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uca indica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6초

한국산 왕고들빼기속(Lactuca)의 핵형분석 (A karyotype analysis of Lactuca (Asteraceae) in Korea)

  • 양지영;최경;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4-2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왕고들빼기속 (Lactuca) 중에서 한국에 자생하는 왕고들빼기 (L. indica)와 두메고들빼기 (L. triangulata)의 체세포염색체수와 핵형을, 귀화종인 가시상치 (L. scariola)의 체세포염색체수와 핵형을 처음으로 조사하였다. 체세포염색체의 기본수는 x = 9이었고 염색체 배수화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염색체 조성을 조사한 결과 왕고들빼기는 2n = 18 = 2 m + 7 sm, 가시상치는 2n = 18 = 1 m+ 6 sm + 2 st, 두메고들빼기는 2n = 18 = 2m + 5 sm + 2st로 나타났고, 왕고들빼기와 두메고들빼기의 경우 염색체의 단완 말단에 부수체가 존재하였다. 왕고들빼기, 가시상치, 두메고들빼기의 반수체 게놈의 길이는 각각 $56.3{\mu}m$, $35.3{\mu}m$, $72.5{\mu}m$로 나타났고, 각 염색체의 크기는 귀화종인 가시상치가 $2.7-5.3{\mu}m$로 가장 작았으며 왕고들빼기와 두메고들빼기는 각각 $4.7-7.5{\mu}m$, $5.0-8.0{\mu}m$로 비슷하였다. 가시상치의 핵형은 sect. Tuberosae에 속하는 왕고들빼기, 두메고들빼기와 차이를 보인 반면, sect. Lactuca, subsect. Lactuca에 속하는 분류군의 핵형과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왕고들빼기로부터 얻은 Triterpene Acetate의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Serum Cholesterol Lowering Effect of Triterpene Acetate Obtained from Lactuca indica)

  • 김미정;이은;차배천;최무영;임태진;박희준
    • 생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1-25
    • /
    • 1997
  • The diets with three types of triterpenoid constituents, which were isolated from Lactuca indica, provoked significant changes of serum lipoprotein-cholesterol meta bolisms of hypercholesterolemic rats induced by high-cholesterol diet, together with the reduction of atherogenic index. Especially, triterpene acetates which have triterpene moieties such as ${\beta}-amyrin$, ${\alpha}-amyrin$, lupeol, pseudotaraxasterol, taraxasterol and germanicol showed a considerable hypocholesterolemic activity. The rat given orally with triterpene acetates did not exhibit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of atherogenic index than that of normal rats.

  • PDF

Isolation of Hepatoprotective Phenylpropanoid from Lactuca indica

  • Kim, Ki-Hyun;Kim, Young-Ho;Lee, Kang-R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6권1호
    • /
    • pp.6-9
    • /
    • 2010
  • In continuing our search for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Korean Compositae medicinal plants, we investigated the constituents of the aerial parts of Lactuca indica L. and isolated a phenylpropanoid derivative from its MeOH extract. The chemical structure was characterized by spectroscopic methods, including 1D and 2D NMR to be di-E-caffeoyl-meso-tartaric acid (1). Compound 1 was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In this paper, we suggest that the NMR assignment at C-2 of (+)-taraxafolin-B should be corrected. In the human HBV-transfected liver cell line HepG2.2.15, the compound 1 effectively reduced HBV DNA level in the release of mature HBV particles from HepG2.2.15 cultivation.

야생 및 재배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ild and Cultivated Lactuca indica)

