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7초

방사선 조사 후 생쥐(Mus musculus)조직의 형태와 젖산탈수소효소 동위효소의 재분포 (Redistribution of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s and Morphology of Tissues in Mus musculus after Irradiation)

  • 박현도;염정주
    • 환경생물
    • /
    • 제17권3호
    • /
    • pp.263-270
    • /
    • 1999
  • 생쥐에 1 Gray(Gy)와 3 Gy의 방사선을 조사한 후 시간에 따라 골격근, 심장, 신장, 간 및 정소조직의 형태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H-B(hematoxylin-eosin)염색 결과 apoptotic body는 다른 조직에 비해 간조직에서 쉽게 관찰되었고, 조사량에 비례하였으며 대부분의 조직에서 조사 후 1일에, 정소조직에서는 7일에 많이 관찰되었다. TUNEL (terminal deoxyribo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digoxigenin nick end labeling)염색에 의한 결과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방사선 조사 후 단백질량은 신장을 제외한 나머지 조직에서 감소되었으며, 3 Gy를 조사한 경우 1 Gy보다 모든 조직에서 초기 2시간까지 감소되었으나 7일에는 모두 증가되었다.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 활성은 모든 조직에서 증가되었고 1 Gy를 조사한 경우 초기에 더욱 증가되었으며 최고 활성은 3 Gy보다 빠른 시기에 나타났다. 골격근, 심장, 신장 및 정소조직은 일반적으로 $A_4$동위효소 활성이 감소되고 골격근과 심장은 $B_4$$A_2$$B_2$동위효소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신장은 이질사량체의 활성이 증가되었다. 간은 $A_4$ 동위효소 활성이 높았고 정소는 C동위효소의 활성이 높았다. 따라서 LDH는 방사선 조사시 간조직을 제외한 나머지 조직에서 lactate oxidase로서 작용하여 호기적 대사가 우세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급격한 용존산소량 증가에 순응한 꺽지(Coreoperca herzi)와 모래무지(Pseudogobioesocinus) 젖산탈수소효소 활성과 동위효소의 변화 (Changes of Activities and Isozymes of Lactate Dehydrogenase in Coreoperca herzi and Pseudogobio esocinus Acclimated to Rapid Increase of Dissolved Oxygen)

  • 조성규;염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1-79
    • /
    • 2005
  • 용존산소(DO)의 급격한 증가에 순응된 꺽지(Coreoperca herzi)와 모래무지(Pseudogobio esocinus) 조직내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의 대사와 $C_4$ 동위효소를 확인하였다. DO 18 ppm에 갑작스럽게 순응시 꺽지 LDH활성은 뇌와 간조직에서 각각 $35-39\%$ 변화되었고, 다른 조직에서는 $20\%$이내로 변화가 적었다. 골격근조직은 LDH $A_4$ 동위효소가 증가되고 하부단위체 C를 포함하는 동위효소는 감소되었다. 심장조직은 $B_4$ 동위효소가 조금 증가되었다. 신장조직도 $B_4$가 증가하고 눈 조직은 eye-specific $C_4$와 C hybrid가 감소되어 조절되었다. DO 증가에 갑작스럽게 순응한 모래무지 간조직에서 LDH 활성은 30분에서 급격하게 $150\%$이상 크게 증가되었고, 다른 조직에서는 $70\%$ 이상 변화되었다. 그리고 골격근조직은 $A_4$ 동위효소가 증가하고 다른 조직들에서는 $B_4$가 증가되었으며 특히 간 조직의 대사는 liver-specific $C_4$가 증가하고 $A_4$ 는 감소되어 조절되었다. 그러나 꺽지 눈 조직의 대사는 LDH 활성이 감소하고 eye-specific $C_4$ 동위효소가 감소되어 조절되었다. 따라서 DO증가에 순응시 모래무지는 꺽지에 비해 LDH 활성이 크게 증가되었고 동위효소의 변화정도도 크게 나타났으며, eye-spe-cific $C_4$와 liver-specific $C_4$ 동위효소는 lactate oxidase로서 대사를 조절하였다. 그러므로 환경변화에 순응하여 나타나는 대사는 종이 이전에 어떤 서식조건에 적응되었는가에 따라 다른 것으로 사료된다.

