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fermentation

검색결과 1,680건 처리시간 0.029초

팽화 홍삼 추출액을 첨가한 양파 착즙액의 유산 발효 (Lactic Acid Fermentation of Onion Juice Supplemented with Puffed Red Ginseng Extract)

  • 박영서;장재권;최영진;정명수;박훈;심건섭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1호
    • /
    • pp.16-23
    • /
    • 2009
  • 양파 착즙액에 팽화 홍삼 추출액의 첨가량을 달리하면서 Pediococcus pentosaceus KC-007을 이용하여 유산발효시킨후 발효액의 특성과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양파 착즙액에 팽화 홍삼 추출액을 각각 0.5, 1, 2, 4%(v/v) 첨가한 후 배양시간에 따른 유산균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팽화 홍삼추출액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발효 24시간에서 가장 높은 생균수를 나타내었다. 발효액의 산도는 팽화홍삼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모든 시료구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발효액의 pH는 발효 36시간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효액의 환원당은 발효 24시간까지는 환원당 함량이 감소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발효액의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1%(w/v) 이상의 팽화 홍삼 추출액을 양파착즙액에 첨가하여 발효하였을 때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종합적 기호도는 1%(w/v)의 팽화 홍삼 추출액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좋았으므로 양파 착즙액에 팽화 홍삼추출액을 첨가하여 발효할 경우에는 팽화 홍삼 추출액을 1%(w/v)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통누룩을 이용한 누룩소금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Study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uruk Salts Made from Different Traditional Nuruk)

  • 정경순;정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35-542
    • /
    • 2019
  • 본 연구는 각종 누룩으로 제조한 누룩소금들의 성분을 비교분석하여 누룩소금 제조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누룩소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누룩종류로 이화국, 미인국, 백국, 입국을 선정하여 누룩을 제조한 후 특성을 파악하였고, 재료비율과 온도 등 동일한 발효조건하에 누룩소금을 제조 후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누룩소금 제조 시 pH는 발효전 6.2-6.5에서 발효 3일후 6.1-6.2로 떨어진 다음 이후에는 약간 높아졌다. 총산은 발효전 0.16-0.18에서 발효후 0.22-0.25로 증가하였으며 누룩 간 차이는 없었다. 당도는 발효 후 높아졌으며 입국으로 만든 누룩소금이 가장 큰 당도 증가를 보였다. 누룩소금의 염도는 발효 전 30-32에서 발효 후 37-44로 높아졌으며 입국의 증가폭이 가장 컸다. 누룩소금의 유기산은 acetic acid, oxal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citric acid 순으로 많이 검출되었다. 백국소금의 oxalic acid는 0.77 mg/mL으로 입국소금의 2.3배 많았고, succinic acid도 1.19 mg/mL로 백국소금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malic acid, lactic acid, acetic acid 및 citric acid는 각각 0.29 mg/mL, 1.48 mg/mL, 0.12 mg/mL로 입국소금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입국으로 제조한 누룩소금이 다른 누룩으로 제조한 누룩소금 보다 부드러운 감칠맛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콩배아의 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에 의한 이소플라본과 소야사포닌 변화 (Bioconversion of Isoflavone and Soyasaponin in the Fermentation of Soy Embryo Using Lactic Acid Bacteria)

  • 이미자;박송이;이광식;김현영;나지은;함현미
    • 산업식품공학
    • /
    • 제23권3호
    • /
    • pp.209-216
    • /
    • 2019
  • 콩 가공 부산물인 콩 배아 이소플라본의 생체내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LA, LB, LP 등 3가지 유산균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비배당체화 전환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균주의 종류와 접종량, 발효시간에 따른 이소플라본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균주를 이용한 모든 발효에서 균주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전환을 보였고, 발효시간에 따른 비배당체 전환율은 24시간에서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후에는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비배당체화 발효의 최적 균주는 LP균, 접종량은 5%, 발효시간은 24시간 이었다. 대조군의 이소플라본 배당체의 구성은 글리시틴>다이드진>제니스틴 순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켰을 때 배당체들은 감소하였고, 비배당체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다이드제인>글리시테인>제니스테인 순으로 45% 이상의 비배당체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산균으로 발효시켰을 때 다이드진의 함량이 가장 크게 감소하였고, 다이드제인 함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소야사포닌의 경우 발효에 의하여 Ab가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Ba와 Bb가 증가하였다. 발효액은 pH 3에서 pH 6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다이드제인 함량이 많이 증가하였고, 소야사포닌 함량은 Ab 함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Ba와 Bb 함량도 소량감소하는 등 발효액의 pH가 발효에 의한 이소플라본과 소야사포닌 함량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고, LP균을 이용한 발효로 가공부산물인 콩 배아의 생리활성 증가 및 기능성소재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Lactic acid 회수를 위한 침전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Precipitatio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Lactic Acid)

