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minated wood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9초

Ply-lam CLT의 합판 접합방식에 따른 휨 성능 평가 (Evaluation of Flexura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lywood Bonding Method of Ply-Lam CLT)

  • CHOI, Gyu Woong;YANG, Seung Min;LEE, Hyun Jae;KIM, Jun Ho;CHOI, Kwang Hyeon;KANG, Seog G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107-12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층재 수종과 길이방향의 합판 접합방식과 접합부의 접착제 도포 여부에 따른 휨 성능 및 파괴 양상 분석을 통하여 합판을 코어로 사용한 CLT에 적합한 합판의 접합 방식을 최적화 하고자 하였다. 더글라스 퍼 층재의 경우 길이방향 접합에 의해 휨탄성계수 약 11.5% 감소, 휨강도는 접착제 도포 및 접합방식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 접착제 미도포 butt joint, 접착제 도포 half lap joint, butt joint 조건이 최적조건으로 도출 되었다. 낙엽송 층재의 경우 길이방향 접합에 의해 휨강도는 약 15%, 휨탄성계수는 약 40% 감소하였으며 접합방식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half lab joint와 tongue & groove joint 사용 시 합판 층의 접합부에서 휨에 파괴를 1차적으로 방지해줌으로써 중층의 층재로 전달되는 하중을 감소시켜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Ply-lam CLT 제조과정에서 낙엽송 층재를 사용하는 경우 접합방법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더글라스퍼 층재를 사용할 경우 butt joint와 half lap 접합 방식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리기다소나무 단판적층재(單板積層材)의 제조조건(製造條件)에 따른 물리적성질(物理的性質) 및 도장성능(塗裝性能) (Suitable Conditions of Producing the LVL from Pitch Pine and its Paint Film Durability)

  • 박상범;공영토;조재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3-11
    • /
    • 1989
  • 리기다소나무 단판적층재(單板積層材)(LVL)의 가구용재(家具用材)로서의 적합성(適合成) 여부(與否)를 판단(判斷)하기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하고자 요소 멜라민수지(樹脂)와 페놀수지접착제(樹脂接着劑)를 사용(使用)하여 단판적층재(單板積層材)를 제조(製造), 그 물리적(物理的),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 접착내구성(接着耐久性) 및 제조성능(製造性能)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리기다소나무 LVL 제조(製造)를 위한 적정압체시간(適正壓締時間)은 단판(單板)두께 1mm당(當) 45초(秒) 이상이 요구(要求)되었다. 2. 휨강도(强度)는 소재(素材)에 비(比)해 낮았으나 압축강도(壓縮强度)는 비슷하였고 단판(單板)의 두께가 얇을수록 강도(强度)는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였다. 3. 충격(衝擊)휨흡수(吸收)에너지는 두께 2.5cm의 경우(境遇) 섬유직각방향(纖維直角方向)(상(上))이 $0.03kg{\cdot}m/cm^2$, 섬유방향(纖維方向)이 $0.24kg{\cdot}m/cm^2$으로 $0.68kg{\cdot}m/cm^2$인 소재(素材)에 비(比)해 매우 낮았다. 4. 열압체시간(熱壓締時間)을 45초(秒)/mm 이상(以上)으로 하면 침지박리(浸漬剝離) 및 한열반복시험시(寒熱反復試驗時), 접착층(接着層)의 박리(剝離), 표면할열(表面割裂), 부풀음, 변색(變色) 등(等)이 발생(發生)하지 않았다. 5. 진공침수시험(眞空侵水試驗)은 결과(結果), 섬유방향(纖維方向)으로서 수축율(收縮率)은 약(約) 1.0%, 섬유직각방향(纖維直角方向)(횡방향(橫方向))은 약(約) 3%였으며, 1~4개(個) 정도(程度)의 표면할제(表面割裂)이 관찰(觀察)되었다. 6. 온냉건고시험(溫冷乾燥試驗)에 의한 리기다소나무 LVL의 도막할열(塗膜割裂)은 전혀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7. 리기다소나무 LVL을 내장용(內粧用)으로 사용(使用)할 경우(境遇), 부착용화장단판(付着用化粧單板)으로서는 단판자체(單板自體)의 할열(割裂)이 적은 단판(單板)을 사용(使用)하여야 하며 부착용화장단판(付着用化粧單板)과 LVL의 표면(表面)이 서로 직교(直交)되도록 접착(接着)해야 표면할열(表面割裂)의 발생(發生)이 적고 표면부착성(表面付着性)이 향상(向上)되었다. 결론적(結論的)으로 리기다소나무 LVL은 접착성(接着性)은 매우 양호(良好)하였으며 휨강도(强度), 압축강도(壓縮强度) 및 충격(衝擊)휨흡수(吸收)에너지 등(等)은 가구재료(家具材料)로써 적정수준(適正水準)이었으나 단판자체(單板自體)의 옹이 및 할열(割裂)로 인(因)해 가구재료(家具材料)로 사용(使用)할 경우(境遇), 품질(品質)이 좋은 단판(單板) 즉, 화장단판(化粧單板) 등(等)으로 표면(表面)해양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내화처리(耐火處理) 파티클보오드의 COMPLY접착(接着)이 휨강도(強度)와 전단강도(剪斷強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Bonding on Bending and Shear Strength of COMPLY Composed of Fire Retardant Treated Particleboard)

