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cover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3초

생태계 서비스 기능평가를 위한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산림지역 경계설정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Forest Boundary in Landcover Classification Map(Level-II) for Functional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s)

  • 전성우;김재욱;김유훈;정휘철;이우균;김준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7-133
    • /
    • 2015
  • Interests in ecosystem services have increased and a number of attempts to perform a quantitative valuation on them have been undertaken. To classify the ecosystem types landcover classification maps are generally used. However, some forest types on landcover classification maps have a number of err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forest types on the landcover map by using a variety of field survey data and to suggest an improved method for forest type classifications. Forest types are compared by overlaying the landcover classification map with the 4th forest type map, and then they are verified by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and field survey data. Misclassifications of forest types are found on the forest on the forest type map and farm and other grassland on the landcover map. Some errors of forest types occur at Daegu, Busan and Ulsan metropolitan cities and Gangwon province. The results of accuracy in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show that deciduous forest is 76.1%; coniferous forest is 54.0%; and mixed forest is 22.2%. In order to increas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forest types a number of remote sensing images during various time periods should be used and the survey period of NFI and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and National Ecosystem Survey should be consistent. Also, examining areas with wide forest patch should be prioritized during the field survey in order to decrease any errors.

비점오염원 수문유출모형에 적용 가능한 위성영상의 토지피복 분류항목 설정 (Categorizing the Landcover Classes of the Satellite Imagery for the Management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s)

  • 서동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465-474
    • /
    • 2009
  • 비점오염원의 유출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상지의 토지피복 현황을 잘 파악할 수 있는 위성영상자료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문 유출모형에 사용되는 인자와 부합되는 토지피복 분류항목이 되지 못한 채 단순한 분류항목으로만 사용되거나, 육안 해석용으로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위성영상으로부터 수문유출 모형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토지피복 분류항목을 설정하여, 위성영상을 통한 효과적인 비점오염원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수문유출 모형에서 사용하고 있는 토지피복 항목을 파악하기 위하여 비점오염원 유출모델의 주요 인자,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토지피복 항목, 그리고 국내외 각 기관에서 제시하고 있는 토지피복 분류체계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비점오염원에 의한 원단위, 유출곡선지수의 토지피복 계수, 토양유실량 예측공식의 식생인자, Manning의 조도계수 등의 인자들이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하여 적용할 수 있는 토지피복 정보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위성영상으로부터 수문유출모형에 적용할 수 있는 토지피복 분류항목을 설정하였다. 또한 이 결과가 우리나라의 환경에 적절한 것인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수문유출모형 관련 기관의 전문가로부터 토지피복 분류항목의 적정성에 대한 자문 과정을 거쳐 결정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습지로 비점오염원 관리체계가 필요한 우포늪의 토평천 유역을 대상지로 하였다. 토지피복 분류항목을 적용할 위성영상으로는 분광 해상도가 높은 Landsat ETM Plus 영상과 공간 해상도가 높은 SPOT-5 영상을 사용하였다.

APPLICATION OF BACKSCATTER AND COHERENCE DATA ON C AND L BAND FOR LANDCOVER IDENTIFICATION IN TROPICS

  • Nakayama, Mikiyasu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67-270
    • /
    • 1999
  • Use of coherence data from operational satellite based SAR sensors has been experimented both on C and L band to identify landcover in tropics. While coherence data proved useful to improve accuracy in landcover identification, such data are not readily available. On the other hand, integrated use of backcatter data by multiple satellites is readily feasible. The very question to be asked is whether integration of backscatter data on multiple bands (e.g. C and L band) is either inferior or superior to use of coherence data. We therefore still do not have a solid clue to answer to the very ques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integrated use" of backscatter data on C and L band (by ERS and JERS respectively) to identify landcover, vis-a-vis the same by combination of backscatter and coherence data by single satellite. The study was carried out for an area in the southern part of the Sumatra Island, Indonesia. The area has been intensively converted from natural forest into plantation. Five categories of landcover exist in this study area. By ERS-1, only 2 or 3 classes may be identified with the backscatter data alone, while adding the coherence data could delineate 4 classes. By JERS-1, only 3 to 4 classes may be identified with the backscatter data alone, while 4 classes could be clearly delineated by adding the coherence data. By integrating backscatter data on two bands, 4 to 5 classes may be identified. It represents the best results among cases examined. The outcome of the study suggests that integrated use of backscatter data on two bands by ERS and JERS is as powerful as use of backscatter and coherence data on single band by one of these satellite.

  • PDF

산사태 취약지에서의 토지피복상태 변화 추적 (A Trace of Landcover Change in a Landslide Vulnerable Area)

  • 천기선;박재국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69-76
    • /
    • 2007
  • 강원도 지역은 산지지형이 많고 여름철 장마나 이상기후에 의한 국지적인 집중호우에 의해서 산사태가 발생하기 쉬운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수년간 계속되고 있는 대형 산불들로 인하여 지표상태가 변화되어 강우사상에 의해 쉽게 산사태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앞서 발표된 연구논문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강우조건을 제외하고는 토지피복상태가 산사태 취약성 평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산사태 취약지를 선정하고 산사태 취약 A등급지에 대해서 4개의 서로 다른 시기에 촬영된 인공위성 영상(Landsat ETM)으로 부터 토지 피복도를 추출하여 그 분포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정규식생지수를 추출하고 식생활력도의 분포변화를 분석하여 지표상태의 변화가 산사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산사태 취약지에서 산림과 식생지수가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경산시의 경관구조 분석 (The Analysis of Landscape Structure due to the Landcover Change - Case Study in Kyongsan City -)

