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mprey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9초

Comparative Studies of Bile Acid Release in the Mature Male Lampreys

  • Yun, Sang-Se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5권1호
    • /
    • pp.63-67
    • /
    • 2012
  • A comparative study of bile acid components from four lamprey species revealed that mature male chestnut lamprey Ichthyomyzon castaneus can produce 3 keto petromyzonol sulfate (3kPZS) while mature males of Pacific lamprey Lampetra tridentata, river lamprey Lampetra fluviatilis and American brook lamprey Lethenteron appendix produce petromyzonol sulfate (PZS). Identification of 3kPZS from a group of ancient lamprey species and of PZS from recently derived species led to a speculation that differentiation of bile acid biosynthetic systems has taken place during the course of evolution. Further studies on the biological functions of different bile acids in the adult lamprey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evolution of chemical communication in lampreys.

Pineal Photoreceptor and Ganglion Cells in River Lamprey, Lampetra japonica -Two Types of Pineal Ganglion Cell-

  • Tamotsu, Satoshi;Kinugawa, Yoshimi;Kawano, Emi;Watanabe, Mai;Samejima, Michikazu;Oishi, Tadashi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21-24
    • /
    • 2002
  • Pineal organs of poikilotherm vertebrates transform the environmental light information into a humoral message and a neuronal activity. The former is melatonin, and the latter is modulation of the impulse in ganglion cells. The ganglion cells are physiologically classified into luminosity (achromatic) type and chromatic one, as the neural activity is modulated in two ways. We attempted to classify the pineal ganglion cells wit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y means of the three- dimensional reconstruction method. In the pineal ganglion cells of river lamprey, there are two different features, oval and spherical. For comparison of their projection region in the brain, the tracing investigation was also carried out. The application of the neural tracer near mesencephalic tegmentum showed that only oval-shaped ganglion cells were labeled in the pineal orga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val-shaped ganglion cell is functionally different from the spherical one.

  • PDF

랫트의 실험적 동맥경화증에 대한 칠성장어유 및 옥수수유의 예방적 효과 (Preventive Effect of Lamprey Oil and Corn Oil on the Experimental Atherosclerosis in Rats)

  • 이범준;이영순;미끼도꾸타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3-153
    • /
    • 1989
  • 콜레스테롤과 Vitamin D2로 유발시킨 동맥경화증 랫트에 칠성장어유와 옥수수유의 급여에 따른 예방적 효과를 조사할 목적으로 다음 네 개의 식이군으로 나누어 실험한 바, 첫째군은 정상대조군, 둘째군은 콜레스테롤(40/kg) 과 Vitamin D2(300,000 IU/kg)를 시험개시 1일부터 연속적으로 4일간 투여한 동맥 경화증 대조군, 셋째군은 동맥경화증 유발 처치와 함께 15% 칠성 장어유 식이(w/w)를 8일간 급여한 칠성장어유 식이군, 넷째군은 동맥경화증 유발처치와 함께 15% 옥수수유 식이 (w/w)를 8일간 급여한 옥수수유 식이군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동맥경화증 대조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혈청 중의 총지질, 인지질. 총콜레스테롤, HDL-cholesterol, LDL-chlesterol 치의 현저한 증가를 보였고 (p<0.01), 또한 심장의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치의 증가(p<0.01), 대동맥의 중성지방(p<0.01) 및 콜레스테롤치 (p<0.05)를 보였다. 한편 대동맥은 심한 손상으로 내피세포의 탈락 및 내막과 중막에 석회화, 괴사, 지방 침착을 보였고, 관상동맥은 석회화, 괴사, 백혈구의 침윤이 현저하게 관찰되었다. 칠성장어유 식이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혈청 중성지방치의 r마소 (p<0.01), 혈청 HDL-cholesterol 치의 증가(p<0.01), 심장콜레스테롤치 (p<0.05),의 증가를 보였고, 동맥경화증 대조군에 비하여는 혈청 중의 총지질, 중성지방, 인지질, 총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 , VLDL-cholesterol 치 (p<0.01), 및 LDL치의 감소(p<0.05), 또한 간장 콜레스테롤치의 증가(p<0.05), 심장의 중성지방 (p<0.01) 및 콜레스테롤치 (p<0.05)의 r마소, 대동맥 중성지방 (p<0.01) 및 콜레스테롤치 (p<0.05) 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옥수수유 식이군에 비하여 혈청 총지질(p<0.05)의 감소, 총콜레스테롤 및 HDL-cholesterol 치의 감소 (p<0.01), 심장중성지방치의 감소 , 대동맥 중성지방치의 감소 (p<0.01)를 보였다. 한편 대동맥은 동맥경화증 대조군에 비하여 미약한 석회화와 괴사된 thru을 보였으나 칠성장어유 식이군에서와 같이 지방침착은 관찰되지 않았고 관상동맥에서도 동맥경화증 대조군에 비해 미약한 석회화와 괴사된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불포화지방산을 다량으로 함유한 칠성장어유 및 옥수수유는 동맥경화증 랫트에 있어 생체내 지질대사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혈청지질치를 저하시키고 동맥벽내에 지방침착을 억제시켰으며, 이러한 효과는 n-6계 다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옥수수유보다 n-3rP 다불포화지방산을 다량으로 함유한 칠성장어유에 더욱 크게 나타났다