  • 최국화;장용근;김진현
    • KSBB Journal
    • /
    • 제26권1호
    • /
    • pp.13-1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Ca(LA)_2$의 침전조건을 최적화하고 침전된 $Ca(LA)_2$ 용액에 황산을 처리하여 고순도, 고수율의 lactic acid를 회수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Ca(LA)_2$의 용해도를 낮추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유기용매 첨가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였다. 모델용액의 경우 침전을 위한 최적의 석회종류, 석회량, 교반속도, 시간, 온도, 유기용매 첨가량은 각각 CaO, 0.0175 g/mL, 220 rpm, 24 h, $5^{\circ}C$, ethanol 25% (v/v)이었으며 최적 조건 하에서 가장 높은 순도 (98%)와 수율(69%)을 얻을 수 있었다. 발효배양액 (lactic acid 순도: 69%, pH: 7.3)의 경우, 모델용액으로부터 얻은 최적의 조건 하에서 $Ca(LA)_2$ 회수 과정에서 64%, 회수된 $Ca(LA)_2$에 황산을 첨가 ($Ca(LA)_2/H_2SO_4$ molar ratio = 1:1)하여 lactic acid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86%의 회수율을 각각 얻어 발효배양액으로부터 총괄 수율 55%로 lactic acid (순도: 88.6%)를 얻을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Additives in Napier Grass Silages on Chemical Composition, Feed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and Rumen Fermentation

  • Bureenok, Smerjai;Yuangklang, Chalermpon;Vasupen, Kraisit;Schonewille, J. Thomas;Kawamoto, Yasuhir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9호
    • /
    • pp.1248-1254
    • /
    • 2012
  • The effect of silage additives on ensiling characteristics and nutritive value of Napier grass (Pennisetum purpureum) silages was studied. Napier grass silages were made with no additive, fermented juice of epiphytic lactic acid bacteria (FJLB), molasses or cassava meal. The ensiling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by ensiling Napier grass silages in airtight plastic pouches for 2, 4, 7, 14, 21 and 45 d. The effect of Napier grass silages treated with these additives on voluntary feed intake, digestibility, rumen fermentation and microbial rumen fermentation was determined in 4 fistulated cows using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he pH value of the treated silages rapidly decreased, and reached to the lowest value within 7 d of the start of fermentation, as compared to the control. Lactic acid content of silages treated with FJLB was stable at 14 d of fermentation and constant until 45 d of ensiling. At 45 d of ensiling,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of silage treated with cassava meal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e others. In the feeding trial, the intake of silage increased (p<0.05) in the cow fed with the treated silage. Among the treatments, dry matter intake was the lowest in the silage treated with cassava meal. The organic matter, crude protein and NDF digestibility of the silage treated with molasses was higher than the silage without additive and the silage treated with FJLB. The rumen parameters: ruminal pH, ammonia-nitrogen ($NH_3$-N), volatile fatty acid (VFA), blood urea nitrogen (BUN) and bacterial popul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In conclusion, these studies confirmed that the applying of molasses improved fermentative quality, feed intake and digestibility of Napier grass.

김치발효에 대한 Nisin의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Nisin upon Kimchi Fermentation)

  • 최신양;이인선;정건섭;구영조;유진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20-623
    • /
    • 1990
  • 김치발효시 nisin의 저해효과를 보기 위해 김치 g당 100IU의 nisin을 첨가하여 대조구와의 발효양상을 비교 하였다. 김치를 제조하여 15'C에서 발효시킬 때 pH의 변화는 대조구가 발효 5일에 pH 4.04인 반면 nisin 첨가구는 7 일째에 pH4.03으로 떨어졌으며, 산도는 대조구가 발효 5일, 9일 14일에 각각 0.57, 0.93, 1.13이었으나 nisin 첨가구는 0.47, 0.69, 0.88의 낮은 산생성량을 보였다. 젖산균의 최대 증식은 대조구가 발효 7 일째에 1.8, 1.6 x 10CFU/ml을 나타냈으며, nisin 첨가구는 5 일째에 9.5, 6.4 x 107CFU/ml 를 나타내어 nisin에 의한 젖산균의 생육저해를 보였다.