  • 정성관;오정학;박경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9-18
    • /
    • 2002
  • 경관은 인간과 자연환경이 결합되어 시공간적으로 나타나는 토지 모자이크이며, 토지이용 및 지피(landcover)의 변화는 지역의 경관구조를 변화시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경관요소들이 존재하는 경산시를 대상으로 1985년과 1997년의 Landsat TM 영상을 통한 토지이용의 변화 및 경관지수를 사용하여 대상지역의 경관구조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화로 인해 산림 및 농경지가 도시지역으로 전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림지역에서 개발로 인한 훼손으로 파편화 현상이 발생하여 산림의 건전성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농경지를 중심으로 도시지역의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산림지역 주변의 토지이용형태가 농경지 중심에서 도시지역과 농경지의 혼합된 형태로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위성영상으로부터의 비점오염원 정보추출: 우포늪 유역을 대상으로 (Information Extraction on the Nonpoint Pollution from Satellite Imagery for the Woopo Wetland Area)

  • 서동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4-87
    • /
    • 2006
  • 국내 최고의 자연습지인 경상남도 창녕군 우포늪은 생태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지만 생태계보전지역만을 대상으로 한 소극적인 관리로 인해 여러 생태 환경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우포늪 유역 전체에 대한 생태 보전을 위해 위성영상에 의한 효율적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위성영상으로부터 비점오염원 정보를 추출하기위한 분류항목을 설정하고, 규칙기반 분류기법을 적용하여 우포늪 유역의 토지피복 분류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비점오염원 유출모형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출곡선지수, 식생피복인자, 조도계수 등의 인자에 위성영상으로부터 분류, 추출된 토지피복정보를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도농통합지역의 녹지환경정비모델에 관한 연구II -천안의 녹지구조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rban Fringe Landscape Environment Model- The Analysis of Change in Forest Structure of Chonan city-)

  • 심우경;이진희;김훈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05-112
    • /
    • 1999
  • Landcover chang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hanges structure and function of regional ecosystem. As the rise of concern on environment quality, many studies are trying to quantify and evaluate the landsacpe in recent days. In this study, using landscape indices with RS(Remote Sensing) an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echnology,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areas and distribution of forest patches were examined in the Chonan from 1985 to 1996. Fragstats 2.0 was employed to analyze and compute 31 landscape indices from 52 landcover maps. A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area of forest and paddy decreased as a result of urban sprawl. Especially from 1993 to 1996, the change of land use progressed rapidly because of merging a city and a country in Chonan. The size of patch in forest had been smaller and irregular form, heterogeneity of size of forest patches within sub-basin increased, and variety of patch types around forest patches increased from 1985 to 1996.

  • PDF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계획을 위한 위성영상으로부터의 토지피복정보 추출 (Landcover Information Extraction from Satellite Imagery for the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al Maintenance Planning)

  • 서동조;최봉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4-448
    • /
    • 2008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계획 분야에 위성영상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도시 공간 상에서 건폐지 면적, 도로 면적 등의 파악은 도시계획 수립과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인자들이다. 이들의 정보를 추출 하기 위하여 위성영상으로부터 외부공간, 건폐지, 식생, 그림자 등 4 가지 토지피복 분류항목을 설정하였으며, 각 각에 대한 분류특성 및 토지피복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데 필요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 PDF

Analysis on Urban Sprawl and Landcover Change Using TM, ETM+ and GIS

  • Xiao, Jieying;Ryutaro, Tateishi;Shen, Yanjun;Ge, Jingfeng;Liang, Yanqing;Chang, Chunpi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978-980
    • /
    • 2003
  • This study explores the temporal and spatial features near 67years (1934 ?2001) and landcover change in last 14 years (1987-2001) in Shijiazhuang, China, based on 67-year time series data edited from historical maps, TM and ETM+ imageries by integrating GIS and remote sensing method. An index named Annual Growth Rate (AGR) is used to analyze the spatial features of urban sprawl, and Maximum Likelihood classification method is utilized to detect the land cover types change. At last,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ization and factors is analyzed.

  • PDF

위성자료를 이용한 일최고온도 산출의 통계적 접근에 관한 고찰 (A New Look at the Statistical Method for Remote Sensing of Daily Maximum Air Temperature)

  • 변민정;한경수;김영섭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65-76
    • /
    • 2004
  • 본 연구는 위성으로부터 얻어진 지표온도와 Elevation Derivative Database(EDD)를 사용하여 일 최고기온을 산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은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하여 일 최고기온의 반 경험적 산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졌다. 회귀식 내에서 EDD가 하나의 독립변수로 추가되었을 때 온도 산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테스트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EDD가 회귀식에 추가되었을 때가 그렇지 않았을 때 보다 좋은 상관을 보였고 이는 EDD가 좀 더 정확한 산출을 위해 필요한 자료임을 나타낸다. 진보된 산출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본 연구는 3가지 접근을 시도하여 그 결과론 비교하였다. 3가지 접근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토지피복을 고려하지 않은 계절별 산출법, 2) 토지피복을 고려한 계절별 산출법, 그리고 3) 계절의 구분이 없는 토지피복 형태별 산출법이다. 세번째 방법이 0.56$^{\circ}C$에서 3.14$^{\circ}C$ 사이의 정확도와 함께 가장 최상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산출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가장 정확도가 좋았던 세 번째 산출 시스템에 대한 교차검증을 농경지와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검증결과는 토지 피복의 종류에 관계없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제시된 일 최고기온 산출 시스템은 남한의 대부분 지역에서 적용 가능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