  • PDF

Controlling a lamprey-based robot with an electronic nervous system

  • Westphal, A.;Rulkov, N.F.;Ayers, J.;Brady, D.;Hunt, M.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8권1호
    • /
    • pp.39-52
    • /
    • 2011
  • We are developing a biomimetic robot based on the Sea Lamprey. The robot consists of a cylindrical electronics bay propelled by an undulatory body axis. Shape memory alloy (SMA) actuators generate propagating flexion waves in five undulatory segments of a polyurethane strip. The behavior of the robot is controlled by an electronic nervous system (ENS) composed of networks of discrete-time map-based neurons and synapses that execute on a digital signal processing chip. Motor neuron action potentials gate power transistors that apply current to the SMA actuators. The ENS consists of a set of segmental central pattern generators (CPGs), modulated by layered command and coordinating neuron networks, that integrate input from exteroceptive sensors including a compass, accelerometers, inclinometers and a short baseline sonar array (SBA). The CPGs instantiate the 3-element hemi-segmental network model established from physiological studies. Anterior and posterior propagating pathways between CPGs mediate intersegmental coordination to generate flexion waves for forward and backward swimming. The command network mediates layered exteroceptive reflexes for homing, primary orientation, and impediment compensation. The SBA allows homing on a sonar beacon by indicating deviations in azimuth and inclination. Inclinometers actuate a bending segment between the hull and undulator to allow climb and dive. Accelerometers can distinguish collisions from impediment to allow compensatory reflexes. Modulatory commands mediate speed control and turning. A SBA communications interface is being developed to allow supervised reactive autonomy.

Microscopic research on the olfactory organ of the Far Eastern brook lamprey Lethenteron reissneri (Pisces, Petromyzontidae)

  • Hyun-Tae Kim;Jong-Young Park
    • Applied Microscopy
    • /
    • 제50권
    • /
    • pp.18.1-18.7
    • /
    • 2020
  • The olfactory anatomy and histology of Lethenteron reissneri were researched using a stereo microscope, a light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s in other lampreys, it shows same characters as follows: i) a single olfactory organ, ii) a single tubular nostril, iii) a single olfactory chamber with gourd-like form, iv) a nasal valve, v) a nasopharyngeal pouch, vi) a sensory epithelium (SE) of continuous distribution, vii) a supporting cells with numerous long cilia, viii) an accessory olfactory organ. However, the description of a pseudostratified columnar layer in the SE and Non SE is a first record, not reported in sea lamprey Petromyzon marinus. In particular, both 19 to 20 lamellae in number and olfactory receptor neuron's quarter ciliary length of the knob diameter differ from those of P. marinus. From these results, it might be considered that the olfactory organ of L. reissneri shows well adaptive structure of a primitive fish to slow flowing water with gravel, pebbles, and sand and a hiding habit into sand bottom at daytime. The lamellar number and neuron's ciliary length may be a meaningful taxonomic character for the class Petromyzonida.

한국 남부지방에 서식하는 다묵장어 Lampetra reissneri (Agnatha)의 형태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f brook lamprey, Lampetra reissneri (Agnatha) from Southern Korea)

  • 심재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9-158
    • /
    • 1990
  • 1989년 9월부터 4월 사이에 전북 남원군(낙동강지류)과 경남 하동군(섬진강)에서 채집된 총 95개체의 다묵장어 Lampetra reissneri에서 유생이 21개체, 변태중인 개체가 16개체 그리고 성체는 58개체로서 모두 체장이 200mm이하였다. 몸통의 근절수는 55개에서 60개 사이였으며 modal number는 57.5개였다. 또한 성체의 치식(dental formula)에서 상구치판은 2첨두, 내측순치는 좌우 양측에 각각 3개씩으로 모두 2첨두를 가지고 있으며, 하구치판에는 6개에서 8개의 첨두로 되어져서 이들은 Lampetra속으로 동정되어졌다. 성체의 계측형질에서 체장에 대한 전새공길이는 10.3%, 새공길이 9.7%, 몸통길이 51.3%, 꼬리길이 28.3%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두 집단간의 그리고 성간의 유의한 차이는 볼 수 없었다.

  • PDF

자연산 다묵장어, Lethenterone reissneri에서 발생한 물곰팡이병 원인체의 동정 (Identification of water mold from wild brook lamprey, Lethenterone reissneri)

  • 김형준;박정수;김성연;구자근;방인철;권세련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9-44
    • /
    • 2013
  • 자연산 다묵장어, Lethenterone reissneri에서 발생한 물곰팡이병의 원인체를 형태학적 및 유전학적 연구를 통하여 동정하였다. 분리균주는 격벽이 없는 균사를 형성하였고, 가늘고 긴 모양의 유주자낭 내에 활발한 운동성을 보이는 유주자가 여러 줄로 배열되었다가 유주자낭의 선단에서 휴면하지 않고 한꺼번에 방출되는 특징을 보였다. 한편 유성생식기관인 조란기와 조정기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분리균주의 ITS sequence를 분석하고 Saprolegnia 속의 다른 분리균주와 유전학적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S. parasitica가 속해있는 clade I에 분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성생식기관의 형태, 유주자 방출방식 및 ITS sequence의 phylogenetic analysis에 근거하여 자연산 다묵장어에서 관찰된 물곰팡이병의 원인체는 S. parasitica인 것으로 동정되었다.

한국산(韓國産) 칠성장어속(屬) 무악류(無顎類)(Agnatha, Petromyzonidae)의 핵형(核型) (The Chromosomes of the Lamprey on the Genus Lampetra (Agnatha, Petromyzonidae) from Korea)

  • 심재환;김익수;이은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7-81
    • /
    • 1992
  • 한국산(韓國産) 칠성장어속(屬) 무악류(無顎類) 3종(種) L. japonica, L. reissneri, L. sp.에 대한 핵형(核型)을 조사하였던 바, 이들은 모두 약 160여개 정도의 dot chromosome형태였으며 염색체(染色體) 수(數)에 있어서 종간(種間)의 유의한 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