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 acid starter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3초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brevis의 생장 특성에 관한 연구( I ) - Sourdough 배지의 영양 조성 최적화 - (Studies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brevis Isolated from Kimchi - Optimization of Nutrient Composition in Sourdough Media -)

  • 신언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5-219
    • /
    • 2002
  • Sourdough 빵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산균중 Lb. brevis는 높은 산 생성율과 단백질 분해 활성과 sourdough 발효중 발생되는 휘발성 화합물의 합성에 뚜렷하게 기여를 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을 sourdough starter로 사용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Lactobacillu brevis UC-22의 배양 특성 및 최적 성장조건을 조사하였다. 온도에 따른 증식은 35$^{\circ}C$에서 배양한 것이 PH의 저하 및 증식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이에 병행하여 산 생성량도 균주의 대수 증식기에서 활발하게 분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배지내의 pH에 따른 균의 생장은 pH 5.5와 pH6.5일 때 증식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Lb. brevis의 특징적인 탄소원 이용은 glucose보다는 오히려 maltose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으나 본 실험에 사용된 Lactobacillus brevis UC-22는 maltose와 glucose의 첨가에 따른 성장 정도는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INCIDENCE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INDIGENOUS DAHI

  • Masud, T.;Sultana, K.;Shah, M.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4권4호
    • /
    • pp.329-331
    • /
    • 1991
  • Fifty samples of indigenous dahi were collected randomly from the local market of Rawalpindi/Islamabad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lactic acid bacteria. The micro-organisms isolated were Lactobacillus bulgaricus (86%), Streptococcus themophilus (80%), Streptococcus lactis (74%), Lactobacillus helveticus (34%), Streptococcus cremoris (30%), Lactobacillus casei (20%)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14%)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indigenous dahi contains mixture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hus the quality of dahi may vary with the type of starter culture used for inoculation.

Optimizing the fermentation condition of low salted squid jeotgal by lactic acid bacteria with enhanced antioxidant activity

  • Akther, Fahima;Le, Bao;Chung, Gyuhwa;Yang, Seung Hwa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4호
    • /
    • pp.391-402
    • /
    • 2017
  • Lactic acid bacteria (LAB) are widely used as starter culture in food fermentation due to their harmless entity and health beneficial properties along with the ability to change texture, aroma, flavor and acidity of food products. In this study, five different LAB (FB003, FB058, FB077, FB081, and FB111) isolated from different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assigned to Lactobacillus plantarum, Pediococcus pentosaceus, Weissella viridescens, Lactobacillus sakei,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ir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16S rRNA sequence analysis, to use as fermentation starter and check their ability to fasten the ripening time as well as the overall optimization in the fermentation condition. To check their suitability as starters, their safety, acid and bile tolerance, NaCl and temperature resistance, susceptibility to common antibiotic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determined. Squid jeotgal samples were prepared by adding $10^8CFU/g$ of each strain in different samples, which were then kept for fermentation at $4^{\circ}C$ and check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at 0, 7, 15, and 21-day intervals. The samples fermented with FB003 and FB077 display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This study revealed two effective starter cultures (FB003, FB077) for squid jeotgal fermentation, which presented increased functiona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novel industrial-scale production avenues for jeotgal preparation, and offer new insights into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chronic diseases.

Selection of Starter Cultures and Optimum Conditions for Lactic Acid Fermentation of Onion

  • Choi, You-Jung;Cheigh, Chan-Ick;Kim, Su-Woo;Jang, Jae-Kweon;Choi, Young-Jin;Park, Young-Seo;Park, Hoon;Shim, Kun-Sub;Chung, Myong-S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1100-1108
    • /
    • 2009
  • Lactic acid bacteria (LAB) isolated from various fruits and vegetables were screened in order to determine appropriate fermentation starters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fermented onion juice. From the initial screening test comprising more than 700 isolated LAB, 16 isolate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acid production rate. Among the selected isolates, the fermentation broth of KC-007 exhibited the highest electron donating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with values at pH 1.2 of 95.6 and 68.7%, respectively. From the overall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 finally selected the bacterium KC-007 as a fermentation starter. This bacterium was identified and named as Pediococcus pentosaceus based on its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carbon-utilization pattern (as assessed using an API 50CHL kit), and molecular genetic characteristics (as assessed u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16S rRNA gene). The optimal temperature, pH, and starter inoculation concentration (v/v) required for growth of the isolated strain were $40^{\circ}C$, pH 4.0-6.0, and 2%(v/v), respectively.