  • 김자민;김주남;이경수;신승렬;윤경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26-532
    • /
    • 2012
  • 본 연구는 재배량이 증가하고 있는 왕고들빼기를 야생 왕고들빼기와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잎과 뿌리의 일반성분 및 환원당,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무기질, 클로로필 그리고 조사포닌 함량을 측정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야생 왕고들빼기와 재배 왕고들빼기 잎과 뿌리 모두 탄수화물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조단백질과 탄수화물 함량에서 재배 왕고들빼기 뿌리가 야생 왕고들빼기 뿌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은 잎과 뿌리 모두에서 재배 왕고들빼기가 야생 왕고들빼기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함량 또한 재배 왕고들빼기 잎과 뿌리 모두 야생 왕고들빼기보다 높았다. 비타민 C 함량은 잎이 재배 왕고들빼기가 높았고 뿌리는 야생 왕고들빼기가 높았다. 무기질은 야생 및 재배 왕고들빼기 뿌리와 잎 모두 칼륨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유기산 함량은 재배 왕고들빼기 잎과 뿌리가 야생 왕고들빼기 잎과 뿌리보다 각각 6배, 3배 이상 높았다. 클로로필 함량은 재배 왕고들빼기 잎이 야생 왕고들빼기 잎보다 높았으며, 조사포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 재배 왕고들빼기 뿌리가 야생 왕고들빼기 뿌리보다 2.5배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재배 왕고들빼기가 야생 왕고들빼기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산채류의 재배 활성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재배 왕고들빼기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향후 야생 및 재배 왕고들빼기의 기능성분 및 다양한 생리기능성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시상추의 한국 적응 유형 (Adaptation Patterns of Prickly Lettuce in Korea)

  • 이종운;신상천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1-136
    • /
    • 1998
  • 외근에 귀화한 가시상추(Lactuca serriola)의 분산과 적응을 연구하였다. 가시ㅛ 추의 분포는 한반도 중부지방의 남부에 제한되었다. 그 분포지역은 인간에 의한 이동으로 점차 확산되고 잇었다. 10개의 조사지역의 관측결과 천이의 초기단뎨에 있는 노변식생으로 나타났다. 즉 측수의 90%의 초본층과 5%의 관목층으로 구성되었으나 교목층은 없었다. 우점종군은 Kummeroverowia stipulacea, Ixeris chimensis, Ambrosia artemisiifolia., Lactuca indica, Tiungia sonchifolia, Cephalonoplos segetum, Rubus parvifolius, Ixeris polycephala, Hemistepta Lyrata, Cercis chinensis Artemisia capillaris 이었다. 조사지역은 식생의 높은 상이도로 4개유형으로 구분되지만 많은 우형이 나타나는 것은 아직 가시상추의 특유한 군락은 형성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였다.

  • PDF

한국 미기록종 Caliothrips tongi (총채벌레목: 총채벌레과)에 대한 보고 (New record of Caliothrips tongi (Thysanoptera: Thripidae) in Korea)

  • 이관석;이원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49-454
    • /
    • 2015
  • 그물총채벌레아과의 중국 남부에서만 알려졌던 고들빼기총채벌레(신칭, Caliothrips tongi Mound et al.)를 한국에서 처음 보고한다. 이 종은 우리나라 전국에 걸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아시아 원산인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국화과)가 주요 기주이고 잎에 심각한 피해를 준다.

왕고들빼기의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및 트리테르페노이드 성분 (Serum Cholesterol Lowering Effects and Triterpenoids of the Herbs of Lactuca indica)

  • 박희준;이명선;이은;최무영;차배천;정원태;양한석
    • 생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0-46
    • /
    • 1995
  • A methanol extract of the herbs of Lactuca indica L. effectively decreased the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when orally administered with diet. On fractionation of the extract, a chloroform-soluble fraction showed the similar effects with the methanol extract. Chromatographic separation afforded a mixture of triterpene alcohols and their acyl derivatives. A mixture of triterpene alcohols were identified as ${\beta}-amyrin$, ${\alpha}-amyrin$, lupeol, pseudotaraxasterol, taraxasterol and germanicol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methods. The acyl moieties in the corresponding acyl mixture were characterized as acetates and palmitates, respectively. And three kinds of sterol such as ${\beta}-sitossterol$, compesterol and stigmasterol were isolated as a mixture state.