  • 이필우;권진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26-32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COMPLY의 core에 사용(使用)되는 파티클보오드를 내수처리(耐火處理)파티클보오드로 사용(使用)하였을 때 COMPLY의 강도적(強度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규명하고져 실시(實施)하였다. Ammonium sulfate의 경우 COMPLY의 MOR은 약액농도(藥液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약액농도(藥液濃度)가 10%까지는 증가(增加)하나 그 이후(以後)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고 있으며 Minalith의 경우는 ammonium sulfate의 경우와는 반대경향(反對傾向)을 나타내고 있다. COMPLY의 MOE는 약액농도(藥液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고 있지만 약액농도간(藥液濃度間)에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는 나타내고 있지 않다. COMPLY의 전단강도(剪斷強度)는 약제(藥劑)의 처리농도증가(處理濃度增加)에 따라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고 있으나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는 없으며 ammonium sulfate보다는 Minalith가 더 양호(良好)한 결과(結果)를 나타내고 있다. COMPLY의 목피율(木破率)은 15%농도(濃度)까지는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이고 있으나 그 이후(以後)는 감소현상(減少現象)을 나타내고 있다. 평행(平行) 및 교호적층재(交互的層材)의 결과(結果)는 COMPLY 결과(結果)보다 대체로 좋은 결과(結果)를 나타내고 있으나 무처리(無處理)파티클보오드의 결과(結果)는 저조(低調)한 결과(結果)를 나타내고 있다. 약제처리(藥劑處理) COMPLY의 MOR, MOE는 무처리(無處理) 파티클보오드의 결과(結果)보다 136%, 170%로 각각(各各) 증가(增加)하였다. 따라서 내수처리(耐火處理)로 인(因)한 파티클보오드의 강도감소현상(強度減少現像)은 COMPLY를 제조(製造)함으로서 강도적(強度的) 특성(性質)을 개선(改善)시킬 수 있다.

  • PDF

집성재의 강도적 성질 예측에 대한 핑거 조인트와 라미나의 강도의 영향 (Effects of Finger Joint and Strength of Lamination on the Estimation of Strength Properties of Glulam)

  • 김광철;이전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8-17
    • /
    • 2000
  • 낙엽송을 이용하여 구조용 집성재를 제조하였다. 핑거 조인트나 라미나의 강도 등의 인자들이 집성재의 강도적 성질에 영향하는 바를 조사하였다. 집성재의 강도적 성질 예측을 위해 입력변수로 라미나의 MOE만을 사용하였을 때는 실측치와 예측치 사이의 차이가 라미나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커졌는데 이것은 라미나의 성질의 변이가 집성재의 강도에 영향하는 바가 라미나의 개수 증가에 따라 누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집성재의 MOR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좀더 신중한 접근법이 필요하였다. 입력변수의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라미나의 MOE와 MOR을 동시에 입력변수로 사용하였다. 핑거접합을 실시한 라미나가 인장측에 배치되었을 때 집성재의 MOE는 라미나의 MOE 값에 상당한 변이가 존재하고 옹이에 대한 자료가 충분치 않아서 약간의 영향을 받았다. 핑거 접합을 실시한 라미나가 인장측에 배치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인장측에 배치된 경우보다 더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핑거 접합과 옹이를 동시에 고려하였을 경우 좀 더 정확한 집성재의 강도적 성질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LNG운반선 방열시스템에 적용되는 적층형 플라이우드의 극저온 기계적 특성 분석 (Cryogenic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Laminated Plywood for LNG Carrier Insulation System)