당귀가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gelica gigas Water Extract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 오윤정;이수한;정승원;노완섭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44-348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effect of medicinal herbs on the growth of 3 strains of lactic starter cultures in MRS broth by the addition of 0, 1, 3, 5, and 10% water extract, after 30 hrs incubation. The pH, titratable acidity and O.D.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investigated to obtain fundamental knowledge for the development a new product. The effects of medicinal herbs extract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variable depending upon the specie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medicinal herbs extract. Growth of Str. thermohilus was activated by addition of 1 and 3% Angelica gigas water extract, but the basal medium plus 5 and 10% extract and growth of L. acidophilus and Bif. longum were depressed by the addition of extract. The pH and acid production ability dropped slightly in the basal medium plus 1 and 3% of extract. The other samples following the same trend as the control.

  • PDF

Screening of Bacteriocinogenic Lactic Acid Bacteria and Their Antagonistic Effects in Sausage Fermentation

  • Kim, Wang-Jun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6권6호
    • /
    • pp.461-467
    • /
    • 1996
  • Four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that lower the pH of sausage $\leq$ 4.2 within 24 h of incubation at $37^{\circ}C$, were screened from 57 bacteriocin producing LAB which were isolated from kajamie shikhae and natural fermented sausages. The proteinaceous nature of the bacteriocin was confirmed by losing antimicrobial activity after pronase treatme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pathogens, times of bacteriocin production and sensory tests were compared between 4 isolates and 3 commercial starters. Especially, strain NFS #8-1, screened from natural fermented sausage and identified as Pediococcus acidilactici, antagonized a large number of foodborne pathogens including Listeria monocytogenes, Aeromonas hydrophila,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Production of bacteriocin by strain NFS #8-1 was early in the growth phase (mid log phase) and its sensory acceptance was high. The feasibility of using strain NFS #8-1 as a starter for the production of microbiologically safe fermented sausage is envisaged.

  • PDF

유산균(乳酸菌) Starter의 생육촉진(生育促進)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Growth Stimulation of Lactic Starter)