  • PDF

고채 (왕고들빼기) 생육특성과 식용방법 (Growth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Process and utilization of Lactuca indica L.(wang - godulppaegi))

  • 이희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1-46
    • /
    • 1996
  • 본시험은 고채발아 및 생육특성과 가공이용 $1990\sim1995$년 충남농촌진흥원 특작시험포장 하우스에서 수행된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2월 15일, 5월 30일 파종구에서 5월 파종구가 출현 소요기간 14일로 2월 파종구 18일 보다 4일 빨랐으나 출현율은 2월 파종구 64%로 5월 파종구보다 11% 높았다. 2. 관행구(대비) 초장 36cm보다 GA 50, 100ppm에서 $12\sim60cm$ 엽장길이가 길어 초기 도장성향을 나타냈으나 후기 수량특성은 $21\sim56%$ 증수하였다. 3. 고채 발아온도 $25^{\circ}C$에서 65% 발아율과 관행구보다 자연수 침적구가 발아, 생육 및 수량이 양호하였다. 4. 고채엽은 식용으로 들깨잎, 상치보다 손색이 없었고 삶아 나물이용보다는 신선한 채소 이용이 연화정도, 맛, 색깔 등에 식미결과 좋은 반응이었다. 5. 고채엽장은 $15\sim20$일이 생육시 20cm내외로 채엽 가능하며 연화정도가 식용으로 가장 이상적이었다.

  • PDF

왕고들빼기 어린잎과 성체의 수확 후 특성과 온도별 저장성 비교 (Comparison of Post-Harvest Character and Storability at Several Temperature for Lactuca indica L. Baby and Adult Leaves)

  • 김주영;한수정;왕립;최인이;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2-177
    • /
    • 2019
  • 왕고들빼기(선향 품종)을 4주 간격으로 파종하여, 4주 동안 재배하여 어린잎(초장 10cm 이하)과 8주 동안 재배하여 성체(초장이 $20{\pm}5cm$) 상태에서 수확하였다. 수확직후 조사한 호흡률과 에틸렌 발생률은 모두 어린잎이 성체보다 높았으며, DPPH 라디컬 소거능도 성체에 비해 어린잎에서 높았다. 잎의 $L^*$, $a^*$, $b^*$값은 어린잎과 성체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엽록소 함량은 성체에서 높았다. 왕고들빼기 성체와 어린잎을 미세천공 필름으로 포장하여 $2^{\circ}C$, $8^{\circ}C$, 및 $20^{\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생체중 감소율이 높았으며, $2^{\circ}C$$8^{\circ}C$에서는 성체의 생체중 감소율이 낮았다. 저장 중 패널테스트를 통해 진행한 외관상 품질도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빠르게 나빠졌다. 또한 외관상 품질이 3점을 유지되었던 기간으로 계산한 저장수명은 성체가 $2^{\circ}C$에서는 1.6일, $8^{\circ}C$에서는 1.4일, 그리고 $20^{\circ}C$에서는 1.5일 어린잎보다 더 길었다. 저장 종료일 조사한 포장 내 산소 및 이산화탄소 농도는 대기 중 농도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저장 종료일의 엽록소 함량은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높게 유지되었고, 패널테스트로 조사한 이취는 어린잎에서 더 높은 수준이었다.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Lactuca serriola leaves and their content analysis by HPLC-UV

  • Kim, Juree;Lee, Hak-Dong;Choi, Jungwon;Lee, Sanghy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3호
    • /
    • pp.153-158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Lactuca serriola leaves and perform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methanol (MeOH) extract of L. serriola, L. indica, L. raddeana, L. sativa, and L. triangulata. Six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MeOH extracts of L. serriola using open column chromatography and identified as protocatechuic acid (1), caffeic acid (2), cynaroside (3), apigenin 7-glucuronide (4), luteolin (5), and apigenin (6) using 1H-, 13C-nuclear magnetic resonance, and mass spectrometry.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ix compounds was performed on the MeOH extract of Lactuca specie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an ultraviolet (UV). A reverse-phased column was used, and the UV absorbance was set to 280 nm. The contents of compounds 2 and 3 were the highest (1.58 and 2.64 mg/g ext., respectively) in L. serriola extracts. However, compounds 4 and 6 were higher (1.46 and 0.40 mg/g ext., respectively) in L. triangulata. These results provide quantitative data for the application of Lactuca species in the pharmaceutical and functional food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