for present status of closed landfill sites is required and suitable treatment processes should be prepared. With this point of view, We has been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present status of closed landfill, problems of post management and discussed plans for remediation and reuse. Remedial actions of un-controlled landfill have been carried out the many cities since 1997 upto now. Most frequently applied technology were reuse after excavation and there were several cases to capping in the surface of landfill and to construct subsurface barriers. It is considered that landfills in use have a possibility not to be controlled because of inadequate construction and improper management. Therefore remediation of uncontrolled landfills and recovery technology should be develop continuously Especially, it has been expected that resource technology of landfill gas as a energy has some advantages in controlling odors in the site area and accelerating stabilization of landfills with the energy.

  • PDF

LFG 혼합 연료의 화염 안정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Flame Stabilization of the LFG Mixing Gas)

  • 김선호;오창보;이창언;이인대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1999년도 제19회 KOSCO SYMPOSIUM 논문집
    • /
    • pp.165-172
    • /
    • 1999
  • Landfill gas has merely half heating value compared with liquified natural gas but can be greatly utilized as a commercial fuel. The authors have examined emission characteristics as well as measured burning velocity of LFG mixed gas which contains plenty of $CO_{2}$. With the viewpoint of fuel utilization, flame stability could be one of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LFG.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experiments are conducted between $CH_{4}$ and LFG for searching the region of flame stabilization based upon the flame blowout at maximum fuel stream velocity.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stabilization region of LFG is not improved with that of $CH_{4}$ in non-swirl/or weak swirl jet diffusion flame. However, it is also known that flame stability is hardly affected by inert gas in the strong swirl with considering widened flame stabilization region of LFG rather than LNG.

  • PDF

토목섬유로 보강된 폐기물 매립지반의 지지력 특성 (Bearing Capacity of Waste Landfill Reinforced by Geosynthetics)

  • 신은철;박정준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39-46
    • /
    • 2007
  • 세계적으로 폐기물의 발생량이 급증하여 매립지의 숫자가 급증하고 있으나 사용이 완료된 매립지의 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도시 폐기물 매립지는 인구밀집 지역과의 근접성, 부지개발에 따른 경제적 가치의 급등 등의 이유로 활용 가능한 새로운 건설부지로서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폐기물 매립지반 위에 구조물을 축조할 경우, 특별한 안정처리 및 보강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 지반침하, 구조물에 대한 지지력 확보 등에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 매립지반위에 구조물을 축조할 경우, 지오그리드 및 지오셀의 보강 효과를 규명하고자 반복평판재하시험을 수행하여 주요 영향인자인 지지력증가비, 지반계수, 스프링상수, 탄성회복율 등을 평가하였다.

  • PDF

플라이애쉬(F/A)가 혼합된 도시 쓰레기(MSW)의 압축 특성 (Compression Characteristics of Municipal Solid Waste Codisposed with Fly Ash)

  • 박현일;이승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41-49
    • /
    • 2003
  • 열악한 지반물성을 갖는 쓰레기 매립지반를 건설부지로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당한 침하가 유발될 수 있다. 이 경우 쓰레기 매립지반을 건설부지로 활용하고자 검토하는 지반공학자들에게는 열악한 압축 물성에 대한 파악 및 이에 대한 대책 방안이 마련되어야만 안전하고 경제적인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부분 매립 처분되고 있는 플라이애쉬를 도시 쓰레기와 함께 혼합매립함으로써 열악한 도시 쓰레기의 압축특성을 개량하여 침하를 억제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플라이애쉬가 혼합된 도시 쓰레기에 대하여 대형압축실험과 모형매립조실험을 수행하여 압축특성에 대한 안정화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플라이애쉬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압축성이 상당히 억제되었으나, 배수능력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실제 적용시에 이러한 특성들이 함께 고려될 필요성이 있다.

  • PDF

수치해석에 의한 토목섬유 보강 폐기물 매립지반의 지지력 평가 (Estimation on Bearing Capacity of Waste Landfill Reinforced by Geosynthetics Using Numerical Analysis)

  • 신은철;박정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67-74
    • /
    • 2008
  • 세계적으로 폐기물의 발생량이 급증하여 매립지의 숫자가 급증하고 있으나 사용이 완료된 매립지의 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도시 폐기물 매립지는 인구밀집 지역과의 근접성, 부지개발에 따른 경제적 가치의 급등 등의 이유로 활용 가능한 새로운 건설부지로서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폐기물 매립지반 위에 구조물을 축조할 경우, 특별한 안정처리 및 보강처리를 하지 않게 되면 지반침하, 구조물에 대한 지지력 확보 등에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시 무보강, 토목섬유 보강후 상부에 화강풍화토로 복토하여 토목섬유 보강지반의 지지력 특성을 평가하였다. 즉, 탄성모델을 기초로 2차원 해석시 하중재하에 따른 지표면의 무보강 및 보강의 경우, 각각의 수직변위 및 수평변위를 분석하여 토목섬유의 보강효과를 규명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Landfill Material by Utilizing Waste Lime

  • Shin, Eun-Chul;Oh, Young-In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7-25
    • /
    • 1999
  • 인천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송도 신도시 개발과 인천 국제공항 공사는 공유수면을 대규모로 매립하여 지반을 조성하고 있다. 현재까지 막대한 양의 준설토를 매립에 사용한 결과로 양질의 매립토 확보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성을 고려하여 소다회를 생산하고 부산물로 발생되는 폐석회를 화강풍화토와 혼합하여 매립재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환경 실험을 통하여 화학적 성분, pH, 중금속함량 등을 측정하여 환경적 영향에 대하여 검토를 수행하였다. 또한 혼합비에 따른 다짐시험, 일축압축강도시험, X-ray 회절분석시험 등을 수행하여 강도증가 및 매립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상기의 연구결과 폐석회를 화강풍화토에 무게중량으로 20%를 혼합하면 양호한 매립재로 활용이 가능하며, 환경적 영향도 국내 관련기준법을 만족함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