  • 김종우;이영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40-50
    • /
    • 1992
  • 산효유제품(酸酵乳製品) 제조시(製造時) 유산균(乳酸菌) Starter의 산효성(酸酵性)을 촉진(促進)하기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Bulk medium에 Bios 2000, CR starter medium 및 Yeast extract를 각각(各各) 1.5%씩첨가(添加)하고 Lac. bulgaricus, Str. thermophilus 및 Lac. casei를 접종(接種) 배양(培養)하고 산도(酸度), pH 및 유산균수(乳酸菌數)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Lactobacillus bulgaricus의 배양(培養)중 산(酸) 생성도(生成度)는 Control구(區)는 배양(培養) 16시간(時間)에 0.99%에 이르렀는데 비하여, CR starter mediurn 첨가구(添加區)는 배양(培養) 12시간(時間)에 1.0%이었고, Yeast extract 첨가구(添加區)는 배양(培養) 12시간(時間)에 1.12% 이였으며, Bios 200첨가구(添加區)는 배양(培養) 10시간(時間)만에 0.97%로써 가장 빠른 산생성도(酸生成度)를 보였다. 2. Lac bulgaricus의 배양(培養)중 pH의 변화(變化)는 Control구(區)는 배양(培養) 16시간(時間)에 4.03이였는데 반하여 Bios 2000 첨가구(添加區)는 배양(培養) 10시간(時間)에 4.10에 이르렀다. 또한, Yeast extract 첨가구(添加區)는 배양(培養) 12시간(時間)에 3.97, CR starter medium 첨가구(添加區)는 배양(培養) 12시간(時間)에 4.05를 나타내었다. 3. Lac. bulgaricus의 배양(培養)중 유산균수(乳酸菌數) 변화(變化)는 Control구(區)가 배양(培養) 16시간(時間)에 $3.1{\times}10^{10}/ml$이 되었는데 반하여 Bios 2000 첨가구(添加區)는 10시간(時間)에 $2.1{\times}10^{10}/ml$에 이르러 가장 빠른 생육(生育) 촉진현상(促進現狀)을 보였다. 한펀, CR starter medium 첨가구(添加區)는 12시간(時間)에 $2.9{\times}10^{10}/ml$, Yeast extract 첨가구(添加區)는 12시간(時間)에 $3.8{\times}10^{10}/ml$를 나타내었다. 4. Streptococcus thermophilus의 배양(培養)중 Acidlty 변화(變化)는 Control구(區)가 44시간(時間)만에 0.92%에 이르렀으며, CR starter medium 첨가구(添加區)는 40시간(時間)에 0.96%, Yeast extract 첨가구(添加區)는 32시간(時間)에 0.90% 이었다. 한편, Bios 2000 첨가구(添加區)는 32시간(時間)에 0.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Str. thermophilus 배양(培養)중 pH 변화(變化)는 Control구(區)가 44시간(時間)에 4.27 이고, CR starter medium 첨가구(添加區)는 40시간(時間)에 4.33, Yeast extract 첨가구(添加區)는 32시간(時間)에 4.25이었다. 한편, Bios 2000 첨가구(添加區)는 32시간(時間)에 4.1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 Str. thermophilus의 배양(培養)중 유산균수(乳酸菌數) 변화(變化)는 Control구(區)가 44시간(時間)에 $9.8{\times}10^{9}/ml$이고, CR starter medium 첨가구(添加區)는 40시간(時間)에 $9.5{\times}10^{8}/ml$, Yeast extract 첨가구(添加區)는 32시간(時間)에 $9.6{\times}10^{8}/ml$이었다. 한편, Bios 2000 첨가구(添加區)는 32시간(時間)에 $2.0{\times}10^{9}/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7. Lactobacillus casei 균종(菌種)의 배양(培養) 중의 Acidity 변화(變化)는 Control구(區)가 40시간(時間)에 0.92%에 이르렀으며, CR starter medium 첨가구(添加區)는 40시간(時間)에 0.95%, Yeast extract 첨가구(添加區)는 36시간(時間)에 1.01%이었다. 한편, Bios 2000 첨가구(添加區)는 32시간(時間)에 0.9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8. Lac. casei 균종(菌種)의 배양(培養)중 pH 변화(變化)는 Control구(區)가 40시간(時間)에 4.27이고, CR starter medium 첨가구(添加區)는 40시간(時間)에 4.21, Yeast extract 첨가구(添加區)는 36시간(時間)에 4.15이었다. 한편, Bios 2000 첨가구(添加區)는 32시간(時間)에 4.2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9. Lac. casei균종(菌種)의 배양(培養)중 유산균수(乳酸菌數) 변화(變化)는 Control구(區)가 40시간(時間)에 $9.4{\times}10^{7}/ml$이고, CR starter medium 첨가구(添加區)는 40시간(時間)에 $1.1{\times}10^{8}/ml$, Yeast extract 첨가구(添加區)는 36시간(時間)에 $5.0{\times}10^{8}/ml$이었다. 한편, Bios 2000 첨가구(添加區)는 32시간(時間)에 $6.4{\times}10^{8}/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김치분리균주 Lactobacillus sp.를 Starter로 한 발효생식 제조에서의 위생미생물 살균효과 (Effects of Fermentation to Improve Hygienic Quality of Powdered Raw Grains and Vegetables Raw Grains and Vegetables Using Lactobacillus sp. Isolated from Kimchi)