脊椎動物 腦와 網膜에 있어서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 Pattern의 比較 (A Comparison of the Lactate Dehydrogenase (LDH) Isozyme Patterns in Vertebrate Cerebrum and Retina)

  • 김순옥;박상윤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0
    • /
    • 1979
  • 脊椎動物 網膜과 腦에 있어서 LDH isozyme pattern을 系統的으로 밝히기 위하여 cellulose acetate 電氣泳動法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붕어와 잉어의 網膜과 腦의 LDH isozyme은 $LDH_1$$LDH_2$에 해당되는 부위에 彌滿된 단일 band가 觀察되었다. 잉어의 心臟, 胞筋, 肝臟, 胃의 LDH isozyme도 모두 다같이 퍼진 단일 band로 나타났다. 2. 도룡농과 개구리의 腦에 있어서 LDH isozyme pattern은 다르게 觀察되었다. 도룡뇽에서는 음극으로 移動된 단일 band가, 개구리에서는 $LDH_5$$LDH_4$ 두 개의 band가 검출되었다. 3. 유혈목이의 網膜과 腦에서는 다같이 하나의 band로 觀察되나 자라에서는 網膜과 腦의 isozyme이 다르다. 卽 자라의 網膜에서는 5個의 isozyme band가 觀察되었는데 그 농도는 $LDH_5, LDH_4, LDH_3, LDH_2$$LDH_1$의 순으로 낮아 졌다. 4. 닭과 사랑새의 網膜과 腦에 있어 LDH isozyme은 다같이 단일 band로 나타났다. 5. 집토끼, 개. 돼지, 소의 網膜에서도 포유류의 特徵的인 5個의 isozyme band가 검출되었고 mouse, albino rat, 관박쥐의 腦에서도 5個의 band가 검출되었다. 이러한 사실들로 미루어 보아 網膜과 腦의 LDH는 그 電氣泳動 이 대체로 비슷하여 두 器官은 유사한 pyruvate 代謝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

발아초기의 콩 부위별 Lactate Dehydrogenase 활성변화 및 효소성질 비교 (Comparision of the Ac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Lactate Dehydrogenase Isolated from Different Parts of Soybean Seedling)

  • 이효사;전태홍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1호
    • /
    • pp.28-34
    • /
    • 1983
  • 발아초기(發芽初期)에 콩(대두(大豆))의 부위별(部位別)로 Lactate dehydrogenase(LDH)의 Isozyme 존재가능성(存在可能性)을 조사(調査)하기 위한 기초적(基礎的)인 연구(硏究)가 수행(遂行)되었다. 발아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자엽부위의 효소활성변화(酵素活性變化)에는 큰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배축이나 뿌리 부위(部位)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sim}7^{\circ}C$에서 배축이나 뿌리로부터 얻은 LDH는 자엽에서 얻은 LDH에 비(比)해 불안정(不安定)했다. 전기영동상의 Rm value가 자엽으로부터 얻은 효소(酵素)에서는 0.25인데 비하여, 배축으로 부터 분리된 LDH는 0.29였다. 배축이나 뿌리로 부터 분리된 LDH는 Biphasic으로 0.45mM과 0.014mM의 두 km값을 보이고 자엽부위에서는 0.45mM 값만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자엽부위의 LDH와는 다른 성질(性質)을 가진 LDH가 배축이나 뿌리부위(部位)에 존재(存在)할 가능성(可能性)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쏘가리(Siniperca scherzeri) 젖산탈수소효소 A4 동위효소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ate Dehydrogenase A4 Isozyme in Mandrin Fish (Siniperca scherzeri))

  • 조성규;구보라;안효정;박은미;박선영;김재범;염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56-263
    • /
    • 2009
  • 쏘가리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 $A_4$ 동위효소를 affinity chromatography 및 ultrafiltration으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LDH $A_4$ 동위효소의 분자량은 140.4 kDa이었고 등전점(pI)은 7.0이었다. 효소반응의 최적 pH는 7.5로 나타났다. 피루브산을 기질로 하였을 때 LDH $A_4$ 동위효소의 ${K_m}^{PYR}$값은 $4.86{\times}10^{-5}$ M, $V_{max}$값은 13.31mM/min로 나타났다. LDH $A_4$ 동위효소의 역학실험은 쏘가리가 온수성어류라는 점을 보여주었고 정제된 LDH $A_4$ 동위 효소에 대한 항체는 변온 척추동물의 대사생리학적 특성을 연구하거나 여러 가지 병증의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척추동물의 Isozyme에 관한 비교연구: V. 담수어류의 젖산 수소이탈효소 Isozyme