  • 김정현;박두환;최성웅;이제명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1-247
    • /
    • 2017
  • Plywood, which is created by bonding an odd number of thin veneers perpendicular to the grain orientation of an adjacent layer, was developed to supplement the weak points such as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conventional wood materials. With structural merits such as strength, durability, and good absorption against impact loads, plywood has been adopted as a structural material in the insulation system of a membrane type liquefied natural gas (LNG) carrier. In the present study, as an attempt to resolve recent failure problems with plywood in an LNG insulation system, conventional PF (phenolic-formaldehyde) resin plywood and its alternative MUF (melamine-urea-formaldehyde) resin bonded plywood were investigated by performing material bending tests at ambient ($20^{\circ}C$) and cryogenic ($-163^{\circ}C$) temperatures to understand the resin and grain effects on the mechanical behavior of the plywood. In addition, the failure characteristics of the plywood were investigated with regard to the grain orientation and testing temperature.

The Type setting and Application of the New-hanok type Public Buildings - Focused on Cases were completed after 2000 -

  • Park, Joon-Young;Kwon, Hyuck-Sam;Cheong, So-Yi;Bae, Kang-Won
    • KIEAE Journal
    • /
    • 제15권5호
    • /
    • pp.47-57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type of 'the New-hanok type Public Buildings' through a case study for the hanok public buildings completed after 2000 years, and to analyze planned properties of the type. This is significant Establishing legal status of 'the New-hanok type Public Buildings' and seeing review of application possibilities of the type for providing a systematic government support measures of 'the New-hanok type public buildings' when models developing future. Method: Method of research is the first to examine the current laws and established the definition and legal status of 'the New-hanok type Public Buildings'. Followed by Setting the type classification criteria as to classify the type of 'the New-hanok type public buildings' and research architectural overview of selected cases by Literature, Internet searches, etc. After systematizing of the types classification of analysis cases, Characteristics of the type of the building structure looks catch classify in spatial structure, function, beauty. Finally, review application possibilities of the type for systematic government support measures establish when models developing of 'the New-hanok type Public Buildings'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 Selected cases were categorized as 3 types according by structural standard based on the core concept of 'the New-hanok type Public Buildings' set in this study. This can be divided into 'Wooden Structure type' and 'Composite structure - Convergence type' and 'Composite structure - juxtaposed type', 'Wooden Structure type' was re-classified by divided into '(1)Traditional Korean Wooden Structure' and '(2)Laminated Wood Wooden Structure'.

극저온 환경 하 플라이우드의 전단 거동 및 파손 특성 분석 (Analysis of Shear Behavior and Fracture Characteristics of Plywood in Cryogenic Environment)

  • 손영무;김정대;오훈규;김용태;박성보;이제명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94-399
    • /
    • 2019
  • Plywood is a laminated wood material where alternating layer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t is used in a liquefied natural gas (LNG) carrier for an insulation system because it has excellent durability, a light weight, and high stiffness. An LNG cargo containment system (LNG CCS) is subjected to loads from gravity, sloshing impact, hydrostatic pressure, and thermal expansion. Shear forces are applied to an LNG CCS locally by these loads. For these reasons, the materials in an LNG CCS must have good mechanical performance. This study evaluated the shear behavior of plywood. This evaluation was conducted from room temperature ($25^{\circ}C$) to cryogenic temperature ($-163^{\circ}C$), which is the actual operating environment of an LNG storage tank. Based on the plywood used in an LNG storage tank, a shear test was conducted on specimens with thicknesses of 9 mm and 12 mm. Analyses were performed on how the temperature and thickness of the plywood affected the shear strength. Regardless of the thickness, the strength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decreased. The 9 mm thick plywood had greater strength than the 12 mm thick specimen, and this tendency became clearer as the temperature decreased.