  • 김동호;송현파;변명우;차보숙;신명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65-769
    • /
    • 2002
  • 김치로부터 분리 된 Lactobacillus sp.를 starter로 한 생식의 발효과정 에서 위생미생물의 살균 및 일반품질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생식분말 현탁액의 coliform group과 SS agar분리 미생물은 각각 2.3$\times$$10^3$ cfu/mL, 8.6$\times$$10^3$ cfu/mL으로 분포하여 위생미 생물의 오염 가능성이 컸다 발효생식 에 starter로 접종한 Lactobucillus sp.는 발효초기 1.1 $\times$ $10^3$ cfu/mL에서 발효 48시간 이후 107 cfu/mL수준으로 증식하였으며 coliform group과 SS agar분리 미생물은 발효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발효 48시간 이후에는 거의 사멸되었고 60시간 이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발효생식의 pH는 발효초기 6.8에서 발효 48시간 후 PH 4.0 이하로 낮아졌고 산도는 발효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발효 48시간이 경과한 발효생식 현탁액, 2% lactic acid수용액, 그리고 pH 7.3으로 중화시킨 발효생식 현탁액을 E. coli sp.와 Salmonella sp.에 처리한 결과 발효생식의 현탁액을 처리한 시험구의 살균효과(D value≒6 min)가 lactic acid 처리구(D value≒6 min) 및 중성 pH의 발효생식 현탁액(1) value ≒120 min)에 비하여 높아 김치 분리균주 Lactobacillus sp.가 생산하는 bacteriocin의 살균작용이 lactic acid를 비롯한 유기산과 복합자용에 의하여 상승작용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김치 유산균 Starter를 이용한 김치의 발효 특성 및 기능성 증진 효과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creased Health Functionality of Kimchi by Kimchi Lactic Acid Bacteria Starters)

  • 봉연주;정지강;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717-172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김치 유산균 starter의 사용이 김치의 품질특성과 건강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single starter 김치(Lb. plantarum pnuK, Lb. plantarum 3099K, Leu. mesenteroides pnuK), mixed starter 김치(Lb. plantarum pnu/Leu. mesenteroides pnuK, Lb. plantarum 3099/Leu. mesenteroides pnuK), 자연 발효 김치(NK)를 제조하여 $15^{\circ}C$에서 6일간 발효하며 실험하였다. pH 및 산도는 발효 초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발효 2일부터 starter 접종 김치에서 빠른 변화를 보였다. 총호기성 세균과 Lactobacillus sp.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비슷하게 증가하였으나 Leuconostoc sp.는 Leu. mesenteroides를 starter로 접종한 김치에서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starter를 첨가한 김치에서 관능적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혼합 starter 김치에서 만족도가 더 높았다. DPPH 및 hydroxyl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starter를 첨가한 김치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MTT assay 결과, HCT-116 및 HT-29 세포에서 NK는 각각 63.4, 51.9%를 나타내었고 Lb. plantarum pnuK는 각각 77.1, 68.8%의 암세포 성장 저해율을 보였다. 따라서 starter 첨가 시 항산화 및 항암효과가 증가되며, 단일 starter 김치가 혼합 starter 김치보다 높은 기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새로 분리 동정된 Lb. plantarum pnu를 이용한 김치에서의 높은 대장암 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Apoptosis 유도에 관련된 Bcl-2 및 Bax, 종양 억제에 관련된 p53 및 p21, 염증에 관련된 iNOS 및 COX-2 유전자 발현은 starter 첨가 김치에서 자연발효 김치보다 모두 apoptosis 유도 작용과 염증 및 종양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가장 높은 효과를 보인 것은 Lb. plantarum pnuK이었으며 단일 starter 김치에서 혼합 starter 김치보다 효과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starter를 이용해 관능적 품질이 우수하고 기능성이 증진된 김치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추 추출물이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ujube Extract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 정승원;노완섭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49-356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effect of Jujube extract on the growth of 3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LBA) starter cultures in the MRS broth by the addition of 0, 0.1, 0.5, 1 and 2% extract The pH, titratable acidity and OD of LAB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get fundamental knowledge for the development a new product. The effects of Jujube extract on the growth of LAB were variable depending upon the LAB species and concentrations of Jujube extract significantly (p<0.05). In the results, Jujube extract enhanced the acid production and propagation by the 3 LAB strains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Jujube extracts until 2.0% added was to the MRS broth medium (p<0.05). Addition of Jujube extract markedly stimulated the acid production and propagat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d Bifidobacterium long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