  • 박상윤;이문성;조동현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27-130
    • /
    • 1974
  • 젖산수소이탈효소의 isozyme 형을 8종의 담수산 어류에서 전기영동법으로 조사하였다. 이 isozyme형의 전기영동상의 분포는 명백한 종 특이성을 보여 준다. 그리고 이 isozyme은 random hybridizaiton이 아니고 선택적인 hybridization에 의하여 구성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포유류와 달라 어류에서는 근조직과 뇌조직의 isozyme형이 동일한 형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 PDF

Pseudogobio esocinus (Cypriniformes) 젖산수소이탈효소 동질사량체들의 정제, 역학 및 면역화학 (Purification, Kinetics and Immunochemistry of Two Homotetrameric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s in Pseudogobio esocinlus (Cypriniformes))

  • 김명옥;염정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20-428
    • /
    • 1989
  • Pseudogobio esocinus의 심장, 신장 및 간 조직은 하부단위체 C를 함유하는 젖산수소이탈효소를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하부단위체 A 및 B에 대한 유전자들의 조직 발현은 다른 포유동물의 것과 유사하였으며 분자량은 140,000 정도로 추정되었다. Oxamate gel을 사용한 chromatography결과 A4 동위효소는 NAD+보다는 column buffer에 의해 용출되었다. B4 동위효소는 CM-Sepharose column을 사용하여 부붙 정제되었다. B4 동위효소는 물론 A4 동위효소도 고농도의 Pyruvate에 의해 저해되었다. A4 동위효소의 affinity chromatography 상 행동과 Pyruvate 저해 정도로 보아 A4 등위효소는 B4 동위효소 두 역학적으로 유사하다고 사료된다. P. esainus A4 동위효소에 대한 항체는 mouse A4 등위효소와 반응하지만 동종의 B4 동위 효소와는 반응하지 않는 특성으로 보아 하부단위체 B는 진화과정에서 보존성이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Three tissues of heart, kidney and liver of a primitive cvprinid Pseudogobio esocinus were found to have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5) containing subunit C. Tissue expressions of genes for subunits A and B were similar to those of mammalian species. Molecular weight of the isozymes were estimated to be 140,000 approximately. Affinity chromatography of the isozymes on the immobilized oxamate gel revealed that A4 isozyme was not elected in NAD+ but in column buffer. B4 isozune was isozpnatically purified by subjecting kidney extract to a CM-Sepharose column. Ae isozvme as well as B4 isozvme was inhibited by high concentrations of pyruvate. The affinity chromatographic behavior and susceptibility to pyruvate inhibition of the A4 isorpne suggest that A4 isozwne is similar to B4 isozyme kinetically. Antibodies against p. esocinus A4 isogyme reacted with mouse At isozyme but not with p. esocinus B4 isogyme, reflecting that subunit B is less conservative in its evolution.

  • PDF

급격한 환경변화에 대한 angelfish (Pterophyllum scalare) 젖산탈수소효소 동위효소의 변화 (Variation of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s in Angelfish (Pterophyllum scalare) according to Acute Environmental Change)

