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by Environmental Factor of Similar Closed Non-sanitary Landfills

사용종료된 유사비위생 매립지들의 환경인자 분석

  • 이병찬 (충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 이민희 (충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 박상찬 (충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 정선기 (충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 한양수 (경동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 연익준 (충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09.03.27
  • Accepted : 2009.09.10
  • Published : 2009.10.01

Abstract

In this study, it was analysed physical characteristics, TS, moisture, C/N ratio, leaching test, and element analysis in landfill wastes of 10 years old without landfill pretreatment. The Organic material content was 7.2%~23.5% and soil was the main inorganic materials which it's rate was 54.1%~71.0%, in landfill wastes. The results of TS, VS, and moisture were represented 51.5%~68.1%, 23.6%~56.1%, 32.0%~48.4%, respectively. The analysis of hazardous materials did not indicate Hg, $Cr^{+6}$, CN, Organic Phosphorus, TCE and PCE, however the Pb of leaching materials showed 0.023~0.092 mg/L, which was the highest. As the result of the element analysis, C was 47.74%~56.72%, N was 4.09%~9.92%, the C/N ratio was 5.76~12.57 and the result of soils around landfill was the highest heavy material, Pb, 2.465 mg/kg~10.251 mg/kg.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investigate states, stabilization of these closed landfills and to gain suitable data for post-closure care using some parameters through analysis of landfill environment.

본 연구에서는 사용 종료 생활폐기물 매립지의 10년 경과 후를 중심으로 하여 매립폐기물의 물리적 특성, TS, 수분, C/N비,용출실험, 원소분석을 하였으며, 매립지의 주변 토양을 분석하였다. 매립 폐기물의 유기성 물질은 7.2%~23.5%를 차지하였으며, 무기성 물질의 대부분은 토사류로서 54.1%~71.0%를 차지하고 있었다. TS는 51.5%~68.1%, VS 23.6%~56.1%, 수분은 32.0%~48.4%로 나타났다. 유해물질의 분석결과 수은, 6가 크롬, 시안, 유기인,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용출물질 중 Pb가 0.023~0.092mg/L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원소분석 결과 C는 47.74%~56.72%, N는 4.09%~9.92%, C/N비는 5.76~12.57이었고, 매립장 주변의 토양 분석 결과 Pb이 2.465mg/kg~10.251mg/kg으로 가장 많았다. 사용종료 매립장 폐기물의 환경현황 분석을 통하여 매립장에 대한 시간에 따른 특성, 안정화도, 주변 토양의 오염도를 평가하고자 하며, 매립지 특성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충주대학교

References

  1. 김영묵, 이상용, 김만구, 신승철 (1993), 폐기물 매립지반에 대한 동다짐 공법 적용평가, 대한토목학회지, Vol. 13, No. 5, pp. 209-222.
  2. 김정권, 김석구, 박남배 (2004), 매립장의 생활쓰레기의 화학적 특성 및 침출수 수질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Vol. 21, No. 6, pp. 607-617.
  3. 박상찬, 조병렬, 정지혜, 이민희, 김태영, 박종호 (2008), 사용 종료 비위생 매립지의 환경 안정성 평가-감곡 매립지 사례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지, Vol. 9, No. 6, pp. 13-19.
  4. 연익준, 주소영, 김광렬 (2002), 소규모 비위생매립지의 환경안정성 평가, 한국폐기물학회지, Vol. 29, No. 2, pp. 234-243.
  5. 윤석표, 윤범한 (1997), 비위생매립지의 굴착, 선별, 재활용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Vol. 14, No. 6, pp. 541-547.
  6. 윤석표, 이남훈, 김재영, 조한상, 임학상, 류필조, 이진구 (2005), 매립전처리 유무에 따른 매립 후 2년이 경과된 폐기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비교, 한국폐기물학회지, Vol. 22, No. 2, pp. 153-160.
  7. 이민희, 장병인, 윤철, 연익준, 김광렬 (2005), 비위생 매립지의 물리적 조성 및 가스분석을 통한 안정화 평가-노은매립지 사례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 Vol. 6, No. 4, pp. 45-51.
  8. 이성준, 이건주, 심범보, 서용칠 (1998), 매립지와 소각 시설의 설치시 생활폐기물에 관한 특성 조사, 한국폐기물학회지, Vol. 15, No. 5, pp. 548-556.
  9. 이승희, 민달기 (2000), 서울 서부지역 생활폐기물의 물리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Vol. 17, No. 5, pp. 537-542.
  10. 이승희, 최종욱, 고대종 (2001), 경기도 K시 생활폐기물에 대한 물리화학적 특성조사, 한국폐기물학회지, Vol. 18, No. 2, pp. 228-234.
  11. 이준홍, 문동호, 김재원 (2000), 수도권 매립지에 반입되는 쓰레기의 성상 및 물리 화학적 특성, 한국폐기물학회지, Vol. 17, No. 3, pp. 363-369.
  12. 정관주, 이재영 (2007), 난지도매립지 안정화 공사 후 매립가스 및 침출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Vol. 24, No. 8, pp. 744-751.
  13. 정진도, 김정태 (2004), 농촌 중 소도시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의 물리 화학적 특성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Vol. 21, No. 4, pp. 336-343.
  14. 조한상 (2003), 비위생매립지의 안정화 평가를 위한 기초 조사, 한국폐기물학회지, Vol. 20, No. 5, pp. 470-477.
  15. 한선기, 신항식, 김상현, 김현우, 박주양 (2002), 완료매립지의 재이용에 관한 환경성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Vol. 24, No. 11, pp. 1881-1890.
  16. 홍상표 (2003), 비위생매립지 개선 및 안정화 방안에 관한 연구, 충북환경기술개발센터, pp. 2-15.
  17. 환경관리공단 (2007), 폐기물매립시설에서의 온실가스 산정
  18. 환경부 (2002), 사용종료매립지 정비지침.
  19. 환경부 (2006), 토양오염공정시험법, pp. 15-100.
  20. 환경부 (2006), 토양환경보전법, 별표 3, 별표 7.
  21. 환경부 (2006), 폐기물공정시험법, pp. 93-96.
  22. 환경부 (2006), 폐기물관리법, 별표 11.
  23. 환경부 (2008), 토양 측정망 및 실태조사 결과.
  24. 환경부 (2008), 환경백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