  • PDF

유산균 발효에 의한 톳 (Hizikia fusiforme) 추출액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증가 (Enhancement of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Hizikia fusiforme Water Extract by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 송호수;엄성환;강영미;최종덕;김영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1-117
    • /
    • 2011
  • We previously reported that fermentation by Lactobacillus brevis LB-20 isolated from Kimchi resulted in improvement of the sensory quality of Hizikia fusiforme water ex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ossible appl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to improve the functional qualities of H. fusiforme extract. L. brevis LB-20 was inoculated and cultivated in H. fusiforme extract.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xtract were then assayed both before and following fermentation for two days. Antioxidant activity was determined by assaying levels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gainst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hydroxyl, superoxide, and alkyl radical. Lactic acid bacterial fermentation of H. fusiforme extract resulted in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The greatest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was seen in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ssay that incorporated 0.5 mg/mL of raw and fermented H. fusiforme extract. Fermented extract exhibited greater (21.95%)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esis than did raw extract (14.66%) at a concentration of 1 mg/mL. The fermented extract exerted its pot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via attenuation of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cytokine proteins (TNF-${\alpha}$ and iNOS).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molasses on fermentation dynamics,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carbohydrate composition and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of rice straw silage

  • Zhao, Jie;Dong, Zhihao;Li, Junfeng;Chen, Lei;Bai, Yunfeng;Jia, Yushan;Shao, Ta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6호
    • /
    • pp.783-791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ermentation dynamics,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carbohydrate composition and in vitro gas production of rice straw ensiled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molasses. Methods: Fresh rice straw was ensiled in 1-L laboratory silos with no additive control (C), Lactobacillus plantarum (L), molasses (M) and molasses+Lactobacillus plantarum (ML) for 6, 15, 30, and 60 days. After storage, the silages were subjected to microbial and chemical analyses as well as the further in vitro fermentation trial. Results: All additives increased lactic acid concentration, and reduced pH, dry matter (DM) loss and structural carbohydrate content relative to the control (p<0.05). The highest organic acid and residual sugar contents and lignocellulose reduction were observed in ML silage. L silage had the highest V-score with 88.10 followed by ML silage. L and ML silage improved in vitro DM digestibility as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while in vitro neutral detergent fibre degradability (IVNDFD) was increased in M and ML silage (p<0.05). M silage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propionic acid (PA) content and decreased butyric acid content and acetic acid/PA as well as 72-h cumulative gas productio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ML was effective for improving both the fermentation quality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rice straw silage. Inclusion with molasses to rice straw could reduce in vitro ruminal gas production.

Improvement of Fermentation Quality of Rice Straw Silage by Application of a Bacterial Inoculant and Glucose

  • Li, Jing;Shen, Yixin;Cai, Yim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7호
    • /
    • pp.901-906
    • /
    • 2010
  • The improvement of the fermentation quality of rice straw silage by appl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glucos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Sixteen rice varieties were harvested at the maturity stage and the rice straw was ensiled with LAB inoculant ($1{\times}10^5$ cfu/g of fresh weight) and glucose (2% of fresh weight). Inoculation with LAB improved the fermentation as reflected in reductions in pH, acetic acid (by 3.7 to 78.3%), butyric acid (by -6.0 to 100.0%) and ammonia nitrogen (by 1.0 to 71.7%) concentrations, and increases in lactic acid (by 43.9 to 282.9%) and crude protein concentrations compared with the control. Application of LAB plus glucose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fermentation quality than LAB alone. The variety of rice straw which contained relatively high levels of water soluble carbohydrates (WSC) tended to obtain better fermentation quality. The results suggested that LAB application and selection of rice varieties whose straw contained high levels of WSC were effective in improvement of the fermentation quality of rice straw silage.

김치의 저온 발효 중 미생물 변화 양상 (Change of Microbial Communities in Kimchi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 박정아;허건영;이정숙;오윤정;김보연;민태익;김치경;안종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5-50
    • /
    • 2003
  • 분자 생물학적 방법 인 DGGE를 이용하여 저온에서 김치가 발효되는 동안 관여하는 미생물의 다양성과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김치를 저온 ($4^{\circ}C$)에서 발효시키는 60 일 동안 5 일 마다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채취한 김치 시료에서 genomic DNA를 추출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김치 시료 genomic DNA로부터 16S rDNA의 V3영역을 증폭하여 DGGE를 수행한 결과에서 관찰된 amplicon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저온에서 김치가 발효되는 동안 젖산균들이 주요 미생물 군집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Weissella koreensis가 발효 전 과정 동안, Lactobacillus sakei의 경우는 발효 10 일째부터, 그리고 Leuconostoc gelidurn은 발효30 일째부터 amplicon들의 농도가 진하게 나타나 이들이 저온에서 김치 발효 과정 동안의 우점종 균주들 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