  • 안창수;조성규;염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16-423
    • /
    • 2010
  • 열대 저산소 환경에 적응되어 있는 angelfish (Pterophyllum scalare)를 급격한 온도변화($27{\pm}0.5{\rightarrow}18{\pm}0.5^{\circ}C$) 및 DO 변화($6{\pm}1{\rightarrow}18\;ppm$)에 2시간 동안 적응시킨 후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 동위효소의 특성 및 유전자발현을 연구하였다. LDH 동위효소의 특성은 native-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 Western blot 분석 및 효소활성 측정으로 확인하였다. 전기영동 결과 liver- 및 eye-specific Ldh-C 유전자는 간, 눈 및 뇌 조직에서 발현되었다. Western blot 분석 결과 LDH $A_4$ 동위효소는 $B_4$ 동위효소보다 음극 쪽에 나타났다. 간 조직에서 온도 저하 시 LDH $A_4$ 동위효소가 증가하고 $B_4$ 동위효소는 감소하였으며, DO 증가 시 LDH $A_4$$C_4$ 동위효소가 증가하고 $B_4$ 동위효소는 감소하였다. 눈 조직에서는 온도 저하 시 LDH $A_4$$B_4$ 동위효소가 증가하고 $C_4$ 동위효소는 감소하였으며, DO 증가 시 LDH $A_4$$B_4$ 동위효소는 증가하지만 $C_4$ 동위효소 및 하부단위체 C를 포함하는 동위효소는 감소하였다. 심장 조직에서는 DO 증가 시 LDH 활성이 증가하였고, LDH $B_4$ 동위효소가 증가하였다. 뇌 조직에서는 온도 저하 시 LDH $A_4$$B_4$ 동위효소가 증가하였고, DO 증가 시 LDH $B_4$ 동위효소는 증가하였다. 따라서 liver- 및 eye-specific Ldh-C는 DO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간 및 눈 조직에서 LDH $B_4$$C_4$ 동위효소는 서로 상대적으로 조절되므로 $C_4$ 동위효소는 lactate oxidase로서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기아상태에서 Ldh-C가 발현된 어류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의 대사 (Metabolism of Lactate Dehydrogenase in Tissues from Ldh-C Expressed Fish at Starved State)

  • 염정주;김규동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5-163
    • /
    • 2016
  • 젖산탈수소효소(Lactate dehydrogenase, EC 1.1.1.27, LDH) LDH-C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liver-specific Ldh-C가 발현된 붕어(Carassius auratus)와 eye-specific Ldh-C가 발현된 파랑볼우럭(Lepomis macrochirus)을 기아 상태로 유지시킨 후(S) 조직들의 LDH 대사를 연구하였다. 기아 후 붕어 간조직의 LDH 활성이 크게 증가되었으며 LDH 비활성(units/mg)과 LDH/CS는 조직들에서 증가되어 혐기적 대사가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기아 후 LDH B4 동위효소가 골격근조직에서 감소되었고 심장조직에서 증가되었다. 눈과 뇌조직에 나타났던 LDH C4 동위효소는 liver-specific C4로 확인되었으며 기아 후에 없어지고, 눈조직은 C hybrid, 뇌조직은 A4, 간조직은 C hybrid와 C4 동위효소가 각각 증가되었다. 그러나 파랑볼우럭 조직에서 LDH 활성의 변화는 작았으나 눈조직에서 가장 크게 증가되었으며, 뇌조직은 LDH A4와 AC hybrid가 증가되었다. 피루브산 10 mM에 의해 기아 후 붕어 조직의 LDH 활성은 30.30-18.64%, 파랑볼우럭 조직의 LDH는 25-18.75% 남았으며, 붕어는 KmPYR 값이 증가되었다. 실험 결과 LDH liver-specific C 동위효소가 기아 중에 간, 뇌 및 눈조직에서 발현되었고, 기아 후 뇌조직에서 젖산의 대사가 우세하고, 붕어 LDH liver-specific C가 파랑볼우럭 LDH eye-specific C보다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Subunit Interactions of Vertebrate Lactate Dehydrogenase: II. Molecular Hybridizationa

  • Yum, Jung-Joo;Kim, Sang-Yeop;Park, Sang-Yoo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01-215
    • /
    • 1981
  • 척추동물 6종의 젖산탈수소효소의 초자내 종간 및 종내 분자교잡을 실시한 결과 드렁허리 $H_4$ 동위효소와 가물치 $M_4$ 동위효소의 교잡 및 가물치 $M_4$동위효소와 메기 동위효소의 교잡에서 $H_2M_2$ 동위효소라고 생각되는 교잡형 동위효소를 얻었다. 하등 척추동물 젖산탈수소효소의 하부단위체 M과 H의 상호간 조합에 관한 한 3차 구조의 하부단위체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 하부단위체와 이량체를 형성하고 이러한 동질이량체가 사량체를 형성한다고 사료된다.

  • PDF