<고려 나전칠기> 제작에 사용된 목공기술과 자개의 해부학적 특징에 대한 기초 연구 (Basic study of the woodworking techniques used in the production of Goryeo mother-of-pear-linlaid lacquerware and the anatomical features of the shell for the mother-of-pearl)

  • 박영만;김태하;고수린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5권
    • /
    • pp.27-34
    • /
    • 2021
  • 국립중앙박물관 고려나전향상(高麗螺鈿香箱)은 당대의 제작기법과 미학적 표현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대표 문화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형복원에 필요한 백골 제작에 사용된 수종 및 목공기술과 나전의 해부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고려나전향상은 삼나무로 만들었으며 이는 일본과 교역관계를 짐작할 수 있으며 뚜껑 하단에 있는 띠 부분 부착하기 위하여 모서리 부분에 "주름꺾기법"을 사용한 것과 상판과 측판의 결합을 위하여 나무못을 사용한 것은 얇은 판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사용된 나전의 해부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얇은 판상의 적층구조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일부 패각류에서 관찰되며 정확한 패각의 식별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Numerical investigation on seismic behaviors of midrise special moment resistant frame retrofitted by timber-base bracings

  • Ainullah-Mirzazadah, Ainullah-Mirzazadah;Sabbagh-Yazdi, Saeed-Reza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45권1호
    • /
    • pp.83-100
    • /
    • 2022
  • Timber is one of the few natural, renewable building materials and glulam is a type of engineering wood product. In the present work, timber-based braces are applied for retrofitting midrise Special Moment Resisting Frame (SMRF) using two types of timber base braces (Timber base glulam, and hybrid Timber-Steel-BRB) as alternatives for retrofitting by traditional steel bracings. The improving effects of adding the bracings to the SMRF on seismic characteristics of the frame are evaluated using load-bearing capacity, energy dissipation, and story drifts of the frame. For evaluating the retrofitting effects on the seismic performance of SMRF, a five-story SMRF is considered unretofitted and retrofitted with steel-hollow structural section (HSS) brace, Glued Laminated Timber (Glulam) brace, and hybrid Timber-Steel BRB. Using OpenSees structural analyzer, the performance are investigated under pushover, cyclic, and incremental loading. Results showed that steel-HSS, timber base Glulam, and hybrid timber-steel BRB braces have more significant roles in energy dissipation, increasing stiffness, changing capacity curves, reducing inter-story drifts, and reducing the weight of the frames, compared by steel bracing. Results showed that Hybrid BRB counteract the negative post-yield stiffness, so their use is more beneficial on buildings where P-Delta effects are more critical. It is found that the repair costs of the buildings with hybrid BRB will be less due to lower residual drifts. As a result, timber steel-BRB has the best energy dissipation and seismic performance due to symmetrical and stable hysteresis curves of buckling restrained braces that can experience the same capacities in tension and compression.

국내 기계등급구조재의 등급구분체계 및 기준설계값 결정방법 연구 (Determination of Grades and Design Strengths of Machine Graded Lumber in Korea)

  • 홍정표;이전제;박문재;여환명;방성준;김철기;오정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446-455
    • /
    • 2015
  • 국내외 기계등급제재목(구조재 및 층재)의 등급기준 및 설계강도 산출방법을 비교 분석하고 국내 제재산업 실정을 고려한 평균 탄성계수(modulus of elasticity, 이하 MOE) 기준방법 적용을 제안하였다. 먼저 올바른 기계등급제재목 기준 정착을 위해 기계등급구조재와 기계등급층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하였다. 최소 고정 MOE 기준 등급을 사용하는 국내 기준은 등급구분에는 편리하나 휨강도(modulus of rupture, 이하 MOR) 예측과 자원이용도 측면에서는 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외에서 사용되는 평균 MOE 기준 방법은 초기 컴퓨터 기반 작동을 요구하나 MOR-MOE 직선회귀에 근거한 합리적인 MOR 예측과 품질관리 측면에서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엇보다도 현 국내 기계등급구조재 등급체계는 수종별 강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MOR-MOE 직선회귀분석에 근거한 기계등급제재목 등급기준 및 기준설계값 산출방법 적용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국산 기계등급구조재 생산 활성화를 이루고, 기계 등급구조재의 층재 전용 가능에 따른 구조용 집성재 가격경쟁력 제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